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592

[20230423] 광명알프스종주산행(도덕산ㆍ구름산ㆍ가학산ㆍ서독산 연계산행) & 광명누리길 일주를 다녀오다 - 3부 4월 23일(일)'광명알프스종주산행(도덕산ㆍ구름산ㆍ가학산ㆍ서독산 연계산행) & 광명누리길 일주'를 다녀오다.'광명알프스종주산행(도덕산ㆍ구름산ㆍ가학산ㆍ서독산 연계산행) & 광명누리길 일주' 코스 철산역→소망교회→도덕산 야생화동산→도문산→도문산 4거리→인공폭포/출렁다리→도덕산 정상(도덕정:183m)→수양고개→밤일분기점→광산김씨묘→밤일갈림길→충주평씨 시조묘→밤일육교→노온정수장→한치고개 육교→구름산 갈림길→새미약수터→진달래약수터→천연약수터→구름산 정상(운산정:237m)→장절리방향 돌계단→군부대후문→광명터널(상부)→영당정쉼터→노두갈림길→가학산 정상(가학정:216m)→보전소나무지역→도고내고개→광명동굴→광해쉼터→소통쉼터→장절리 삼거리→군부대 후문→구름산정상 갈림길→천연약수터→진달래약수터→새미약수터→구름산 갈림길→너덜.. 2023. 4. 23.
[20230423] 광명알프스종주산행(도덕산ㆍ구름산ㆍ가학산ㆍ서독산 연계산행) & 광명누리길 일주를 다녀오다 - 2부 4월 23일(일)'광명알프스종주산행(도덕산ㆍ구름산ㆍ가학산ㆍ서독산 연계산행) & 광명누리길 일주'를 다녀오다.'광명알프스종주산행(도덕산ㆍ구름산ㆍ가학산ㆍ서독산 연계산행) & 광명누리길 일주' 코스 철산역→소망교회→도덕산 야생화동산→도문산→도문산 4거리→인공폭포/출렁다리→도덕산 정상(도덕정:183m)→수양고개→밤일분기점→광산김씨묘→밤일갈림길→충주평씨 시조묘→밤일육교→노온정수장→한치고개 육교→구름산 갈림길→새미약수터→진달래약수터→천연약수터→구름산 정상(운산정:237m)→장절리방향 돌계단→군부대후문→광명터널(상부)→영당정쉼터→노두갈림길→가학산 정상(가학정:216m)→보전소나무지역→도고내고개→광명동굴→광해쉼터→소통쉼터→장절리 삼거리→군부대 후문→구름산정상 갈림길→천연약수터→진달래약수터→새미약수터→구름산 갈림길→너덜.. 2023. 4. 23.
[20230423] 광명알프스종주산행(도덕산ㆍ구름산ㆍ가학산ㆍ서독산 연계산행) & 광명누리길 일주를 다녀오다 - 1부 4월 23일(일)'광명알프스종주산행(도덕산ㆍ구름산ㆍ가학산ㆍ서독산 연계산행) & 광명누리길 일주'를 다녀오다.'광명알프스종주산행(도덕산ㆍ구름산ㆍ가학산ㆍ서독산 연계산행) & 광명누리길 일주' 코스 철산역→소망교회→도덕산 야생화동산→도문산→도문산 4거리→인공폭포/출렁다리→도덕산 정상(도덕정:183m)→수양고개→밤일분기점→광산김씨묘→밤일갈림길→충주평씨 시조묘→밤일육교→노온정수장→한치고개 육교→구름산 갈림길→새미약수터→진달래약수터→천연약수터→구름산 정상(운산정:237m)→장절리방향 돌계단→군부대후문→광명터널(상부)→영당정쉼터→노두갈림길→가학산 정상(가학정:216m)→보전소나무지역→도고내고개→광명동굴→광해쉼터→소통쉼터→장절리 삼거리→군부대 후문→구름산정상 갈림길→천연약수터→진달래약수터→새미약수터→구름산 갈림길→너덜.. 2023. 4. 23.
