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하강일주(김포평화누리길 1코스 염하강철책길 + 강화나들길 2코스 호국돈대길 이어걷기)' 이야기
'염하강 일주(김포평화누리길 1코스 염하강철책길 + 강화나들길 2코스 호국돈대길 이어걷기)' 코스
강화역사관→舊강화대교 도강→포내천수문→포내배수펌프장→해병대훈련장→김포CC→고양리쉼터→원머루나루(고양포)→할머니매점
→쇄암리전망대쉼터→고란초삼거리→출렁다리→부래도쉼터→부래도(덕포나루)→손돌묘→덕포진 파수청터→덕포돈대→덕포진쉼터
→평화누리길1코스 입구→김포함상공원/대명항→호동천배수문→초지대교 도강→대선정(중식)→초지진→초지항활어회마을→덕진교
→덕진진(덕진돈대→경고비→남장포대→공조루)→광성보(광성포대→용두돈대→손돌목돈대→신미순의총→쌍충비각→안해루→광성돈대)
→강기운 의교비→강화전성→오두돈대→화도수문개축기사비→화도돈대→용당돈대→강화 더리미포구→강화외성→갑곶교→강화역사관
|
|
‘[염하(鹽河) or 염하강 鹽河江] - 강화해협 or 김포강화해협
인천광역시 강화군(강화도)과 경기도 김포시 사이에 있는 남북 방향의 좁은 해협(海峽)이다.
마치 강(江)과 같다 하여 염하(鹽河)라고 부르며 강화해협 또는 김포강화해협이라고도 한다.
폭이 좁은 곳은 200~300m, 넓은 곳은 1km 정도이고, 길이는 약 20km이다.
염하의 북쪽으로는 한강과 임진강, 예성강의 강물이 흘러들어 오는데,
염하는 교통의 요지였을 뿐 아니라 오랜 세월 동안 외세를 막는 군사적 요충지였는데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초지진(草芝鎭, 사적 제225호), 덕진진(德津鎭, 사적 제226호),
염하를 가로질러 강화대교와 초지대교가 놓여 있다.
08시 18분에 강화역사관을 출발하여 '염하강(김포강화해협) 일주'를 하고,
17시 40분에 강화역사관으로 원점회귀하였다.
▼ 덕진진의 공조루
▼ ?
▼ 마치 짝짓기하는 두꺼비형상의 바위
▼ 코끼리?
▼ 칠면조들을 만나고...
▼ 광성포대
▼ 용두돈대
용두돈대[龍頭墩臺]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佛恩面) 덕성리(德城里)에 있는 강화 53돈대의 하나.
광성보에 소속되어 있으며 해협을 따라 용머리처럼 돌출한 자연 암반을 이용하여 축조하였다.
고려시대부터 천연의 요새로 중요시되었으며 1679년(숙종 5)에 돈대가 세워졌다.
1866년의 병인양요(丙寅洋擾)와 1871년의 신미양요(辛未洋擾)를 치르면서
외국 함대들과 벌인 치열한 전투로 성벽이 크게 파괴되었으나, 1977년 강화 중요 국방유적 복원정화사업으로 다시 복원하였다.
당시 돈대 안에 강화전적지정화기념비를 세웠는데,
앞면에는 박정희 전 대통령의 글씨, 뒷면에는 이은상이 짓고 김충현이 글씨를 쓴 비문이 새겨져 있다.
돈대 앞을 흐르는 염하(강화와 김포의 경계를 이루는 수역)는 손돌풍으로 잘 알려져 있는 손돌목이다.
염하 건너편 덕포진 언덕 위에는 손돌풍 전설의 주인공 손돌의 묘가 있다.
[출처 : 두산백과]
▼ 손돌목돈대
손돌목 돈대[孫乭─墩臺]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佛恩面) 덕성리(德城里)에 있는 강화53돈대의 하나.
덕진돈대와 함께 덕진진에 소속되어 있으며 뱃사공 손돌의 전설에서 돈대의 이름을 땄다.
1679년(숙종 5)에 축조하였는데, 강화도의 다른 돈대들이 사각 모양인 것과는 달리 원 모양으로 만들었다.
1866년의 병인양요(丙寅洋擾)와 1871년의 신미양요(辛未洋擾) 때 외국 함대들과 치열한 전투가 있었던 곳으로서,
1977년 강화 중요 국방유적 복원정화사업으로 파괴되었던 성벽을 복원하였다.
