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592

[20230520~21] 지리산 성중종주(성삼재-노고단-임걸령-삼도봉-연하천-벽소령-세석(1박)-촛대봉-장터목-천왕봉-법계사-칼바위-중산리)를 다녀오다 - 7부 5월 20일(토) ~ 21일(일) 지리산 성중종주(성삼재-노고단-임걸령-삼도봉-연하천-벽소령-세석(1박)-촛대봉-장터목-천왕봉-법계사-칼바위-중산리)를 다녀오다 '지리산 성중종주(성삼재-노고단-임걸령-삼도봉-연하천-벽소령-세석(1박)-촛대봉-장터목-천왕봉-법계사-칼바위-중산리)' 코스 성삼재 주차장 → 무넹기(화엄사 갈림길) → 노고단대피소 → 노고단고개 → 헬기장 → 돼지령 → 헬기장 → 돼지평전 → 피아골 삼거리 → 임걸령샘 → 임걸령 안전쉼터 → 노루목(반야봉 갈림길) → 삼도봉3거리 → 삼도봉 → 긴계단길 → 화개재(뱀사골 갈림길) → 토끼봉 → 토끼봉 안전쉼터 → 무명봉 → 명선봉 → 연하천대피소 → 삼각고지3거리(음정마을 갈림길) → 삼각봉 → 형제봉 → 형제바위 → 벽소령대피소 → 전망데크 .. 2023. 5. 21.
[20230520~21] 지리산 성중종주(성삼재-노고단-임걸령-삼도봉-연하천-벽소령-세석(1박)-촛대봉-장터목-천왕봉-법계사-칼바위-중산리)를 다녀오다 - 6부 5월 20일(토) ~ 21일(일) 지리산 성중종주(성삼재-노고단-임걸령-삼도봉-연하천-벽소령-세석(1박)-촛대봉-장터목-천왕봉-법계사-칼바위-중산리)를 다녀오다 '지리산 성중종주(성삼재-노고단-임걸령-삼도봉-연하천-벽소령-세석(1박)-촛대봉-장터목-천왕봉-법계사-칼바위-중산리)' 코스 성삼재 주차장 → 무넹기(화엄사 갈림길) → 노고단대피소 → 노고단고개 → 헬기장 → 돼지령 → 헬기장 → 돼지평전 → 피아골 삼거리 → 임걸령샘 → 임걸령 안전쉼터 → 노루목(반야봉 갈림길) → 삼도봉3거리 → 삼도봉 → 긴계단길 → 화개재(뱀사골 갈림길) → 토끼봉 → 토끼봉 안전쉼터 → 무명봉 → 명선봉 → 연하천대피소 → 삼각고지3거리(음정마을 갈림길) → 삼각봉 → 형제봉 → 형제바위 → 벽소령대피소 → 전망데크 .. 2023. 5. 21.
[20230520~21] 지리산 성중종주(성삼재-노고단-임걸령-삼도봉-연하천-벽소령-세석(1박)-촛대봉-장터목-천왕봉-법계사-칼바위-중산리)를 다녀오다 - 5부 5월 20일(토) ~ 21일(일) 지리산 성중종주(성삼재-노고단-임걸령-삼도봉-연하천-벽소령-세석(1박)-촛대봉-장터목-천왕봉-법계사-칼바위-중산리)를 다녀오다 '지리산 성중종주(성삼재-노고단-임걸령-삼도봉-연하천-벽소령-세석(1박)-촛대봉-장터목-천왕봉-법계사-칼바위-중산리)' 코스 성삼재 주차장 → 무넹기(화엄사 갈림길) → 노고단대피소 → 노고단고개 → 헬기장 → 돼지령 → 헬기장 → 돼지평전 → 피아골 삼거리 → 임걸령샘 → 임걸령 안전쉼터 → 노루목(반야봉 갈림길) → 삼도봉3거리 → 삼도봉 → 긴계단길 → 화개재(뱀사골 갈림길) → 토끼봉 → 토끼봉 안전쉼터 → 무명봉 → 명선봉 → 연하천대피소 → 삼각고지3거리(음정마을 갈림길) → 삼각봉 → 형제봉 → 형제바위 → 벽소령대피소 → 전망데크 .. 2023. 5. 21.