벌깨덩굴, 줄방아나물, Nettle-leaf mint 벌깨덩굴, 줄방아나물, Nettle-leaf mint 분류 : 통화식물목 > 꿀풀과 > 벌깨덩굴속 꽃색 : 자주색 학명 : Meehania urticifolia (Miq.) Makino 개화기 : 5월 분포지역 • 중국북부,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전국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여러해살이풀이다. 크기 화경의 높이가 15~30cm이다. 잎 꽃대에 5쌍 정도의 잎이 붙어 있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엽병이 있으며 삼각상 심장형 또는 난상 심장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길이 2-5cm, 나비 2-3.5cm이지만 덩굴의 잎은 지름이 10cm에 달하며 윗부분의 잎은 엽병이 없다. 꽃 꽃은 5월에 피고 화경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큰 순형화가 한쪽을 향해 4개 정도 달리며 꽃받침은 길이 1cm정.. 2023. 4. 23.
산사나무, 山査(산사), Chinese Hawthorn 산사나무, 山査(산사), Chinese Hawthorn 분류 : 장미목 > 장미과 > 산사나무속 꽃색 : 흰색 학명 : Crataegus pinnatifida Bunge 개화기 : 4월, 5월 분포지역 일본, 중국, 극동러시아; 평안남북도, 함경남북도에서 강원도, 경기도 북부 및 경상북도까지 분포하지만 주로 경기도에서 확인되며 제주도에도 분포. 형태 낙엽 활엽 교목. 크기 높이 6m. 잎 잎은 어긋나기하고 넓은 달걀모양, 삼각상 달걀모양 또는 능상 달걀모양이며 절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 5~10㎝, 너비 4 ~ 7cm로서 5~9개의 깃모양으로 깊게 갈라지며 밑부분의 열편은 흔히 주맥까지 갈라지고 양면의 주맥과 측맥에 털이 있으며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윤채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하고 불규칙한 톱니가 .. 2023. 4. 23.
[20230422] 노원나들이 - 당현천 유럽정원ㆍ불암산 철쭉동산ㆍ불암산둘레길ㆍ경춘선숲길(화랑대철도공원)ㆍ묵동천 이어 걷기 - 3부 4월 22일(토) 노원나들이 - 당현천ㆍ불암산 철쭉동산ㆍ불암산둘레길ㆍ경춘선숲길(화랑대철도공원)ㆍ묵동천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 '노원나들이 - 당현천ㆍ불암산 철쭉동산ㆍ불암산둘레길ㆍ경춘선숲길(화랑대철도공원)ㆍ묵동천 이어 걷기' 코스 월계역→중랑천연결브릿지(한내교)→중랑천→노원 만남의 광장→당현천합수부(당현4교)→당현천 따라→토끼와 거북이의 유럽정원→김시습동상→당현루→상계역→삿갓봉근린공원→불암산 힐링타운 입구→생태연못→철쭉동산→불암산 전망대→불암산둘레길 따라→공룡바위→넓적바위(여근바위)→104마을 갈림길→삼육대 갈림길→제명호→삼육대 정문→육교→경춘선숲길 따라→태릉골프장 정문→육사 제2정문→舊화랑대역→화랑대 철도공원(노원불빛정원)→육사3거리→화랑대역→묵동천 따라→먹골교→월릉교→석계역 오늘은 '노원나들이 - 당현.. 2023. 4. 22.
[20230422] 노원나들이 - 당현천 유럽정원ㆍ불암산 철쭉동산ㆍ불암산둘레길ㆍ경춘선숲길(화랑대철도공원)ㆍ묵동천 이어 걷기 - 2부 4월 22일(토) 노원나들이 - 당현천ㆍ불암산 철쭉동산ㆍ불암산둘레길ㆍ경춘선숲길(화랑대철도공원)ㆍ묵동천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 '노원나들이 - 당현천ㆍ불암산 철쭉동산ㆍ불암산둘레길ㆍ경춘선숲길(화랑대철도공원)ㆍ묵동천 이어 걷기' 코스 월계역→중랑천연결브릿지(한내교)→중랑천→노원 만남의 광장→당현천합수부(당현4교)→당현천 따라→토끼와 거북이의 유럽정원→김시습동상→당현루→상계역→삿갓봉근린공원→불암산 힐링타운 입구→생태연못→철쭉동산→불암산 전망대→불암산둘레길 따라→공룡바위→넓적바위(여근바위)→104마을 갈림길→삼육대 갈림길→제명호→삼육대 정문→육교→경춘선숲길 따라→태릉골프장 정문→육사 제2정문→舊화랑대역→화랑대 철도공원(노원불빛정원)→육사3거리→화랑대역→묵동천 따라→먹골교→월릉교→석계역 오늘은 '노원나들이 - 당현.. 2023. 4. 22.