돈대 입구에는 서해안 지역의 북한계선 식물인 탱자나무가 자라고 있다.
손돌목돈대에서 동쪽으로 내려다 보이는 곳에 용두돈대가 있는데,
그 앞의 염하(강화와 김포의 경계를 이루는 수역)를 뱃사공 손돌이 왕의 오해로 억울하게 죽은 곳이라 하여 손돌목이라고 한다.
염하 건너편 동남쪽에 덕포진이 있는데, 덕포진 언덕 위에 손돌의 묘가 있다.
[출처 : 두산백과]
▼ 신미순의총을 지나...
▼ 쌍충비각
쌍충비각[雙忠碑閣]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佛恩面) 덕성리(德城里)에 있는 비각.
비각 안에는 신미양요(辛未洋擾)의 광성보전투에서 순절한 조선 후기의 무신 어재연(魚在淵)과
그의 아우 어재순(魚在淳) 등의 전적을 기리는 전적비가 있다.
지정종목 : 향토문화재
지정번호 : 강화향토유적 제10호
지정일 : 1986년 04월 01일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佛恩面) 덕성리(德城里)
시대 : 조선
종류/분류 : 비각
1986년 4월 1일 강화군 향토유적 제10호로 지정되었다.
1871년 신미양요 당시 어재연, 어재순을 비롯한 전 수비군은 인원과 무기의 열세를 딛고
미국함대와 치열한 격전을 벌였으나 결국 대패하여 부상자 몇 명을 제외하고 전군이 장렬한 죽음을 맞이하였다.
비각은 후에 어씨 문중에서 이들의 충절을 기려 건립한 것으로
광성보 안에 있으며 1976년 광성돈대 복원작업의 일환으로 정비, 보수되었다.
해마다 음력 4월 24일이면 어씨 형제의 충절을 기리는 제를 올린다.
[출처 : 두산백과]
▼ 광성보 안해루
광성보[廣城堡]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 덕성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진보로서 강화 12진보 가운데 하나이다.
유형 : 유적
시대 : 조선/조선 후기
성격 : 성곽시설, 진보
건립시기·연도 : 1679년(숙종 5)
규모(면적) : 6,102㎡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 덕성리 833
소유자 : 국유, 사유
관리자 : 강화군
문화재 지정번호 : 사적 제227호
문화재 지정일 : 1971년 12월 28일
강화 12진보 가운데 하나이다.
사적 제227호. 지정면적 6,102㎡.
1658년(효종 9)에 강화유수 서원이(徐元履)가 설치하였는데,
1679년(숙종 5)에 축조된 오두(鰲頭)·화도(花島)·광성 등
세 돈대(墩臺)와 1874년에 축조된 오두정포대를 관할하였다.
이곳은 1871년(고종 8)의 신미양요 때 가장 치열한 격전지였다.
이 해에 통상을 요구하며 침입한 미국함대가
강화해협을 거슬러 올라오는 것을 광성·초지(草芝)·덕진(德津)·덕포(德浦) 포대에서
일제사격을 가하여 물리쳤으나, 4월 23일에 450명의 미국해병대가 초지진에 상륙하여 진을 점령하였다.
이튿날 미군이 북상하여 덕진진을 함락시키고 이어서 광성보로 쳐들어왔다.
광성보를 지키던 중군(中軍) 어재연(魚在淵) 이하 전장병은 열세한 무기로 분전하다가
중상으로 기동이 어려운 몇 명을 제외하고는 전원이 순국하였다.
이때 성첩과 문루가 파괴된 것을 1976년에 복원하는 동시에
당시 전사한 무명용사들의 무덤과 어재연의 쌍충비각(雙忠碑閣)을 보수, 정비하였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강화 광성보[江華 廣城堡]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佛恩面) 광성나루(광성진)에 있던 성보(城堡).
지정종목 : 사적
지정번호 : 사적 제227호
지정일 : 1971년 12월 28일
소장 : 강화군
시대 : 조선
종류/분류 : 성
크기 : 면적 61,000㎡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 덕성리 833
사적 제 227호.
강화해협을 지키는 중요한 요새로, 강화 12진보(鎭堡)의 하나이다.
고려가 몽골의 침략에 대항하기 위하여 강화도로 천도 한 후에 돌과 흙을 섞어 해협을 따라 길게 쌓은 성이다.
조선시대 광해군 때 헐어진 데를 다시 고쳐 쌓았으며,
1658년(효종 9)에 강화유수 서원이 광성보를 설치하였다.
