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592

각시붓꽃, 장미연미, 애기붓꽃, Long-tail iris / 꽃말 : 신비한 사람, 기별(奇別), 존경, 기쁜 소식 각시붓꽃, 장미연미, 애기붓꽃, Long-tail iris / 꽃말 : 신비한 사람, 기별(奇別), 존경, 기쁜 소식 분류 : 백합목 > 붓꽃과 > 붓꽃속 꽃색 : 보라색 꽃말 : 신비한 사람, 기별(奇別), 존경, 기쁜 소식 학명 : Iris rossii Baker 개화기 : 5월, 4월 분포지역 전국의 산지에 분포하고 중국 동부와 일본 남부에 분포한다. 형태 숙근성 여러해살이풀 크기 꽃대는 높이 5-15cm이며 잎은 길이 30cm에 이른다. 잎 꽃이 필 때의 잎은 꽃대와 길이가 거의 같지만 꽃이 진 다음 자라며 길이 30cm, 나비 2~5mm로서 주맥이 뚜렷치 않고 뒷면은 분록색이며 가장자리 윗부분에 잔돌기가 있다. 꽃 꽃은 4~5월에 피고 꽃대 선단에 지름 3.5-4cm로서 자주색이며 판통은 길이 .. 2023. 4. 14.
[20230414] 평택섶길 과수원길 따라 배꽃구경을 나섰다가 백운산ㆍ사직봉ㆍ오산에 오르고, 청용천ㆍ통복천 따라 평택역까지 걷다 - 3부 4월 14일(금)평택섶길 과수원길 따라 배꽃구경을 나섰다가 백운산ㆍ사직봉ㆍ오산에 오르고, 청용천ㆍ통복천 따라 평택역까지 걷다.'평택섶길 과수원길 따라 배꽃구경을 나섰다가 백운산ㆍ사직봉ㆍ오산에 오르고, 청용천ㆍ통복천 따라 평택역까지 걷기' 코스 평택역→버스이동→평택시청→과수원길 시점→시청뒤사거리→비전사거리→센트럴돔→이곡1교→이곡수변공원→배다리생태교→배다리저수지생태공원→골콤고개→기남방송→양성이씨세장산시조묘역→백운산갈비→굴다리→백운산 들머리→백운산 정상(190m)→삼거리→사직봉(167.2m)→삼거리→오산(115m)→법정사→굴다리→월곡동 한양조씨 효부 정려문→청용소하천→청용5교→청용2교→청용1교→칠원교→통복천→삼남길분기점→양성교→상서교→평택바람길숲→하서교→동삭1교→동삭교→검찰청입구사거리→농협사거리→통복시장→평택.. 2023. 4. 14.
[20230414] 평택섶길 과수원길 따라 배꽃구경을 나섰다가 백운산ㆍ사직봉ㆍ오산에 오르고, 청용천ㆍ통복천 따라 평택역까지 걷다 - 2부 4월 14일(금)평택섶길 과수원길 따라 배꽃구경을 나섰다가 백운산ㆍ사직봉ㆍ오산에 오르고, 청용천ㆍ통복천 따라 평택역까지 걷다.'평택섶길 과수원길 따라 배꽃구경을 나섰다가 백운산ㆍ사직봉ㆍ오산에 오르고, 청용천ㆍ통복천 따라 평택역까지 걷기' 코스 평택역→버스이동→평택시청→과수원길 시점→시청뒤사거리→비전사거리→센트럴돔→이곡1교→이곡수변공원→배다리생태교→배다리저수지생태공원→골콤고개→기남방송→양성이씨세장산시조묘역→백운산갈비→굴다리→백운산 들머리→백운산 정상(190m)→삼거리→사직봉(167.2m)→삼거리→오산(115m)→법정사→굴다리→월곡동 한양조씨 효부 정려문→청용소하천→청용5교→청용2교→청용1교→칠원교→통복천→삼남길분기점→양성교→상서교→평택바람길숲→하서교→동삭1교→동삭교→검찰청입구사거리→농협사거리→통복시장→평택.. 2023. 4. 14.