[20230422] 노원나들이 - 당현천 유럽정원ㆍ불암산 철쭉동산ㆍ불암산둘레길ㆍ경춘선숲길(화랑대철도공원)ㆍ묵동천 이어 걷기 - 1부 4월 22일(토) 노원나들이 - 당현천ㆍ불암산 철쭉동산ㆍ불암산둘레길ㆍ경춘선숲길(화랑대철도공원)ㆍ묵동천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 '노원나들이 - 당현천ㆍ불암산 철쭉동산ㆍ불암산둘레길ㆍ경춘선숲길(화랑대철도공원)ㆍ묵동천 이어 걷기' 코스 월계역→중랑천연결브릿지(한내교)→중랑천→노원 만남의 광장→당현천합수부(당현4교)→당현천 따라→토끼와 거북이의 유럽정원→김시습동상→당현루→상계역→삿갓봉근린공원→불암산 힐링타운 입구→생태연못→철쭉동산→불암산 전망대→불암산둘레길 따라→공룡바위→넓적바위(여근바위)→104마을 갈림길→삼육대 갈림길→제명호→삼육대 정문→육교→경춘선숲길 따라→태릉골프장 정문→육사 제2정문→舊화랑대역→화랑대 철도공원(노원불빛정원)→육사3거리→화랑대역→묵동천 따라→먹골교→월릉교→석계역 오늘은 '노원나들이 - 당현.. 2023. 4. 22.
긴병꽃풀 긴병꽃풀 분류 : 통화식물목 > 꿀풀과 > 긴병꽃풀속 꽃색 : 자주색 학명 : Glechoma grandis (A.Gray) Kuprian. 개화기 : 4월, 5월 분포지역 전남(광주), 경남(산청), 경기(북한산), 황해 이북에 나며 일본, 만주, 아무르, 우수리,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형태 여러해살이풀이다. 잎 잎은 마주나기하고 달걀모양 또는 콩팥모양으로 길이 1.5~2.5cm, 나비 2~3cm이며 끝은 둥글고 밑은 심장형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 꽃은 4∼5월에 연한 자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 1~3개씩 달리며 그루에 따라 꽃이 큰 것과 작은 2형이 있다. 꽃받침은 통상으로 15맥이 있고 얕게 5열하며 열편 끝이 바늘처럼 뾰족하다. 꽃부리는 통상 순형으로 길이 15~25mm이고 수술은 .. 2023. 4. 20.
광대나물, 코딱지나물, 광주리나물, 목걸레나물, 작은잎광대수염, 진주연, 보개초(寶蓋草), 등룡초(燈龍草), 풍잔(風盞) 광대나물, 코딱지나물, 광주리나물, 목걸레나물, 작은잎광대수염, 진주연, 보개초(寶蓋草), 등룡초(燈龍草), 풍잔(風盞)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꿀풀목 > 꿀풀과 > 광대나물속 서식지 : 숲의 가장자리, 길가, 밭 학명 : Lamium amplexicaule L. 국내분포 : 전국 해외분포 : 중국, 일본, 러시아, 동남아시아, 서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개요 전국의 양지바른 밭이나 길가에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밑에서 많이 갈라지며, 높이 10-30cm, 자줏빛이 돈다. 잎은 마주나며, 아래쪽의 것은 원형으로 잎자루가 길다. 위쪽 잎은 잎자루가 없고 반원형, 양쪽에서 줄기를 완전히 둘러싼다. 꽃은 3-5월에 잎겨드랑이에서 여러 개가 피며, 붉은 보라색이다. 보통 이른 봄에 꽃이 피지.. 2023. 4. 20.
애기나리, fairy-bells 애기나리, fairy-bells 분류 : 백합목 > 백합과 > 애기나리속 꽃색 : 녹색 학명 : Disporum smilacinum A.Gray 개화기 : 4월, 5월 분포지역 중부 이남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크기 높이 15-40cm이다. 잎 잎은 어긋나기하며 난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4-7cm, 폭 1.5-3.5cm로서 끝이 뾰족하며 엽병이 없고 밑부분은 둥글며 갑자기 좁아져서 원줄기에 달리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세포가 반달모양으로 선다. 꽃 꽃은 4-5월에 피며 가지끝에 1~2개의 연한 녹색꽃이 밑을 향해 달리고 꽃자루는 길이 1-2cm이며 꽃잎은 길이 15-18mm로서 6개가 비스듬히 퍼지고 끝이 날카로운 피침형으로 된다. 수술은 6개로서 화피밑에 달리며 수술대는 길이 5-6mm이고.. 2023. 4. 20.