[20230520~21] 지리산 성중종주(성삼재-노고단-임걸령-삼도봉-연하천-벽소령-세석(1박)-촛대봉-장터목-천왕봉-법계사-칼바위-중산리)를 다녀오다 - 4부 5월 20일(토) ~ 21일(일) 지리산 성중종주(성삼재-노고단-임걸령-삼도봉-연하천-벽소령-세석(1박)-촛대봉-장터목-천왕봉-법계사-칼바위-중산리)를 다녀오다 '지리산 성중종주(성삼재-노고단-임걸령-삼도봉-연하천-벽소령-세석(1박)-촛대봉-장터목-천왕봉-법계사-칼바위-중산리)' 코스 성삼재 주차장 → 무넹기(화엄사 갈림길) → 노고단대피소 → 노고단고개 → 헬기장 → 돼지령 → 헬기장 → 돼지평전 → 피아골 삼거리 → 임걸령샘 → 임걸령 안전쉼터 → 노루목(반야봉 갈림길) → 삼도봉3거리 → 삼도봉 → 긴계단길 → 화개재(뱀사골 갈림길) → 토끼봉 → 토끼봉 안전쉼터 → 무명봉 → 명선봉 → 연하천대피소 → 삼각고지3거리(음정마을 갈림길) → 삼각봉 → 형제봉 → 형제바위 → 벽소령대피소 → 전망데크 .. 2023. 5. 21.
[20230520~21] 지리산 성중종주(성삼재-노고단-임걸령-삼도봉-연하천-벽소령-세석(1박)-촛대봉-장터목-천왕봉-법계사-칼바위-중산리)를 다녀오다 - 3부 5월 20일(토) ~ 21일(일) 지리산 성중종주(성삼재-노고단-임걸령-삼도봉-연하천-벽소령-세석(1박)-촛대봉-장터목-천왕봉-법계사-칼바위-중산리)를 다녀오다 '지리산 성중종주(성삼재-노고단-임걸령-삼도봉-연하천-벽소령-세석(1박)-촛대봉-장터목-천왕봉-법계사-칼바위-중산리)' 코스 성삼재 주차장 → 무넹기(화엄사 갈림길) → 노고단대피소 → 노고단고개 → 헬기장 → 돼지령 → 헬기장 → 돼지평전 → 피아골 삼거리 → 임걸령샘 → 임걸령 안전쉼터 → 노루목(반야봉 갈림길) → 삼도봉3거리 → 삼도봉 → 긴계단길 → 화개재(뱀사골 갈림길) → 토끼봉 → 토끼봉 안전쉼터 → 무명봉 → 명선봉 → 연하천대피소 → 삼각고지3거리(음정마을 갈림길) → 삼각봉 → 형제봉 → 형제바위 → 벽소령대피소 → 전망데크 .. 2023. 5. 21.
[20230520~21] 지리산 성중종주(성삼재-노고단-임걸령-삼도봉-연하천-벽소령-세석(1박)-촛대봉-장터목-천왕봉-법계사-칼바위-중산리)를 다녀오다 - 2부 5월 20일(토) ~ 21일(일) 지리산 성중종주(성삼재-노고단-임걸령-삼도봉-연하천-벽소령-세석(1박)-촛대봉-장터목-천왕봉-법계사-칼바위-중산리)를 다녀오다 '지리산 성중종주(성삼재-노고단-임걸령-삼도봉-연하천-벽소령-세석(1박)-촛대봉-장터목-천왕봉-법계사-칼바위-중산리)' 코스 성삼재 주차장 → 무넹기(화엄사 갈림길) → 노고단대피소 → 노고단고개 → 헬기장 → 돼지령 → 헬기장 → 돼지평전 → 피아골 삼거리 → 임걸령샘 → 임걸령 안전쉼터 → 노루목(반야봉 갈림길) → 삼도봉3거리 → 삼도봉 → 긴계단길 → 화개재(뱀사골 갈림길) → 토끼봉 → 토끼봉 안전쉼터 → 무명봉 → 명선봉 → 연하천대피소 → 삼각고지3거리(음정마을 갈림길) → 삼각봉 → 형제봉 → 형제바위 → 벽소령대피소 → 전망데크 .. 2023. 5. 21.
[20230520~21] 지리산 성중종주(성삼재-노고단-임걸령-삼도봉-연하천-벽소령-세석(1박)-촛대봉-장터목-천왕봉-법계사-칼바위-중산리)를 다녀오다 - 1부 5월 20일(토) ~ 21일(일) 지리산 성중종주(성삼재-노고단-임걸령-삼도봉-연하천-벽소령-세석(1박)-촛대봉-장터목-천왕봉-법계사-칼바위-중산리)를 다녀오다 '지리산 성중종주(성삼재-노고단-임걸령-삼도봉-연하천-벽소령-세석(1박)-촛대봉-장터목-천왕봉-법계사-칼바위-중산리)' 코스 성삼재 주차장 → 무넹기(화엄사 갈림길) → 노고단대피소 → 노고단고개 → 헬기장 → 돼지령 → 헬기장 → 돼지평전 → 피아골 삼거리 → 임걸령샘 → 임걸령 안전쉼터 → 노루목(반야봉 갈림길) → 삼도봉3거리 → 삼도봉 → 긴계단길 → 화개재(뱀사골 갈림길) → 토끼봉 → 토끼봉 안전쉼터 → 무명봉 → 명선봉 → 연하천대피소 → 삼각고지3거리(음정마을 갈림길) → 삼각봉 → 형제봉 → 형제바위 → 벽소령대피소 → 전망데크 .. 2023. 5. 21.