[20230414] 평택섶길 과수원길 따라 배꽃구경을 나섰다가 백운산ㆍ사직봉ㆍ오산에 오르고, 청용천ㆍ통복천 따라 평택역까지 걷다 - 1부 4월 14일(금)평택섶길 과수원길 따라 배꽃구경을 나섰다가 백운산ㆍ사직봉ㆍ오산에 오르고, 청용천ㆍ통복천 따라 평택역까지 걷다.'평택섶길 과수원길 따라 배꽃구경을 나섰다가 백운산ㆍ사직봉ㆍ오산에 오르고, 청용천ㆍ통복천 따라 평택역까지 걷기' 코스 평택역→버스이동→평택시청→과수원길 시점→시청뒤사거리→비전사거리→센트럴돔→이곡1교→이곡수변공원→배다리생태교→배다리저수지생태공원→골콤고개→기남방송→양성이씨세장산시조묘역→백운산갈비→굴다리→백운산 들머리→백운산 정상(190m)→삼거리→사직봉(167.2m)→삼거리→오산(115m)→법정사→굴다리→월곡동 한양조씨 효부 정려문→청용소하천→청용5교→청용2교→청용1교→칠원교→통복천→삼남길분기점→양성교→상서교→평택바람길숲→하서교→동삭1교→동삭교→검찰청입구사거리→농협사거리→통복시장→평택.. 2023. 4. 14.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책 22권 이으면 세로 6.7m의 전국 지도 완성돼요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책 22권 이으면 세로 6.7m의 전국 지도 완성돼요 대동여지도와 김정호 ▲ 22권의 지도를 모두 펼쳐 연결한 대동여지도의 모습. 세로 약 6.7m, 가로 약 3.8m의 대형 전국 지도가 완성돼요.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청은 지난달 30일 일본에서 들여온 새로운 형태의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를 공개했어요. 대동여지도는 조선 후기의 지리학자 고산자(古山子) 김정호(1804~1866 추정)가 제작한 지도예요. 지금까지 38점이 남아 있고, 그중 3점이 보물로 지정될 만큼 우리나라 전통 지도를 대표해요. 이번에 공개된 대동여지도는 1864년 제작한 목판본에 채색이 돼 있어요. 또 1856~1859년 김정호가 만든 또 다른 지도 '동여도(東輿圖)'에 실린 지리 정보가 여백 부분에 추가.. 2023. 4. 13.
철쭉, 개꽃나무, Royal azalea 철쭉, 개꽃나무, Royal azalea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철쭉목 > 진달래과 > 진달래속 서식지 : 산지 학명 :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 국내분포 : 전국 해외분포 : 중국(동북부) 개요 산에서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이다. 줄기는 높이 2-5m이다. 잎은 가지 끝에 4-5장씩 어긋나게 모여 나며 잎자루는 짧다. 잎몸은 도란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4-6월에 잎과 동시에 피며 가지 끝에 3-7개씩 산형으로 달리고 연분홍색 또는 드물게 흰색이다. 꽃자루는 길이 1-1.5cm이다. 화관은 깔때기 모양이며 윗부분 안쪽에 붉은 갈색 반점이 있다. 수술은 10개인데 그 중 5개가 길다.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삭과이며 난형이다. 우.. 2023. 4. 13.
애기똥풀, 씨아똥, 젖풀, 몰래주는 사랑을 담은 꽃 애기똥풀, 씨아똥, 젖풀, 몰래주는 사랑을 담은 꽃 분류 : 양귀비과 꽃색 : 노란색 학명 :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개화기 : 5월~8월 몰래주는 사랑을 담은 꽃 늦은 봄부터 늦여름까지 마을 주변의 길가나 풀밭에서 노란 꽃을 피우는 흔한 꽃이다. 크기는 30~80cm 정도이며 꽃은 5∼8월에 황색으로 피고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가지 끝에 퍼져서 꽃이 피며 몇 개가 달린다. 꽃의 지름은 2cm이고, 꽃받침조각은 2개이며 길이 6∼8mm의 타원 모양이고 일찍 떨어진다. 꽃잎은 4개이고 길이 12mm의 긴 달걀 모양이며, 수술은 많고, 암술은 1개이며 암술머리는 약간 굵고 끝이 2개로 얕게 갈라져 있다. 꽃, 씨앗, 열매 열매는 이삭모양이고 좁은 원기둥 모양.. 2023. 4. 13.