일본 매자나무 일본 매자나무 학명 : Berberis thunbergii DC. 생물학적 분류 계 : 식물계(Plantae) 문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강 :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 꽃말 : 싫증 특징 높이 2m 정도 자라는 낙엽성 소관목으로 많은 가지가 분지한다. 가지는 능조(稜條)가 있고 갈색이다. 가시는 1개 또는 3개가 있고 길이는 5∼18㎜이다. 잎은 새로 나오는 어린 가지에서 호생하며 도란형 또는 좁은 도란형으로 표면은 광택이 있는 녹색이고 뒷면은 연녹색으로 후에는 흰색을 띠는 것도 있다. 꽃은 황색으로 늘어져서 피며 외면은 약간 적색이고 직경이 8∼10㎜로 단생 또는 2∼4송이의 꽃이 총상으로 핀다. 꽃자루는 6∼10㎜이고 열매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는 1㎝ 정도 된다. 원.. 2023. 4. 20.
[한양의 수도 성곽 - 한양도성ㆍ탕춘대성ㆍ북한산성] 兩亂 겪으며 계속 쌓고 고쳐… 3개의 수도 성벽 완성했죠 [한양의 수도 성곽 - 한양도성ㆍ탕춘대성ㆍ북한산성] 兩亂 겪으며 계속 쌓고 고쳐… 3개의 수도 성벽 완성했죠 ▲ 한양도성 성곽길. /위키피디아문화재청이 서울·경기의 '한양의 수도 성곽'을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신청 후보로 선정했다는 뉴스가 나왔어요. 오는 9월 예비평가 신청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할 계획입니다. '한양의 수도 성곽'이란 조선시대 수도였던 한양을 지키기 위해 만든 한양도성과 북한산성·탕춘대성을 포함하는 개념이에요. 18㎞ 도성 쌓고 8개 문 만들어 "이제 새 도읍에 성을 쌓도록 하시오!" 조선왕조가 개국한 지 4년째 되는 해인 1395년 9월, 태조 이성계는 그 전해 막 천도(遷都·수도를 옮김)한 한양에 성곽을 축조할 것을 명했어요. 왕명을 받은 신하는 개국공신 정도전(1342~1398)이었.. 2023. 4. 20.
군포 초막골생태공원 물새연못에서 만난 아프리카거위 군포 초막골생태공원 물새연못에서 만난 아프리카거위 아프리카거위 분류 : 척삭동물문 - 조류강 - 기러기목 - 오리과 학명 : Anser domesticus 수명 : 40~50년 먹이 : 잡식성 산란 : 봄, 가을(연 2회) 부화기간 : 약 30일 2023. 4. 19.
[20230419] 군포나들이 - 초막골생태공원ㆍ철쭉동산ㆍ수리산임도ㆍ덕고개당숲ㆍ백합나무군락지ㆍ반월호수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 - 4부 4월 19일(수) 군포나들이 - 초막골생태공원ㆍ철쭉동산ㆍ수리산임도ㆍ덕고개당숲ㆍ백합나무군락지ㆍ반월호수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 '군포나들이 - 초막골생태공원ㆍ철쭉동산ㆍ수리산임도ㆍ덕고개당숲ㆍ백합나무군락지ㆍ반월호수 이어 걷기' 코스 산본역→체육광장사거리→산불감시초소→밤바위정→금당터널위→밤바위산(181.4m)→감투봉약수터위→감투봉(185m)→능내정→초막골생태공원(향기숲→반디뜨락→초록마당→물새연못→하천생태원→초막동천/인공폭포→미니수련원→옹기원→초막골생태공원입구)→철쭉동산→철쭉공원→이기조선생묘→철쭉동산 전망대→초막골생태공원 갈림길→능내정→무성봉(258m)→임도오거리(하늘정)→덕고개→덕고개당숲→덕고개→백합나무군락지→반월천→둔대2교→반월호수→죽암천누리길→죽암교→돈대초교→대야미역 오늘은 '군포나들이 - 초막골생태공원ㆍ철쭉.. 2023. 4. 19.