난득호도 흘휴시복 難得糊塗 吃虧是福 - 어리숙하게 보이기가 어렵고, 손해 보는 것이 곧 복이다. 2023. 5. 19.
행여 지리산에 오시려거든 / 이원규 행여 지리산에 오시려거든 - 이원규 행여 지리산에 오시려거든 천왕봉 일출을 보러 오시라 삼대 째 내리 적선한 사람만 볼 수 있으니 아무나 오시지 마시고 노고단 구름바다에 빠지려면 원추리 꽃무리에 흑심을 품지 않는 이슬의 눈으로 오시라 행여 반야봉 저녁노을을 품으려면 여인의 둔부를 스치는 유장한 바람으로 오고 피아골의 단풍을 만나려면 먼저 온 몸이 달아오른 절정으로 오시라 굳이 지리산에 오려거든 불일폭포의 물 방망이를 맞으러 벌 받은 아이처럼 등짝 시퍼렇게 오고 벽소령의 눈 시린 달빛을 받으려면 뼈마저 부스러지는 회한으로 오시라 그래도 지리산에 오시려거든 세석평전의 철쭉꽃 길을 따라 온몸 불사르는 혁명의 이름으로 오고 최후의 처녀림 칠선계곡에는 아무 죄도 없는 나무꾼으로만 오시라 ​진실로 진실로 지리산에 .. 2023. 5. 18.
[20230517] 관악역부터 만안교 탐방하고, 꽃메산ㆍ와룡산을 넘고, 연현 세월교 건너서 성채산ㆍ서독산 거쳐 안서초교까지 걷다 - 3부 5월 17일(수) 관악역부터 만안교 탐방하고, 꽃메산ㆍ와룡산을 넘고, 연현 세월교 건너서 성채산ㆍ서독산 거쳐 안서초교까지 걷다 5월 17일(수) '관악역부터 만안교 탐방하고, 꽃메산ㆍ와룡산을 넘고, 연현 세월교 건너서 성채산ㆍ서독산 거쳐 안서초교까지 걷기' 코스 관악역→삼막교→삼막천→만안교→삼성천ㆍ삼막천 합류부→삼성천→삼성교→삼성천ㆍ안양천 합류부→안양대교→안양천→꽃메사거리/박석교→갈뫼어린이공원 앞→갈뫼약수터?→운동쉼터→꽃메산 정상/산불감시탑(124.7m)→화명배드민턴장→화창약수터→충훈공원→석수도서관→전망데크→와룡산 정상(돌탑:116m)→안양천 생태이야기관→굴다리→화창교→무궁화동산→석수체육공원 아래→제2경인고속도로 안양천교→연현생태습지 세월교(洗越橋)→석수제2수문→영광자원→굴다리→광명메모리얼파크 입구→자경.. 2023. 5. 17.
[20230517] 관악역부터 만안교 탐방하고, 꽃메산ㆍ와룡산을 넘고, 연현 세월교 건너서 성채산ㆍ서독산 거쳐 안서초교까지 걷다 - 2부 5월 17일(수) 관악역부터 만안교 탐방하고, 꽃메산ㆍ와룡산을 넘고, 연현 세월교 건너서 성채산ㆍ서독산 거쳐 안서초교까지 걷다 5월 17일(수) '관악역부터 만안교 탐방하고, 꽃메산ㆍ와룡산을 넘고, 연현 세월교 건너서 성채산ㆍ서독산 거쳐 안서초교까지 걷기' 코스 관악역→삼막교→삼막천→만안교→삼성천ㆍ삼막천 합류부→삼성천→삼성교→삼성천ㆍ안양천 합류부→안양대교→안양천→꽃메사거리/박석교→갈뫼어린이공원 앞→갈뫼약수터?→운동쉼터→꽃메산 정상/산불감시탑(124.7m)→화명배드민턴장→화창약수터→충훈공원→석수도서관→전망데크→와룡산 정상(돌탑:116m)→안양천 생태이야기관→굴다리→화창교→무궁화동산→석수체육공원 아래→제2경인고속도로 안양천교→연현생태습지 세월교(洗越橋)→석수제2수문→영광자원→굴다리→광명메모리얼파크 입구→자경.. 2023. 5. 17.