그 후 숙종 때(1679)에 이르러 완전한 석성(石城)으로 축조하였다.
1871년 신미양요 때 가장 치열했던 격전지이다.
그 해 통상을 요구하며 강화해협을 거슬러 올라오는 미국 극동함대를
초지진·덕진진·덕포진 등의 포대에서 일제사격을 가하여 물리쳤다.
그러나 4월 23일 미국 해병대가 초지진에 상륙하고,
24일에는 덕진진을 점령한 뒤, 여세를 몰아 광성보로 쳐들어왔다.
이 전투에서 조선군은 열세한 무기로 분전하다가 포로 되기를 거부,
몇 명의 중상자를 제외하고 전원이 순국하였다.
이 때 파괴된 문루와 돈대(墩臺)를 1976년에 복원하였으며,
당시 전사한 무명용사들의 무덤과 어재연(魚在淵) 장군의 전적비 등을 보수·정비하였다.
[출처 : 두산백과]
▼ 광성돈대
광성돈대[廣城墩臺]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 덕성리 833번지에 있는 조선시대의 돈대이다.
지정종목 : 사적
지정번호 : 사적 제227호
지정일 : 1971년 12월 28일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 덕성리 833
종류/분류 : 성곽
크기 : 면적 6,102㎡
광성보(사적 제227호)에 소속된 3개의 돈대 중 하나이며,
보급창고 역할을 했던 손돌목돈대와 용의 모양을 닮았다 해서 이름 붙여진 용두돈대가 있다.
1679년(조선 숙종 5년) 함경도, 황해도, 강원도의 승군 8000명과 어영군 4300명이 40여 일만에 완공하였다고 전해진다.
신미양요 때 파괴되었다가 1977년에 포좌 4개소와 포 3문을 복원 설치하였다.
돈대에 속한 홍이포는 포구에서 화약과 포탄을 장전한 다음
뒤쪽 구멍에서 점화해 사격하는 사정거리 700m의 포구장전식 화포이다.
포탄을 날아가기는 하지만 폭발하지 않기 때문에 위력은 약하다.
[출처 : 두산백과]
▼ 충장공 어재연장군 동상
▼ 충장공 어재연장군 동상
▼ 강기운 의교비
▼ 강화전성
강화전성[江華塼城]
강화전성인천 강화군 불은면 오두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성.
길이 270m, 높이 0.9∼1.2m.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0호.
이 성은 강화도에 축조된 고려 외성 중의 하나이다.
유형 유적
시대 : 고려/고려 후기, 조선/조선 후기
성격 : 성곽, 전성(塼城)
건립시기·연도 : 고려 후기(토성), 1744년(전성)
크기(높이, 길이, 둘레, 깊이) : 높이 0.9∼1.2m, 길이 270m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 오두리 563
소유자 : 국(재정경제부)외 4인
관리자 : 강화군
문화재 지정번호 :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0호
문화재 지정일 : 1995년 3월 1일
정의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 오두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성.
내용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0호.
길이 270m, 높이 0.9∼1.2m.
이 성은 강화도에 축조된 고려 외성 중의 하나로 밑 부분은 돌로 쌓고 윗부분은 벽돌로 쌓았다.
원래 이 성은 1231년(고종 18)에서 1270년(원종 11) 사이에 토성으로 축조되었다고 하며,
조선시대에 들어와 1742년(영조 18)에 강화유수 김시연(金時緛)이 벽돌을 구워
이 성을 개축할 것을 왕에게 청하여 허락을 받아 이듬해 공사를 시작하여 1743∼1744년간에 완공하였다고 한다.
그리하여 아래쪽은 돌로 쌓고 위쪽은 벽돌로 쌓았는데,
벽돌은 강회붙임으로 연결하고 어긋매김 공법으로 축조하여 허물어짐을 방지하였다.
원래 전체 높이 약 4m에 약 10리에 해당하는 부분은
벽돌로 개축하고 나머지 부분은 삼군문(三軍門)에서 축조하였는데,
현재는 약 270m 가량만이 군데군데 허물어진 채 남아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강화고지도> 18c후반 76.5*119cm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강화산성을 비롯하여 동쪽 해안의 강화외성, 정족산성, 문수산성 등이 검정색 굵은 선으로 강조되어 있다.
면 단위의 행정구역과 호구수, 강화부까지의 거리가 표시되어 있고, 상단의 지리지에는 강화에 대한 설명이 상세하다.