애기똥풀, 애기똥풀꽃 애기똥풀, 애기똥풀꽃, Asian greater celandine 분류 : 양귀비목 > 양귀비과 > 애기똥풀속 꽃색 : 노란색 학명 :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H. Hara) Ohwi 개화기 : 5월, 6월, 8월, 7월 분포지역 • 동부아시아의 온대에 분포한다. •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형태 두해살이풀 크기 높이는 30-80cm 가량된다. 잎 잎은 어긋나기하며 엽병이 있고 1-2회 넓게 우상전열(羽狀全裂) 또는 깊게 갈라지며 길이7-15cm, 나비5-10cm로서 끝이 둥글고 뒷면은 백색이며 털이 약간 남아 있기도 하고 표면은 녹색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와 결각이 있다. 열편은 도란상의 긴타원모양이다. 꽃 5-8월에 원줄기와 가지 끝에서 우상모양꽃차례가 발달하고 .. 2023. 4. 13.
큰구슬붕이 / 꽃말 : 희소식 큰구슬붕이 / 꽃말 : 희소식  분류 : 용담목 > 용담과 > 용담속꽃색 : 자주색</.. 2023. 4. 12.
매화말발도리 매화말발도리 분류 : 장미목 > 범의귀과 > 말발도리속 꽃색 : 백색 학명 : Deutzia uniflora Shirai 개화기 : 5월, 4월 분포지역 일본; 황해도 및 강원도 북부 이남. 형태 낙엽 활엽 관목. 크기 높이 1m. 잎 잎은 마주나기하고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점첨두이고 넓은 예저이며, 길이가 3 ~ 6.5cm , 너비 1 ~ 3cm로서 불규칙한 잔톱니가 있고, 양면에 4~6개로 갈라진 별모양의 털이 있다. 꽃 꽃은 4월 초 ~ 6월 초에 전년도 가지의 측면에서 1 ~ 3개씩 단일꽃차례로 피며 (바위말발도리, 꼬리말발도리, 말발도리, 물참대는 금년의 새가지에 꽃이 핌) 간혹 꽃밑에 1~2개의 잎이 달리는 수도 있고, 작은꽃대 길이 2~5mm로 별모양의 털이 밀생하며, 꽃받침통은 .. 2023. 4. 12.
[20230412] 양평 청계산ㆍ부용산ㆍ하계산 연계산행(국수역에서 양수역까지)을 다녀오다 - 3부 4월 12일(수) 양평 청계산ㆍ부용산ㆍ하계산 연계산행(국수역에서 양수역까지)을 다녀오다. '양평 청계산ㆍ부용산ㆍ하계산 연계산행(국수역에서 양수역까지)' 코스 국수역→굴다리→주차장→151.7봉→약수터갈림길→국수봉(285.6m)→안부사거리→도곡갈림길→형제봉(509m)→형제봉 북봉→탑골 갈림길→송전탑→노송쉼터→무덤→청계산 정상(658m)→탑골 갈림길→형제봉(509m)→형제봉 서봉→송전탑→비득고개→송전탑→샘골고개(돌탑)→부용산 정상(부인당:366m)→헬기장→경주이씨 묘역→전망데크→능선 삼거리(양수역, 용담IC 방향으로)→하계산 정상(326m)→안부 삼거리→철쭉군락지→지적삼각점→오두고개→담양전씨묘→파평윤씨묘→용담나들목→기두원교→세미원 앞→양수리 용담정원→양수리 맛집→양수역 오늘은 '양평 청계산ㆍ부용산ㆍ하계산 연계.. 2023. 4. 12.