[20230517] 관악역부터 만안교 탐방하고, 꽃메산ㆍ와룡산을 넘고, 연현 세월교 건너서 성채산ㆍ서독산 거쳐 안서초교까지 걷다 - 1부 5월 17일(수) 관악역부터 만안교 탐방하고, 꽃메산ㆍ와룡산을 넘고, 연현 세월교 건너서 성채산ㆍ서독산 거쳐 안서초교까지 걷다 5월 17일(수) '관악역부터 만안교 탐방하고, 꽃메산ㆍ와룡산을 넘고, 연현 세월교 건너서 성채산ㆍ서독산 거쳐 안서초교까지 걷기' 코스 관악역→삼막교→삼막천→만안교→삼성천ㆍ삼막천 합류부→삼성천→삼성교→삼성천ㆍ안양천 합류부→안양대교→안양천→꽃메사거리/박석교→갈뫼어린이공원 앞→갈뫼약수터?→운동쉼터→꽃메산 정상/산불감시탑(124.7m)→화명배드민턴장→화창약수터→충훈공원→석수도서관→전망데크→와룡산 정상(돌탑:116m)→안양천 생태이야기관→굴다리→화창교→무궁화동산→석수체육공원 아래→제2경인고속도로 안양천교→연현생태습지 세월교(洗越橋)→석수제2수문→영광자원→굴다리→광명메모리얼파크 입구→자경.. 2023. 5. 17.
샤스타데이지, 샤스타 국화 / 꽃말 : 겸손한 아름다움, 사랑스러움, 숨겨진 사랑, 평화, 희망 샤스타데이지, 샤스타 국화 / 꽃말 : 겸손한 아름다움, 사랑스러움, 숨겨진 사랑, 평화, 희망 분류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초롱꽃목 > 국화과 > 레우칸테뭄속(Leucanthemum)꽃색 : 흰색꽃말 : 겸손한 아름다움, 사랑스러움, 숨겨진 사랑, 평화, 희망학명 : Leucanthemum x superbum 요약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품종에 따라 봄에서 가을까지 선명한 노란색과 흰색의 조화가 매력적인 꽃을 피운다. 정원이나 공원에 관상용으로 심는 경우가 많다. 선명한 색을 가진 매력적인 데이지 국화과의 다년생(여러해살이) 초본 식물이다. 1890년대 미국의 원예가이자 식물학자인 루서 버뱅크(Luther Burbank)가 여러 종의 데이지를 교배해 만들었다. 샤스타데이지란 이름은 미국 캘리.. 2023. 5. 16.
큰 금계국(꽃) / 꽃말 : 상쾌한 기분 큰 금계국(꽃) / 꽃말 : 상쾌한 기분 학명 : Coreopsis lanceolata꽃말 : 상쾌한 기분 특징한 여름에 고속도로든 국도든 시골길이든 운전하면서 창가를 보면 길가에 노란 코스모스처럼 무리지어 피어있는 꽃이다. 좀더 색이 진하고 꽃이 큰 루드베키아와 함께 심겨지는 것이 보통이다. 꽃이 피면 항상 하늘을 보면 방긋 웃고 있어서 보는 사람 기분을 상쾌하게 해 준다. 이용도로변 관상용으로 많이 쓰인다. 꽃이 노란색으로 6∼8월에 피는데 키는 심겨진 곳의 환경에 따라 30cm부터 100cm까지 자라며 줄기가 곧추 선다. 화단용으로 주로 이용되지만 키가 큰 것들은 절화용으로도 쓰이며, 벌들이 좋아하기 때문에 밀원식물로도 이용된다. 기르기씨앗으로 잘 번식하는 한해살이풀이다. 초가을에 잘 여문 씨앗들을.. 2023. 5. 15.
노랑어리연꽃 노랑어리연꽃 분류 : 용담목 > 조름나물과 > 어리연속 꽃색 : 노란색 학명 : Nymphoides peltata (J.G.Gmelin) Kuntze 개화기 : 8월, 7월, 9월 분포지역 한국, 중국, 몽골, 일본, 유럽에 분포한다. 중부 이남에서 자란다. 형태 다년생 수초 잎 긴 엽병으로 물 위에 뜨는 잎은 마치 수련 잎과 비슷하고 윤기가 난다. 잎은 달걀모양 또는 원형이며 지름 5-10cm로서 밑부분이 2개로 갈라지지만 붙어 있는 것도 일부 있고 뒷면은 갈색을 띤 보라색이 돈다. 꽃 꽃은 7-9월에 오이꽃과 비슷하게 피고 밝은 황색이며 잎겨드랑이에서 자라고 꽃자루는 길이 3-12cm이다. 꽃받침열편은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고 꽃부리는 지름 3-4cm로서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끝이 파지고 수술과.. 2023. 5. 15.