[20230419] 군포나들이 - 초막골생태공원ㆍ철쭉동산ㆍ수리산임도ㆍ덕고개당숲ㆍ백합나무군락지ㆍ반월호수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 - 3부 4월 19일(수) 군포나들이 - 초막골생태공원ㆍ철쭉동산ㆍ수리산임도ㆍ덕고개당숲ㆍ백합나무군락지ㆍ반월호수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 '군포나들이 - 초막골생태공원ㆍ철쭉동산ㆍ수리산임도ㆍ덕고개당숲ㆍ백합나무군락지ㆍ반월호수 이어 걷기' 코스 산본역→체육광장사거리→산불감시초소→밤바위정→금당터널위→밤바위산(181.4m)→감투봉약수터위→감투봉(185m)→능내정→초막골생태공원(향기숲→반디뜨락→초록마당→물새연못→하천생태원→초막동천/인공폭포→미니수련원→옹기원→초막골생태공원입구)→철쭉동산→철쭉공원→이기조선생묘→철쭉동산 전망대→초막골생태공원 갈림길→능내정→무성봉(258m)→임도오거리(하늘정)→덕고개→덕고개당숲→덕고개→백합나무군락지→반월천→둔대2교→반월호수→죽암천누리길→죽암교→돈대초교→대야미역 오늘은 '군포나들이 - 초막골생태공원ㆍ철쭉.. 2023. 4. 19.
[20230419] 군포나들이 - 초막골생태공원ㆍ철쭉동산ㆍ수리산임도ㆍ덕고개당숲ㆍ백합나무군락지ㆍ반월호수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 - 2부 4월 19일(수) 군포나들이 - 초막골생태공원ㆍ철쭉동산ㆍ수리산임도ㆍ덕고개당숲ㆍ백합나무군락지ㆍ반월호수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 '군포나들이 - 초막골생태공원ㆍ철쭉동산ㆍ수리산임도ㆍ덕고개당숲ㆍ백합나무군락지ㆍ반월호수 이어 걷기' 코스 산본역→체육광장사거리→산불감시초소→밤바위정→금당터널위→밤바위산(181.4m)→감투봉약수터위→감투봉(185m)→능내정→초막골생태공원(향기숲→반디뜨락→초록마당→물새연못→하천생태원→초막동천/인공폭포→미니수련원→옹기원→초막골생태공원입구)→철쭉동산→철쭉공원→이기조선생묘→철쭉동산 전망대→초막골생태공원 갈림길→능내정→무성봉(258m)→임도오거리(하늘정)→덕고개→덕고개당숲→덕고개→백합나무군락지→반월천→둔대2교→반월호수→죽암천누리길→죽암교→돈대초교→대야미역 오늘은 '군포나들이 - 초막골생태공원ㆍ철쭉.. 2023. 4. 19.
[20230419] 군포나들이 - 초막골생태공원ㆍ철쭉동산ㆍ수리산임도ㆍ덕고개당숲ㆍ백합나무군락지ㆍ반월호수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 - 1부 4월 19일(수) 군포나들이 - 초막골생태공원ㆍ철쭉동산ㆍ수리산임도ㆍ덕고개당숲ㆍ백합나무군락지ㆍ반월호수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 '군포나들이 - 초막골생태공원ㆍ철쭉동산ㆍ수리산임도ㆍ덕고개당숲ㆍ백합나무군락지ㆍ반월호수 이어 걷기' 코스 산본역→체육광장사거리→산불감시초소→밤바위정→금당터널위→밤바위산(181.4m)→감투봉약수터위→감투봉(185m)→능내정→초막골생태공원(향기숲→반디뜨락→초록마당→물새연못→하천생태원→초막동천/인공폭포→미니수련원→옹기원→초막골생태공원입구)→철쭉동산→철쭉공원→이기조선생묘→철쭉동산 전망대→초막골생태공원 갈림길→능내정→무성봉(258m)→임도오거리(하늘정)→덕고개→덕고개당숲→덕고개→백합나무군락지→반월천→둔대2교→반월호수→죽암천누리길→죽암교→돈대초교→대야미역 오늘은 '군포나들이 - 초막골생태공원ㆍ철쭉.. 2023. 4. 19.