[20230412] 양평 청계산ㆍ부용산ㆍ하계산 연계산행(국수역에서 양수역까지)을 다녀오다 - 2부 4월 12일(수) 양평 청계산ㆍ부용산ㆍ하계산 연계산행(국수역에서 양수역까지)을 다녀오다. '양평 청계산ㆍ부용산ㆍ하계산 연계산행(국수역에서 양수역까지)' 코스 국수역→굴다리→주차장→151.7봉→약수터갈림길→국수봉(285.6m)→안부사거리→도곡갈림길→형제봉(509m)→형제봉 북봉→탑골 갈림길→송전탑→노송쉼터→무덤→청계산 정상(658m)→탑골 갈림길→형제봉(509m)→형제봉 서봉→송전탑→비득고개→송전탑→샘골고개(돌탑)→부용산 정상(부인당:366m)→헬기장→경주이씨 묘역→전망데크→능선 삼거리(양수역, 용담IC 방향으로)→하계산 정상(326m)→안부 삼거리→철쭉군락지→지적삼각점→오두고개→담양전씨묘→파평윤씨묘→용담나들목→기두원교→세미원 앞→양수리 용담정원→양수리 맛집→양수역 오늘은 '양평 청계산ㆍ부용산ㆍ하계산 연계.. 2023. 4. 12.
[20230412] 양평 청계산ㆍ부용산ㆍ하계산 연계산행(국수역에서 양수역까지)을 다녀오다 - 1부 4월 12일(수) 양평 청계산ㆍ부용산ㆍ하계산 연계산행(국수역에서 양수역까지)을 다녀오다. '양평 청계산ㆍ부용산ㆍ하계산 연계산행(국수역에서 양수역까지)' 코스 국수역→굴다리→주차장→151.7봉→약수터갈림길→국수봉(285.6m)→안부사거리→도곡갈림길→형제봉(509m)→형제봉 북봉→탑골 갈림길→송전탑→노송쉼터→무덤→청계산 정상(658m)→탑골 갈림길→형제봉(509m)→형제봉 서봉→송전탑→비득고개→송전탑→샘골고개(돌탑)→부용산 정상(부인당:366m)→헬기장→경주이씨 묘역→전망데크→능선 삼거리(양수역, 용담IC 방향으로)→하계산 정상(326m)→안부 삼거리→철쭉군락지→지적삼각점→오두고개→담양전씨묘→파평윤씨묘→용담나들목→기두원교→세미원 앞→양수리 용담정원→양수리 맛집→양수역 오늘은 '양평 청계산ㆍ부용산ㆍ하계산 연계.. 2023. 4. 12.
으름넝쿨꽃 / 구재기 2023. 4. 11.
호제비꽃, 들제비꽃 / 꽃말 : 겸양, 수줍은 사랑 호제비꽃, 들제비꽃 / 꽃말 : 겸양, 수줍은 사랑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제비꽃목 > 제비꽃과 > 제비꽃속서식지 : 들, 밭꽃말 : 겸양, 수줍은 사랑학명 : Viola yedoensis Makino국내분포 : 전국해외분포 : 일본, 중국 개요전국의 들 양지바른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짧다. 줄기는 없다. 잎은 뿌리줄기에서 모여 나며, 삼각상 피침형, 길이 3-6cm, 폭 1-2cm이지만 나중에 더 커진다. 잎밑은 심장 모양 또는 자른 모양,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잎 앞면은 털이 조금 난다. 잎자루는 길이 2-5cm, 꽃이 진 후 더 길어지며, 날개가 없다. 꽃은 길이 1-5cm의 꽃줄기에 피며, 보라색이다. 꽃받침잎은 넓은.. 2023. 4. 11.
종지나물 / 미국제비꽃 종지나물 / 미국제비꽃 분류 : 제비꽃목 > 제비꽃과 > 제비꽃속 꽃색 : 노란색, 자주색, 백색 학명 : Viola papilionacea Pursh 개화기 : 5월, 4월 형태 여러해살이풀 잎 밑동에서 잎이 다보록하게 솟아나고, 잎자루는 잎몸보다 길며, 잎은 종지 모양이고, 심장형이며, 끝은 약간 뾰족하고,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꽃 꽃은 자색, 흰색, 황록색이 섞여 있다. 열매 열매는 긴 타원형이며, 녹색 또는 검은 자주색이고, 씨는 검은 갈색이다. 유사종 • 흰제비꽃 : 간혹 흰색 바탕에 자주색 줄이 있는 꽃이 피는 제비꽃이다. • 긴잎제비꽃 : 꽃은 연한 자주색, 부수체는 밋밋하며, 끝이 둥근 모양이다. 특징 • 8·15 후 미국에서 건너온 식물이다. 출처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2023. 4. 11.