산딸나무, 들매나무, 미영꽃나무, 준딸나무, 소리딸나무, 애기산딸나무, 굳은산딸나무 산딸나무, 들매나무, 미영꽃나무, 준딸나무, 소리딸나무, 애기산딸나무, 굳은산딸나무 분류 : 층층나무과 층층나무속 원산지 : 한국, 일본 서식지 : 경기도 이남 지역 크기 : 지름 50㎝, 높이 10∼15m 학명 : Cornus kousa Buerger 개화기 : 6월 요약 층층나무과 층층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 개설 경기도 이남 지역에 자생한다. 들매나무, 미영꽃나무, 준딸나무, 소리딸나무, 애기산딸나무, 굳은산딸나무 등으로 다양하게 불린다. 원산지는 한국과 일본이다. 학명은 Cornus kousa Buerger이다. 나무의 지름은 50㎝이고, 높이는 10∼15m이다. 산딸나무는 함양상림(천연기념물 제154호), 강진 까막섬 상록수림(천연기념물 제172호), 고흥 금탑사 비자나무 숲(천연기념물.. 2023. 5. 15.
[20230514] 아차산ㆍ용마산ㆍ망우산 연계산행하고, 장자호수공원ㆍ구리유채꽃축제장ㆍ서울둘레길3코스 일부 이어 걷기 - 3부 5월 14일(일)아차산ㆍ용마산ㆍ망우산 연계산행하고, 장자호수공원ㆍ구리유채꽃축제장ㆍ서울둘레길3코스 일부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아차산ㆍ용마산ㆍ망우산 연계산행하고, 장자호수공원ㆍ구리유채꽃축제장ㆍ서울둘레길3코스 일부 이어 걷기' 코스 아차산역→홍련봉공원→광진숲나루공원→아차산생태공원→만남의광장→아차산성→낙타고개→고구려정→삼거리(대성암 갈림길)→아차산해맞이광장→아차산 정상→아차산 4보루 쉼터→아차산 4보루→철탑→긴고랑골 갈림길→제3헬기장→용마 체력단련장→용마산 정상→제3헬기장→제2헬기장→제1헬기장(용마산5보루)→570데크계단→깔딱고개→망우산 1보루→산불감시탑→시루봉 갈림길→동락정→망우공원묘지→망우산 정상→엄마/형제약수 입구→형제약수터 갈림길→구리경찰서→광개토광장→장자못호수공원 삼거리→선행교→장자못호수공원 산책로→장.. 2023. 5. 14.
[20230514] 아차산ㆍ용마산ㆍ망우산 연계산행하고, 장자호수공원ㆍ구리유채꽃축제장ㆍ서울둘레길3코스 일부 이어 걷기 - 2부 5월 14일(일)아차산ㆍ용마산ㆍ망우산 연계산행하고, 장자호수공원ㆍ구리유채꽃축제장ㆍ서울둘레길3코스 일부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아차산ㆍ용마산ㆍ망우산 연계산행하고, 장자호수공원ㆍ구리유채꽃축제장ㆍ서울둘레길3코스 일부 이어 걷기' 코스 아차산역→홍련봉공원→광진숲나루공원→아차산생태공원→만남의광장→아차산성→낙타고개→고구려정→삼거리(대성암 갈림길)→아차산해맞이광장→아차산 정상→아차산 4보루 쉼터→아차산 4보루→철탑→긴고랑골 갈림길→제3헬기장→용마 체력단련장→용마산 정상→제3헬기장→제2헬기장→제1헬기장(용마산5보루)→570데크계단→깔딱고개→망우산 1보루→산불감시탑→시루봉 갈림길→동락정→망우공원묘지→망우산 정상→엄마/형제약수 입구→형제약수터 갈림길→구리경찰서→광개토광장→장자못호수공원 삼거리→선행교→장자못호수공원 산책로→장.. 2023. 5. 14.
[20230514] 아차산ㆍ용마산ㆍ망우산 연계산행하고, 장자호수공원ㆍ구리유채꽃축제장ㆍ서울둘레길3코스 일부 이어 걷기 - 1부 5월 14일(일)아차산ㆍ용마산ㆍ망우산 연계산행하고, 장자호수공원ㆍ구리유채꽃축제장ㆍ서울둘레길3코스 일부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아차산ㆍ용마산ㆍ망우산 연계산행하고, 장자호수공원ㆍ구리유채꽃축제장ㆍ서울둘레길3코스 일부 이어 걷기' 코스 아차산역→홍련봉공원→광진숲나루공원→아차산생태공원→만남의광장→아차산성→낙타고개→고구려정→삼거리(대성암 갈림길)→아차산해맞이광장→아차산 정상→아차산 4보루 쉼터→아차산 4보루→철탑→긴고랑골 갈림길→제3헬기장→용마 체력단련장→용마산 정상→제3헬기장→제2헬기장→제1헬기장(용마산5보루)→570데크계단→깔딱고개→망우산 1보루→산불감시탑→시루봉 갈림길→동락정→망우공원묘지→망우산 정상→엄마/형제약수 입구→형제약수터 갈림길→구리경찰서→광개토광장→장자못호수공원 삼거리→선행교→장자못호수공원 산책로→장.. 2023. 5. 14.