▼ 오두돈대
▼
▼ 화도교
▼ 화도돈대
화도돈대[花島墩臺]
인천광역시 강화군 선원면(仙源面)에 있는 조선시대의 국방 유적.
인천 강화군 선원면 연리. 인천문화재자료 제17호.
이 돈대는 숙종 5년(1679)에 유수 윤이제가 해안방어를 튼튼히 하고자 축조한 돈대이다.
지정종목 : 문화재자료
지정번호 : 인천문화재자료 제17호
지정일 : 1999년 03월 29일
소장 : 강화군
시대 : 조선
종류/분류 : 전적지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선원면 연리 54
1999년 3월 29일 인천광역시문화재자료 제17호로 지정되었다.
병자호란 후 강화도 해안지역의 방어를 튼튼히 하기 위하여 해안선을 따라 축조한
강화 53돈대 중 하나로 1679년(숙종 5)에 강화유수 윤이제(尹以濟)가
어영군(御營軍) 2,000여 명과 경기·충청·전라 3도 승군(僧軍) 8,000여 명을 동원하여 쌓았다.
강화도의 돈대는 53개 중 49개가 병자호란 43년 후인 숙종 5년에 만들어진 것이다.
조선시대 때 성곽이나 변방 요지에 세워 적의 움직임을 살피거나
공격에 대비하기 위하여 마련한 초소인 돈대는 일반적으로 주변보다 높은 평지에 쌓는데,
밖은 구릉을 깎아서 높게 하여 적의 침입을 막고 안은 낮게 하여 포를 설치하였다.
간척지 벌 가운데의 작은 동산 위에 위치하는 화도돈대는 오두돈대(鰲頭墩臺)·광성돈대와 함께
강화의 7보(堡) 5진(鎭) 중 하나인 광성보(廣城堡)의 관리하에 감시소와 방어진지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남쪽으로 700보 거리에 오두돈대가 있고 북쪽으로 1,390보 거리에 용당돈대(龍堂墩臺)로 이어진다.
강화외성과 연결되어 있으나 현재 주변의 외성은 소실되었다.
동쪽으로 나 있는 수구(水口) 옆에는 강화유수 한용탁(韓用鐸)이
1803년 세운 '화도수문개축기사비(花島水門改築記事碑)'가 있다.
성벽터로 볼 때 평면은 사각형이었던 것으로 추측되고,
북쪽에 무너진 성벽의 석재들이 약간 남아 있는 것을 제외하면
성벽의 터만 남아 있을 뿐 완전히 소실되었다.
돈대 내부는 과일나무를 심은 밭으로 일구어져 있다.
강화군이 소유·관리하고 있다.
[출처 : 두산백과]
▼ 화도돈대의 감나무
▼ 용당돈대
▼ 용진진
용진진[龍津鎭]
인천광역시 강화군 선원면 연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진(鎭).
인천 강화군 선원면 연리. 인천기념물 제42호.
조선시대 각 진에 배치되었던 병마만호의 관리하에 있었던 곳으로 101명의 병력이 주둔해 있었다.
조선 효종 7년(1656)에 축조되었으며 가리산돈대·좌강돈대·용당돈대 등 3개의 돈대를 관리하였다.
지정종목 : 시도기념물
지정번호 : 인천기념물 제42호
지정일 : 1999년 03월 29일
시대 : 조선
종류/분류 : 진지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선원면 연리 215 외 9필지
1999년 3월 29일 인천광역시기념물 제42호로 지정되었다.
군사적 요새로 조선시대인 1656년(효종 7)에 축조되었다.
가리돈대(加里墩臺)·좌강돈대(左岡墩臺)·용당돈대(龍堂墩臺) 등 3개의 돈대를 관할하였으며 돈군과 군보급품을 관리하였다.
용진진은 본래 병마만호(兵馬萬戶)의 관리 아래 있었고 군관 24명, 사병 59명, 진군 18명 등
모두 101명의 병력이 주둔하였으며 포를 놓는 자리인 포좌 4문, 총을 놓는 자리인 총좌 26개소의 시설물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석축 대부분이 없어지고 홍예 2문만이 남아 있었던 것을 1999년에 문루를 복원하였다.
왼쪽 홍예의 높이는 2.57m, 폭 4.15m, 두께 60∼61cm이고,
오른쪽 홍예의 높이는 2.14m, 폭 4.8m, 두께 50∼60cm의 규모이며 석재는 대리석이다.