우연은 신이 익명을 유지하는 기술이다 2023. 4. 11.
[1만원 내면 거스름돈 주는 맛집] 이 파스타가 단돈 4900원… 통영식 백반 한 상은 8000원 이 파스타가 단돈 4900원… 통영식 백반 한 상은 8000원 1만원 내면 거스름돈 주는 맛집 최근 서울 유명 평양냉면집 냉면 값이 1만6000원을 돌파했다. 점심 값이 뛰면서 ‘런치플레이션(점심+인플레이션)’이란 신조어도 나왔다. 한국소비자원 참가격 정보 서비스에 따르면, 지난 2월 서울 지역 평균 자장면 가격은 6723원, 삼계탕은 1만6115원, 비빔밥은 1만115원이다. 가격이 저렴하지만 맛있는 식당은 불가능한 것일까. 음식 평론가 정동현과 식문화 콘텐츠 기업 다이어리알 이윤화 대표에게 형용모순 같은 이 방정식을 풀어달라고 주문했다. 무조건 가격만 저렴한 식당이 아니라, 이 맛이면 돈을 더 내겠다는 생각이 드는 집들로 추렸다. 아무리 저렴해도 음식 재사용이나 청결 등이 문제가 되는 곳은 과감히 제.. 2023. 4. 11.
으름, Five leaf akebia, 목통(木通), 통초(通草), 임하부인(林下婦人) 으름, Five leaf akebia, 목통(木通), 통초(通草), 임하부인(林下婦人) 학명 : Akebia quinata 꽃말 : 재능 특징 요즘 도시 아이들은 잘 모르겠지만 예전에는 머루, 다래와 함께 산에서 쉽게 따먹을 수 있는 열매였다. 바르셀로나 올림픽 때 한국을 대표하는 수종으로 그곳 공원에 심겨졌던 나무이기도 하다. 다섯 개의 작은 잎이 하나로 모여 나는 모습이 보기가 좋다. 이용 덩굴성으로 가정 정원의 퍼골라나 울타리용 등으로 잘 어울리는 식물이다. 열매나 씨앗은 약용으로 이용되며, 과육은 생식용으로, 줄기는 바구니를 만드는데 이용된다고 한다. 기르기 추위에 견디는 힘이 보통으로 중부이남지역에서는 월동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건조나 음지에도 강해 적응범위가 넓다. 공해에는 약해 도로변 같.. 2023. 4. 10.
으름, 목통(木通), 통초(通草), 임하부인(林下婦人) 으름, 목통(木通), 통초(通草), 임하부인(林下婦人) 분류 : 으름덩굴과 학명 : Akebia quinata DECNE 요약 으름덩굴과에 속하는 낙엽 덩굴성 만목(蔓木). 내용 한자명은 목통(木通)·통초(通草)·임하부인(林下婦人)이며, 그 열매를 연복자(燕覆子)라 한다. 학명은 Akebia quinata DECNE이다. 다섯 개의 소엽(小葉)이 긴 잎자루에 달려서 장상(掌狀)으로 퍼진다. 봄에 암자색의 꽃이 피고 긴 타원형의 장과(漿果)가 암자색으로 가을에 익는다. 우리나라 산지에 자생하며, 나무를 타고 잘 올라간다. 열매는 맛이 달고 식용이지만 씨가 많이 들어 있다. 생김새나 맛이 바나나와 비슷하여 ‘코리언 바나나’로 부르기도 한다. 어린 순은 나물로 이용하고 줄기는 바구니제조 원료로, 줄기와 뿌리는.. 2023. 4. 10.