갈퀴나물, 녹두두미 갈퀴나물, 녹두두미 분류 : 장미목 > 콩과 > 나비나물속 꽃색 : 붉은색 학명 : Vicia amoena Fisch. ex DC. 개화기 : 9월, 6월, 7월, 8월 분포지역 한국,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전국 각처의 들에서 자란다. 형태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크기 줄기의 길이가 80-180cm정도 자란다. 잎 잎은 어긋나기하며 10-16개의 소엽으로 된 짝수깃모양겹잎이며 극히 짧은 엽병이 있고 엽축끝에는 2-3개로 갈라진 덩굴손이 있다. 소엽은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예두 또는 둔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15-30mm, 폭 4-10mm로서 끝에 돌기가 약간 있고 양면면에 털이 성글게 있거나 없고 측맥 끝에 돌출로 생긴 작고 낮은 톱니가 있다. 탁엽은 3각상 부채형으로 윗머리에 1-2.. 2023. 5. 13.
찔레꽃, 찔레, 가시나무 / 찔레 꽃말 : 고독, 신중한 사랑, 가족에 대한 그리움 찔레꽃, 찔레, 가시나무 / 찔레 꽃말 : 고독, 신중한 사랑, 가족에 대한 그리움 분류 : 장미목 > 장미과 > 장미속 꽃색 : 백색, 주황색 학명 : Rosa multiflora Thunb. 개화기 : 5월 찔레 꽃말 : 고독, 신중한 사랑, 가족에 대한 그리움 분포지역 중국, 일본; 함경북도를 제외한 전국 분포. 형태 낙엽성 관목. 크기 높이 2m. 잎 잎은 어긋나기하며 깃모양겹잎이고 소엽은 5 ~ 9개로 타원형 또는 거꿀달걀형이며 길이 2 ~ 3cm로 양 끝이 좁으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뒷면에 잔털이 있다. 턱잎은 빗살 같은 톱니가 있고, 하반부가 잎자루와 합쳐진다. 꽃 꽃은 5월에 개화하며 지름 2cm로 흰색 또는 연한 붉은색이며 원뿔모양꽃차례로, 작은꽃대에 샘털이 약간 있고 꽃받침조각은 .. 2023. 5. 13.
[20230513] 방배역에서 이촌역까지 걷기(청권사ㆍ서리풀공원ㆍ몽마르뜨공원ㆍ허밍웨이ㆍ서래섬유채꽃축제ㆍ용산가족공원ㆍ국립중앙박물관)를 다녀오다 - 3부 5월 13일(토) 방배역에서 이촌역까지 걷기(청권사ㆍ서리풀공원ㆍ몽마르뜨공원ㆍ허밍웨이ㆍ서래섬유채꽃축제ㆍ용산가족공원ㆍ국립중앙박물관)를 다녀오다 '방배역에서 이촌역까지 걷기(청권사ㆍ서리풀공원ㆍ몽마르뜨공원ㆍ허밍웨이ㆍ서래섬유채꽃축제ㆍ용산가족공원ㆍ국립중앙박물관)' 코스 방배역→청권사→청권사쉼터→정상부 전망대→할아버지쉼터→서리풀다리→몽마르뜨공원→누에다리→참나무쉼터→팔각정쉼터→미도산→서래공원→고터역 5번출구→반포천 허밍웨이→동작역→동작대교→서래섬유채꽃축제장→세빛둥둥섬→반포대교/잠수교 도강→동작대교 쉼터→이촌 미루나무길→동작대교→용산가족공원→국립중앙박물관→이촌역 오늘은 '방배역에서 이촌역까지 걷기(청권사ㆍ서리풀공원ㆍ몽마르뜨공원ㆍ허밍웨이ㆍ서래섬유채꽃축제ㆍ용산가족공원ㆍ국립중앙박물관)'를 위해 길을 나선다. ▼ 잠수교에서.... 2023. 5. 13.