[출처 : 두산백과]
▼ 용진진 문루인 참경루[斬鯨樓]
▼ 용진진 문루인 참경루[斬鯨樓]
▼ 좌강돈대에서 참경루를 내려다보니...
▼ 좌강돈대
▼ 용진진 주차장에서 도로 건너 음식점 뒤로 강화나들길이 이어진다.
▼ 좌강돈대
▼ 강화외성
강화 외성[江華 外城]
인천광역시 강화군 선원면과 불은면 일대에 있는 고려시대의 성.
지정종목 사적
지정번호 사적 제452호
지정일 2003년 10월 25일
소장 강화군
시대 고려
종류/분류 성지(성곽)
크기 26만 5,216㎡
소재지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선원면, 불은면, 길상면 일원
2003년 10월 25일 사적 제452호로 지정되었다.
이 외성은 1233년 몽골의 침입에 맞서기 위하여
강화의 동쪽 해안 방어를 위하여 적북돈대에서부터 초지진까지 쌓은 성이다.
그 둘레는 23km에 이른다.
바다를 건너 공격하지 못한 가장 중요한 방위시설이자
개경(開京)으로 천도한 정부가 39년간 육지로부터 보급물자를 지원받았던 곳이기도 하다.
외성은 높이 20척, 폭 5척이고,
조해루·복파루·진해루·참경루·공조루·안해루 등의 문루 6개소,
암문 6개소, 수문 17개소를 설치했다고 한다.
강화 외성은 고려 후기에서 7세기 후반까지 도성의 구조와 축성기법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출처 : 두산백과]
강화 외성[江華 外城]
종 목 사적 제452호
명 칭 강화 외성 (江華 外城)
분 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곽
수량/면적 255,544.9㎡
지정(등록)일 2003.10.25
소 재 지 인천 강화군 선원면 선원면, 불은면, 길상면 일원(강화도 동해안 일대)
시 대 고려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관리자(관리단체) 강화군
강화 외성에 대한 설명입니다.
강화외성은 고려 23대 고종이 1232년 몽고의 침입으로 강화도로 천도한 뒤
고종 20년(1233) 해안 방어를 위해 적북돈대로부터 초지진까지 23km에 걸쳐 쌓은 성이다.
강화성은 내성·중성·외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성은 주위 약 1,200m로 지금의 강화읍성이다.
외성은 동쪽 해안을 따라 쌓았는데
몽고군이 바다를 건너 공격하지 못하게 한 가장 중요한 방어시설이다.
『고려사』에 의하면 고려 고종 24년(1237)에 강화외성을 쌓았다는 기록이 있다.
이후 조선시대에도 비상시에 국왕의 피난처인
도성(都城)의 외성(外城)으로 광해군 10년(1618)에 보수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다가 숙종때 병자호란기(1636)에 허물어진 외성을 돌을 이용하여 다시 쌓았고 돈대(墩臺)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영조때 강화유수 김시혁(金始爀)이 비가 오면 성의 흙이 흘러내려 나라에 건의하여
영조 19년(1743)에서 이듬해에 걸쳐 벽돌을 이용하여 다시 쌓았다고 한다.
2001년 동양고고학연구소에서 실시한
오두돈 주변의 전축성 구간에 대한 지표조사 결과에 의하면,
뻘층을 기초로 머리돌을 올리고
그 위에 대형석재로 석벽의 중심을 삼고 그 위에 머리돌을 올리고
다시 전돌을 여러 단 쌓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성은 높이 20척, 폭 5척이며,
6개의 문루(조해루·복파루·진해루·참경루·공조루·안해루)와 암문 6개소,
수문 17개소를 설치하였다고 한다.
강화외성은 고려 후기∼17세기 후반 도성의 구조와 축성기법 연구에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된다.
특히, 이 성은 벽돌로 개축한 전축성(塼築城)이 오두돈 주변(남측)에 남아 있어
수원 화성(사적 제3호)과 더불어 전축성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해준다.
[출처 : 문화재청]
▼ 갑곶교를 건너...
▼ 염하강일주를 무사히 마치고...
▼ 강화역사관(강화전쟁기념관) 앞에서 마무리하고...
▼ 뒤풀이
☞ 이것으로 염하강 일주(김포평화누리길 1코스 염하강철책길 + 강화나들길 2코스 호국돈대길 이어걷기)를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