[흰라일락 / 흰서양수수꽃다리] 라일락, 라라꽃, 자정향(紫丁香), 양정향나무, 서양수수꽃다리 [흰라일락 / 흰서양수수꽃다리] 라일락, 라라꽃, 자정향(紫丁香), 양정향나무, 서양수수꽃다리 분류 : 낙엽 활엽 관목 학명 : Syringa vulgaris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정원에 식재 번식 : 꺾꽂이·실생·접목 약효 부위 : 꽃 키 : 5m 정도 과 : 물푸레나뭇과 잎 마주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길이 5~9cm인 삼각 모양의 넓은 달걀꼴 또는 달걀꼴로서 끝이 급히 뾰족해지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양면에 털이 없고 광택이 나는 청록색이며 약간 두꺼운 막질이다. 가을에도 잎의 빛깔이 변하지 않는다. 꽃 4~5월에 매우 향기로운 꽃이 피는데 묵은 가지의 끝 부분에 2개의 꽃눈이 생겨 총상 모양의 원추 꽃차례를 이루고 많이 달린다. 꽃은 작은 대롱 모양인데 꽃부리는 위쪽이 4개로 갈라져 편.. 2023. 4. 10.
[족도리풀] 꽃은 조선시대 여성 '족두리' 모양… 뿌리줄기에서 생강 맛 난대요 [족도리풀] 꽃은 조선시대 여성 '족두리' 모양… 뿌리줄기에서 생강 맛 난대요 족도리풀 ▲ 족도리풀의 짙은 자주색 꽃은 조선시대 때 여성용 모자인 ‘족두리’를 닮았어요. /국립생물자원관 봄이 되면 항아리 모양의 짙은 자주색 꽃이 잎에 가려진 채 땅 근처에서 숨어 피는 흥미로운 식물이 있어요. 꽃 모양이 조선시대 예복에 착용하는 여성용 모자 '족두리'를 닮은 '족도리풀'이에요. 족도리풀은 숲속이나 가장자리의 그늘진 곳에 자라는 쥐방울덩굴과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2장의 잎과 1개 꽃으로 이루어져 있죠. 땅속 뿌리줄기(뿌리처럼 보이는 줄기)는 마디가 많고 옆으로 비스듬히 뻗으며 생강과 같은 매운 냄새와 맛이 나요. 이 때문에 영어 이름도 '야생 생강'이라는 뜻인 '와일드 진저(wild ginger)'예요. 잎.. 2023. 4. 10.
[20230409] 서울대공원 호수둘레길 벚꽃 감상 & 서울대공원 알프스일주산행 & 렛츠런파크 벚꽃축제를 감상하다 - 3부 4월 09일(일)서울대공원 호수둘레길 벚꽃 감상 & 서울대공원 알프스일주산행 & 렛츠런파크 벚꽃축제를 감상하다'서울대공원 호수둘레길 벚꽃 감상 & 서울대공원 알프스일주산행 & 렛츠런파크 벚꽃축제 감상' 코스 서울대공원역 2번 출구→서울대공원(과천)호수 둘레 벚꽃길→호숫가 전망좋은 길→과천매봉 들머리/서울대공원 야구장→141봉→문원도서관 갈림길→소망교회 카페?→안동권씨묘→과천매봉(369,3m)→절고개→이수봉/헬기장 갈림길→전망대→석기봉(595m)→망경대(615m)→혈읍재→매봉(582m)→매바위(578m)→돌문바위→494고지/헬기장→원터골갈림길→깔딱고개→옥녀봉(375m)→과천갈림길→서울랜드 후문주차장→나들목다리→궁말교→막계교→경마공원역→렛츠런파크 벚꽃축제장→경마공원역→용마교→준마교→광창교→맛집탐방→선바위역오.. 2023. 4. 9.