[20230513] 방배역에서 이촌역까지 걷기(청권사ㆍ서리풀공원ㆍ몽마르뜨공원ㆍ허밍웨이ㆍ서래섬유채꽃축제ㆍ용산가족공원ㆍ국립중앙박물관)를 다녀오다 - 2부 5월 13일(토) 방배역에서 이촌역까지 걷기(청권사ㆍ서리풀공원ㆍ몽마르뜨공원ㆍ허밍웨이ㆍ서래섬유채꽃축제ㆍ용산가족공원ㆍ국립중앙박물관)를 다녀오다 '방배역에서 이촌역까지 걷기(청권사ㆍ서리풀공원ㆍ몽마르뜨공원ㆍ허밍웨이ㆍ서래섬유채꽃축제ㆍ용산가족공원ㆍ국립중앙박물관)' 코스 방배역→청권사→청권사쉼터→정상부 전망대→할아버지쉼터→서리풀다리→몽마르뜨공원→누에다리→참나무쉼터→팔각정쉼터→미도산→서래공원→고터역 5번출구→반포천 허밍웨이→동작역→동작대교→서래섬유채꽃축제장→세빛둥둥섬→반포대교/잠수교 도강→동작대교 쉼터→이촌 미루나무길→동작대교→용산가족공원→국립중앙박물관→이촌역 오늘은 '방배역에서 이촌역까지 걷기(청권사ㆍ서리풀공원ㆍ몽마르뜨공원ㆍ허밍웨이ㆍ서래섬유채꽃축제ㆍ용산가족공원ㆍ국립중앙박물관)'를 위해 길을 나선다. ▼ 서래공원에서... 2023. 5. 13.
[20230513] 방배역에서 이촌역까지 걷기(청권사ㆍ서리풀공원ㆍ몽마르뜨공원ㆍ허밍웨이ㆍ서래섬유채꽃축제ㆍ용산가족공원ㆍ국립중앙박물관)를 다녀오다 - 1부 5월 13일(토) 방배역에서 이촌역까지 걷기(청권사ㆍ서리풀공원ㆍ몽마르뜨공원ㆍ허밍웨이ㆍ서래섬유채꽃축제ㆍ용산가족공원ㆍ국립중앙박물관)를 다녀오다 '방배역에서 이촌역까지 걷기(청권사ㆍ서리풀공원ㆍ몽마르뜨공원ㆍ허밍웨이ㆍ서래섬유채꽃축제ㆍ용산가족공원ㆍ국립중앙박물관)' 코스 방배역→청권사→청권사쉼터→정상부 전망대→할아버지쉼터→서리풀다리→몽마르뜨공원→누에다리→참나무쉼터→팔각정쉼터→미도산→서래공원→고터역 5번출구→반포천 허밍웨이→동작역→동작대교→서래섬유채꽃축제장→세빛둥둥섬→반포대교/잠수교 도강→동작대교 쉼터→이촌 미루나무길→동작대교→용산가족공원→국립중앙박물관→이촌역 오늘은 '방배역에서 이촌역까지 걷기(청권사ㆍ서리풀공원ㆍ몽마르뜨공원ㆍ허밍웨이ㆍ서래섬유채꽃축제ㆍ용산가족공원ㆍ국립중앙박물관)'를 위해 길을 나선다. ▼ 방배역에서.... 2023. 5. 13.
줄댕강나무(꽃) / 꽃말 : 환영, 평안함 줄댕강나무(꽃)  / 꽃말 : 환영, 평안함 분류 : 산토끼꽃목 > 인동과 > 댕강나무속꽃색 : 붉은색학명 : Abelia tyaihyoni Nakai개화기 : 5월꽃말 : 환영, 평안함 분포지역평안북도, 황해도, 충청북도. 형태낙엽 활엽 관목. 크기높이 1m. 잎잎은 마주나기하며 달걀형의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첨두 예형이며 길이와 폭은 3 ~ 7cm × 1.5 ~ 2㎝로, 표면 맥 위와 뒷면 맥 위의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잎자루 길이 2 ~ 7mm로 털이 있고, 마주나는 2개의 잎자루가 줄기를 완전히 둘러싼다. 꽃양성꽃으로 5월에 햇가지 끝에 편평꽃차례에 달리고, 주홍색의 꽃봉우리가 맺으며 꽃은 연한 우유빛으로 피는데, 꽃에는 은은하고 달콤한 향기가 있다. 꽃대 3개씩 꽃이 달리며 털이 있고 길.. 2023. 5. 13.
선씀바귀, 쓴씀바귀, 선사라구, 자주씀바귀, 거과채 선씀바귀, 쓴씀바귀, 선사라구, 자주씀바귀, 거과채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국화목 > 국화과 > 벌씀바귀속 서식지 : 길가, 경작지 주변 학명 : Ixeris chinensis (Thunb.) Nakai subsp. strigosa (H. Lév. & Vaniot) Kitam. 국내분포 : 전국 해외분포 : 일본 개요 길가나 경작지 주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20-40cm이다. 뿌리잎은 도피침형 또는 피침상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가 깃꼴로 갈라진다. 줄기잎은 1-2장이고, 밑이 줄기를 조금 감싼다. 꽃은 4-6월에 피며, 흰색 도는 연한 자주색이고, 줄기 끝에서 지름 2-2.5cm인 머리모양꽃이 모여서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열매는 수과로 능선이 10개 있고, 흰색 우산털이 있.. 2023. 5. 11.