분꽃나무, 분화목(粉花木), Korean spice viburnum 분꽃나무, 분화목(粉花木), Korean spice viburnum 분류 : 산토끼꽃목 > 인동과 > 산분꽃나무속 꽃색 : 붉은색, 백색 학명 : Viburnum carlesii Hemsl. 개화기 : 4월, 5월 분포지역 일본; 황해도, 경기도, 충청남도, 전라남북도 등의 주로 서해안에 분포. 형태 낙엽 활엽 관목. 크기 높이 2m. 잎 잎은 마주나기하며 넓은 달걀형이고 심장저이며 길이와 폭이 각 4 ~ 6(10)cm × 4 ~ 5(7)cm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표면에 별모양 털이 드문드문 있으며, 뒷면에 별모양 털이 밀생하고 잎자루는 길이 5 ~ 10mm이다. 꽃 꽃은 4월 중순 ~ 5월 중순에 피고 취산꽃차례는 전년지 끝 또는 1쌍의 잎이 달려있는 짧은 가지 끝에 달리고 지름이 5 .. 2023. 4. 19.
각시붓꽃을 위한 연가 / 복효근 2023. 4. 17.
각시붓꽃, 의남(宜男), 노총(蘆葱), 지인삼(地人蔘) 각시붓꽃, 의남(宜男), 노총(蘆葱), 지인삼(地人蔘) 학명 : Iris rossii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산지, 풀밭 번식 : 씨 약효 부위 : 열매·씨 생약명 : 흑호마(黑胡麻) 키 : 10~20cm 과 : 붓꽃과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채취기간 : 9월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평온하며, 달다. 독성여부 : 약간 있다. 1회 사용량 : 기름 20g, 씨 30g 주의사항 : 오래 써도 무방하나, 한 번에 많은 양을 복용하면 설사를 한다. 잎 뿌리줄기에서 뭉쳐난다. 꽃이 필 때의 잎은 길이 20㎝ 정도로 꽃대와 길이가 비슷하지만, 꽃이 진 후에 성장하여 30㎝에 이른다. 나비는 2~5mm이고 칼 모양이다. 주맥은 뚜렷하지 않고 뒷부분은 분록색(粉綠色)이며 가장자리 윗부분에.. 2023. 4. 17.
조개나물 / 꽃말 : 순결, 존엄 조개나물 / 꽃말 : 순결, 존엄 분류 : 통화식물목 > 꿀풀과 > 조개나물속꽃색 : 자주색학명 : Ajuga multiflora Bunge개화기 : 5월, 6월 분포지역아무르, 우수리,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전남, 경북(대구, 팔공산), 경남, 경기(서울 근교, 광릉, 인천), 함남에 야생한다. 형태여러해살이풀 크기높이가 30cm이다. 잎잎은 마주나기하며 타원형 또는 달걀모양이고 길이 1.5-3cm, 나비 7-20mm로서 양면에 긴 융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가장자리에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개화기는 5-6월이고 잎겨드랑이에 자색 꽃이 총상꽃차례로 달리며 꽃받침은 통형이고 길이 7mm정도로서 반 이상 5개로 갈라진다. 꽃부리는 길이 2cm정도로서 .. 2023. 4. 17.
[20230416] 때늦은 강화도 진달래꽃산행(남산-노적산-혈구산-고려산-매봉산-북산) & 북문-고려궁지 벚꽃터널길 걷기를 다녀오다 - 4부 4월 16일(일) 때늦은 강화도 진달래꽃산행(남산-노적산-혈구산-고려산-매봉산-북산) & 북문-고려궁지 벚꽃터널길 걷기를 다녀오다. '때늦은 강화도 진달래꽃산행(남산-노적산-혈구산-고려산-매봉산-북산) & 북문-고려궁지 벚꽃터널길 걷기' 코스 강화자동차여객터미널→강화미술관→강화산성 남문→남산 정상(남장대)→국화리 공동묘지→노적산 정상→시리미마을(황련사입구)→전망바위→혈구산 정상(466m)→혈구산2봉(375m)→혈구산3봉(267.2m)→고비고개 구름다리→옛고비고개→고려산 정상(436.3m)→청련사/백련사 갈림길→낙타등길→매봉산 정상(215m)→진고개→교동 409 삼각점(126m)→북문(진송루)→고려궁지→강화성당→용흥궁→남문→강화자동차여객터미널 오늘은 '때늦은 강화도 진달래꽃산행(남산-노적산-혈구산-고려산-.. 2023. 4. 16.