[20230409] 서울대공원 호수둘레길 벚꽃 감상 & 서울대공원 알프스일주산행 & 렛츠런파크 벚꽃축제를 감상하다 - 2부 4월 09일(일)서울대공원 호수둘레길 벚꽃 감상 & 서울대공원 알프스일주산행 & 렛츠런파크 벚꽃축제를 감상하다'서울대공원 호수둘레길 벚꽃 감상 & 서울대공원 알프스일주산행 & 렛츠런파크 벚꽃축제 감상' 코스 서울대공원역 2번 출구→서울대공원(과천)호수 둘레 벚꽃길→호숫가 전망좋은 길→과천매봉 들머리/서울대공원 야구장→141봉→문원도서관 갈림길→소망교회 카페?→안동권씨묘→과천매봉(369,3m)→절고개→이수봉/헬기장 갈림길→전망대→석기봉(595m)→망경대(615m)→혈읍재→매봉(582m)→매바위(578m)→돌문바위→494고지/헬기장→원터골갈림길→깔딱고개→옥녀봉(375m)→과천갈림길→서울랜드 후문주차장→나들목다리→궁말교→막계교→경마공원역→렛츠런파크 벚꽃축제장→경마공원역→용마교→준마교→광창교→맛집탐방→선바위역오.. 2023. 4. 9.
[20230409] 서울대공원 호수둘레길 벚꽃 감상 & 서울대공원 알프스일주산행 & 렛츠런파크 벚꽃축제를 감상하다 - 1부 4월 09일(일)서울대공원 호수둘레길 벚꽃 감상 & 서울대공원 알프스일주산행 & 렛츠런파크 벚꽃축제를 감상하다'서울대공원 호수둘레길 벚꽃 감상 & 서울대공원 알프스일주산행 & 렛츠런파크 벚꽃축제 감상' 코스 서울대공원역 2번 출구→서울대공원(과천)호수 둘레 벚꽃길→호숫가 전망좋은 길→과천매봉 들머리/서울대공원 야구장→141봉→문원도서관 갈림길→소망교회 카페?→안동권씨묘→과천매봉(369,3m)→절고개→이수봉/헬기장 갈림길→전망대→석기봉(595m)→망경대(615m)→혈읍재→매봉(582m)→매바위(578m)→돌문바위→494고지/헬기장→원터골갈림길→깔딱고개→옥녀봉(375m)→과천갈림길→서울랜드 후문주차장→나들목다리→궁말교→막계교→경마공원역→렛츠런파크 벚꽃축제장→경마공원역→용마교→준마교→광창교→맛집탐방→선바위역오.. 2023. 4. 9.
[20230408] 서울시 관악구 관악산둘레길 1구간ㆍ2구간ㆍ3구간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 - 2부 4월 08일(토) 서울시 관악구 관악산둘레길 1구간ㆍ2구간ㆍ3구간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 '서울시 관악구 관악산둘레길 1구간ㆍ2구간ㆍ3구간 이어 걷기' 코스 사당역 6번 출구 → 수경공원 → 서울시립미술관(남서울분관) → 까치산 생태육교 → 관악산 가는길 쉼터 → 후봉약수터(군인아파트) → 무당골 치성터 → 전망대 → 강감찬장군 사당(안국사) → 낙성대공원 → 서울영어마을 → 창성부원군 성봉조 묘 → 관악산둘레길 1-1, 1-2 코스 분기점 → 새실쉼터 → 서울대 정문 → 서울대미술관(점심식사) → 서울대 정문 → 경로구역입구 4거리 → 전망바위 → 용화약수(배드민턴장) → 돌산 안부4거리 → 보덕사 갈림길 → 보덕사 입구 → 대제학 세자좌부빈객 남원윤씨 부부묘 → 약수암 위 헬기장(농구장) → 트리전망대.. 2023. 4. 8.
[20230408] 서울시 관악구 관악산둘레길 1구간ㆍ2구간ㆍ3구간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 - 1부 4월 08일(토) 서울시 관악구 관악산둘레길 1구간ㆍ2구간ㆍ3구간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 '서울시 관악구 관악산둘레길 1구간ㆍ2구간ㆍ3구간 이어 걷기' 코스 사당역 6번 출구 → 수경공원 → 서울시립미술관(남서울분관) → 까치산 생태육교 → 관악산 가는길 쉼터 → 후봉약수터(군인아파트) → 무당골 치성터 → 트리전망대 → 강감찬장군 사당(안국사) → 낙성대공원 → 서울영어마을 → 창성부원군 성봉조 묘 → 관악산둘레길 1-1, 1-2 코스 분기점 → 새실쉼터 → 서울대 정문 → 서울대미술관(점심식사) → 서울대 정문 → 경로구역입구 4거리 → 전망바위 → 용화약수(배드민턴장) → 돌산 안부4거리 → 보덕사 갈림길 → 보덕사 입구 → 대제학 세자좌부빈객 남원윤씨 부부묘 → 약수암 위 헬기장(농구장) → 트리전.. 2023. 4. 8.