[20230510] 화성 세렝게티의 삘기꽃을 찾아가는 힐링여행(사강시장-천등산-수섬-목섬-독지리-사강시장)을 다녀오다- 2부 5월 10일(수)화성 세렝게티의 삘기꽃을 찾아가는 힐링여행(사강시장-천등산-수섬-목섬-독지리-사강시장)을 다녀오다'화성 세렝게티의 삘기꽃을 찾아가는 힐링여행(사강시장-천등산-수섬-목섬-독지리-사강시장)' 코스 수원역 환승센터→사강시장→송산터미널→송산초교→송산중학교→사강3리마을회관→양짓말→인애농원앞→각골입구→천등1리(등골)→새마을고개→천등3리(새말)→천등산들머리→천등산 정상(146m)→수섬→목섬→독지리종점→독지1리(돌내입구)→새마을고개→천등3리(새말)→천등1리(등굴)→각골입구→인애농원앞→양짓말→사강3리마을회관→송산중→송산터미널→사강시장→수원역 환승센터오늘은'화성 세렝게티의 삘기꽃을 찾아가는 힐링여행(사강시장-천등산-수섬-목섬-독지리-사강시장)'을 위해 길을 나선다.  ▼ 수섬 앞에서... ☞ 이것으로 '화.. 2023. 5. 10.
[20230510] 화성 세렝게티의 삘기꽃을 찾아가는 힐링여행(사강시장-천등산-수섬-목섬-독지리-사강시장)을 다녀오다- 1부 5월 10일(수)화성 세렝게티의 삘기꽃을 찾아가는 힐링여행(사강시장-천등산-수섬-목섬-독지리-사강시장)을 다녀오다'화성 세렝게티의 삘기꽃을 찾아가는 힐링여행(사강시장-천등산-수섬-목섬-독지리-사강시장)' 코스 수원역 환승센터→사강시장→송산터미널→송산초교→송산중학교→사강3리마을회관→양짓말→인애농원앞→각골입구→천등1리(등골)→새마을고개→천등3리(새말)→천등산들머리→천등산 정상(146m)→수섬→목섬→독지리종점→독지1리(돌내입구)→새마을고개→천등3리(새말)→천등1리(등굴)→각골입구→인애농원앞→양짓말→사강3리마을회관→송산중→송산터미널→사강시장→수원역 환승센터오늘은'화성 세렝게티의 삘기꽃을 찾아가는 힐링여행(사강시장-천등산-수섬-목섬-독지리-사강시장)'을 위해 길을 나선다.  ▼ 수원역 환승센터에서... ☞ 여기서.. 2023. 5. 10.
해당화 海棠花 / 꽃말 : 온화, 미인의 잠결 해당화 海棠花 / 꽃말 : 온화, 미인의 잠결 분류 : 장미목 > 장미과 > 장미속 꽃색 : 붉은색 학명 : Rosa rugosa Thunb. 개화기 : 7월, 6월, 5월 분포지역 중국. 일본. 함경남북도, 황해도 ~ 충청남도, 강원도 등 해안가에 분포. 형태 낙엽 활엽 관목 크기 높이 1.5m. 잎 잎은 어긋나기하며 홀수 깃모양겹잎이고 소엽은 7 ~ 9개로 두껍고 타원형이며 예두 또는 둔두이고 넓은 예저이며 길이 2 ~ 5cm로, 표면에 주름살이있고 윤채가 있으며 뒷면 맥이 튀어나오고 잔털 밀생하며 선점이 있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꽃 꽃은 5 ~ 7월에 새가지 끝에 피며 지름 6 ~ 9cm로 진한 분홍색이고 꽃받침통은 둥글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꽃잎은 넓은 거꿀달걀형으로 끝이 오목하다. 열매 열.. 2023. 5. 10.
해당화 海棠花 / 꽃말 : 온화, 미인의 잠결 해당화 海棠花 / 꽃말 : 온화, 미인의 잠결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장미목 > 장미과 > 장미속 원산지 : 아시아 서식지 : 바닷가 모래 크기 : 약 1m ~ 1.5m 학명 : Rosa rugosa Thunb. var. rugosa 꽃말 : 온화, 미인의 잠결 요약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관목. 원산지는 한국, 일본, 사할린, 만주, 쿠릴열도, 캄차카 등의 아시아 지역이고, 동아시아의 온대에서 아한대에 걸쳐 널리 분포한다. 바닷가의 모래밭이나 산기슭에서 자라고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장미속의 다른 종들과 함께 건위제·강장제·통경제로 사용되며 유방염·당뇨병 등에도 쓴다. 꽃에 방향성 정유가 많아 향수의 원료가 되기도 하고, 열매의 육질부를 사용하기도 한다. 뿌리는 염료로 사용한다. 개요.. 2023. 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