[20230416] 때늦은 강화도 진달래꽃산행(남산-노적산-혈구산-고려산-매봉산-북산) & 북문-고려궁지 벚꽃터널길 걷기를 다녀오다 - 3부 4월 16일(일) 때늦은 강화도 진달래꽃산행(남산-노적산-혈구산-고려산-매봉산-북산) & 북문-고려궁지 벚꽃터널길 걷기를 다녀오다. '때늦은 강화도 진달래꽃산행(남산-노적산-혈구산-고려산-매봉산-북산) & 북문-고려궁지 벚꽃터널길 걷기' 코스 강화자동차여객터미널→강화미술관→강화산성 남문→남산 정상(남장대)→국화리 공동묘지→노적산 정상→시리미마을(황련사입구)→전망바위→혈구산 정상(466m)→혈구산2봉(375m)→혈구산3봉(267.2m)→고비고개 구름다리→옛고비고개→고려산 정상(436.3m)→청련사/백련사 갈림길→낙타등길→매봉산 정상(215m)→진고개→교동 409 삼각점(126m)→북문(진송루)→고려궁지→강화성당→용흥궁→남문→강화자동차여객터미널 오늘은 '때늦은 강화도 진달래꽃산행(남산-노적산-혈구산-고려산-.. 2023. 4. 16.
[20230416] 때늦은 강화도 진달래꽃산행(남산-노적산-혈구산-고려산-매봉산-북산) & 북문-고려궁지 벚꽃터널길 걷기를 다녀오다 - 2부 4월 16일(일) 때늦은 강화도 진달래꽃산행(남산-노적산-혈구산-고려산-매봉산-북산) & 북문-고려궁지 벚꽃터널길 걷기를 다녀오다. '때늦은 강화도 진달래꽃산행(남산-노적산-혈구산-고려산-매봉산-북산) & 북문-고려궁지 벚꽃터널길 걷기' 코스 강화자동차여객터미널→강화미술관→강화산성 남문→남산 정상(남장대)→국화리 공동묘지→노적산 정상→시리미마을(황련사입구)→전망바위→혈구산 정상(466m)→혈구산2봉(375m)→혈구산3봉(267.2m)→고비고개 구름다리→옛고비고개→고려산 정상(436.3m)→청련사/백련사 갈림길→낙타등길→매봉산 정상(215m)→진고개→교동 409 삼각점(126m)→북문(진송루)→고려궁지→강화성당→용흥궁→남문→강화자동차여객터미널 오늘은 '때늦은 강화도 진달래꽃산행(남산-노적산-혈구산-고려산-.. 2023. 4. 16.
[20230416] 때늦은 강화도 진달래꽃산행(남산-노적산-혈구산-고려산-매봉산-북산) & 북문-고려궁지 벚꽃터널길 걷기를 다녀오다 - 1부 4월 16일(일) 때늦은 강화도 진달래꽃산행(남산-노적산-혈구산-고려산-매봉산-북산) & 북문-고려궁지 벚꽃터널길 걷기를 다녀오다. '때늦은 강화도 진달래꽃산행(남산-노적산-혈구산-고려산-매봉산-북산) & 북문-고려궁지 벚꽃터널길 걷기' 코스 강화자동차여객터미널→강화미술관→강화산성 남문→남산 정상(남장대)→국화리 공동묘지→노적산 정상→시리미마을(황련사입구)→전망바위→혈구산 정상(466m)→혈구산2봉(375m)→혈구산3봉(267.2m)→고비고개 구름다리→옛고비고개→고려산 정상(436.3m)→청련사/백련사 갈림길→낙타등길→매봉산 정상(215m)→진고개→교동 409 삼각점(126m)→북문(진송루)→고려궁지→강화성당→용흥궁→남문→강화자동차여객터미널 오늘은 '때늦은 강화도 진달래꽃산행(남산-노적산-혈구산-고려산-.. 2023. 4. 16.