[군산 고군산군도의 재발견] 장자도·선유도·무녀도… 대장봉에 오르니 63개의 섬이 말을 걸어왔다 [아무튼, 주말] 장자도·선유도·무녀도… 대장봉에 오르니 63개의 섬이 말을 걸어왔다 CNN ‘아시아 숨은 명소’ 군산 고군산군도의 재발견 지난 2일 고군산군도 대장봉 정상에 오른 외국인 관광객들은 "spectacular landscape(멋진 풍경)!"라며 감탄사를 연발했다. 대장봉 아래 펜션 주인은 "섬을 찾는 외국인 대부분이 대장봉에 오른다"고 전했다. / 이신영 영상미디어 기자 ‘한국 서해안에서 63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이곳은 잔잔한 물속에 흩어져 있는 초록빛 언덕들이 주는 전망이 그림 같다. (중략) 세계에서 가장 긴 방파제와 다리는 섬을 본토(육지)와 연결해 바퀴로 여행하는 이들에게 특히 매력적인 목적지다.’ 지난해 말, 국립공원이 있는 일본의 소도시 ‘닛코’, 베트남 중부 고원 지방인 ‘달랏.. 2023. 4. 8.
[20230407] 아차산 워커힐호텔 內 힐링숲/포레스트에 있는 조선 왕녀태실을 찾아가다 - 2부 4월 07일(금) 아차산 워커힐호텔 內 힐링숲/포레스트에 있는 조선 왕녀태실을 찾아가다 '아차산 워커힐호텔 內 힐링숲/포레스트에 있는 조선 왕녀태실을 찾아가다' 코스 아차산역(어린이대공원 후문)→아차산역 사거리→홍련봉공원→광진숲나루공원→전망대→아차산배수지체육공원→정립회관→아차산생태공원→아차산어울림광장→아차산동행숲길→아차산숲속도서관→아차산생태공원 유아숲체험원→워커힐벚꽃길→더글라스하우스→힐링숲/포레스트→왕녀태실→워커힐 벚꽃길→워커힐호텔 셔틀버스정류장→광나루역 오늘은 아차산 워커힐호텔 內 힐링숲/포레스트에 있는 조선 왕녀태실을 찾아가기 위해 길을 나선다. 4월 05일(수)에 벚꽃엔딩도보로 석촌호수에서 워커힐호텔까지 이어걷다가... 우연히 발견한 '왕녀태실'을 다시 찾아나서며... ▼ 아차산동행숲길 입구에서.... 2023. 4. 7.
[20230407] 아차산 워커힐호텔 內 힐링숲/포레스트에 있는 조선 왕녀태실을 찾아가다 - 1부 4월 07일(금) 아차산 워커힐호텔 內 힐링숲/포레스트에 있는 조선 왕녀태실을 찾아가다 '아차산 워커힐호텔 內 힐링숲/포레스트에 있는 조선 왕녀태실을 찾아가다' 코스 아차산역(어린이대공원 후문)→아차산역 사거리→홍련봉공원→광진숲나루공원→전망대→아차산배수지체육공원→정립회관→아차산생태공원→아차산어울림광장→아차산동행숲길→아차산숲속도서관→아차산생태공원 유아숲체험원→워커힐벚꽃길→더글라스하우스→힐링숲/포레스트→왕녀태실→워커힐 벚꽃길→워커힐호텔 셔틀버스정류장→광나루역 오늘은 아차산 워커힐호텔 內 힐링숲/포레스트에 있는 조선 왕녀태실을 찾아가기 위해 길을 나선다. 4월 05일(수)에 벚꽃엔딩도보로 석촌호수에서 워커힐호텔까지 이어걷다가... 우연히 발견한 '왕녀태실'을 다시 찾아나서며... ▼ 아차산역에서... ☞ 여기.. 2023. 4.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