한양조씨 조한기의 처 전의이씨 효부 정려문(漢陽趙氏 趙漢起妻 全義李氏 孝婦 旌閭門) 한양조씨 조한기의 처 전의이씨 효부 정려문 (漢陽趙氏 趙漢起妻 全義李氏 孝婦 旌閭門) 소 재 지 : 월곡동 58-1 •현황 : 조한기 처 전의이씨 효부정문은 정면 1칸, 측면 1칸으로 지붕은 합각기와 지붕이다. 정문 안에 ‘효행기’가 있다. •행적 : 전의이씨(全義李氏)는 1660년 지금의 충남 아산에서 이지방(李志芳)의 맏딸로 태어나, 1676년 한양조씨(漢陽趙氏) 17세손 장남(良節公派/漢豊君派/嘉山公派)인 성균진사(成均進士) 조한기(趙漢起, 字 한숙漢叔)와 결혼한 후 남편을 공경하고 시부모님을 정성껏 모시며 가문의 법도를 충실히 따랐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숙종16년(1690년) 29세 나이로 남편이 사망하자 정성껏 장사 지내고 홀로 시부모님을 지성으로 모셨다. ▲ 효부 성균진사 조한기의 처 유인 .. 2023. 4. 15.
모과나무, Chaenomeles sinensis 모과나무, Chaenomeles sinensis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장미목 > 장미과 > 명자나무속 원산지 : 아시아 (중국) 서식지 : 토심이 깊고 비옥한 적윤지 크기 : 약 10m 학명 : Chaenomeles sinensis 꽃말 : 괴짜, 조숙 요약 장미과(薔薇科 Ros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 중국 원산으로 키가 높이 크며, 가을에 노란색의 열매가 열린다. 나무 줄기는 적갈색으로 윤기가 있으며, 잎은 어긋난다. 열매의 향이 좋아 차나 술의 재료로 쓰이고, 약재로도 사용한다. 개요 장미과 모과나무속에 속하는 낙엽교목. 학명은 ‘Chaenomeles sinensis’이다. 봄에 연분홍색 꽃이 피며, 가을에 노란색의 쭈글쭈글하고 못생긴 열매가 맺힌다. 열매의 향이 좋으나 날것으.. 2023. 4. 15.
모과나무, Chinese quince 모과나무, Chinese quince 분류 : 장미목 > 장미과 > 명자나무속 꽃색 : 붉은색 학명 : Chaenomeles sinensis (Thouin) Koehne 개화기 : 5월, 4월 분포지역 일본, 중국; 중부 이남 지역에 식재. 형태 낙엽 활엽 교목. 크기 높이 10m, 지름 80cm. 잎 잎은 어긋나기하고 타원상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며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잔톱니가 있으며 잎표면에는 털이 없고 뒷면에 털이 있으나점차 없어지며 턱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7~8㎜이며 가장자리에 샘털이 있고 곧 떨어진다. 꽃 꽃은 분홍색으로 4월 말에 피며 지름 2.5~3cm로서 가지끝에 1개씩 달리며 꽃받침조각은 달걀모양 둔두이고 선상의 톱니가 있으며 안쪽에 백색 면모가 있고 표면에 털이 없다. 꽃.. 2023. 4. 15.
[아무튼, 주말] 밥값이 무섭다고요? 이곳에선 만원이면 충분합니다 [아무튼, 주말] 밥값이 무섭다고요? 이곳에선 만원이면 충분합니다 미쉐린 셰프·음식 전문가가 추천한 만원 이하 맛집 21곳 2003년 ‘행복주식회사’라는 예능 프로그램이 있었다. 스타들이 1만원으로 일주일을 사는 리얼리티였다. 20년이 지난 지금, 1만원으로 일주일은커녕 한 끼 해결하기도 힘들어졌다. 먹고살기 팍팍한 세상, 1만원으로 영혼까지 만족시키는 음식은 없을까. 미쉐린 스타 셰프, 푸드 인플루언서, 음식 만화가 등 국내 음식 전문가 21명에게 물었다. /그래픽=송윤혜 /instagram @jaehanpark @whigon_life @muksunsaeng 닭진미강원집 “직원들하고 자주 가는 닭곰탕 집이에요. 진한 국물 맛도, 손으로 푹푹 찢어나오는 쫄깃한 닭고기도, 푹 익어 흐물거리는 깍두기까지 시.. 2023. 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