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592

소래풀, 소래풀꽃, 보라유채, 제비냉이 소래풀, 소래풀꽃, 보라유채, 제비냉이 소래풀 Violet orychophragmus 분류 : 양귀비목 > 십자화과 > 소래풀속 꽃색 : 자주색, 파란색 학명 : Orychophragmus violaceus (L.) O.E.Schulz 형태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크기 풀길이는 50cm 정도까지 자란다. 잎 줄기와 잎은 털이 없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더부룩하게 무더기로 나며, 잎은 깃 모양으로 가장자리는 깊이 갈라져 있다. 꽃 꽃은 봄에 푸른빛을 띤 자주색으로 줄기 끝에 모여 피는데, 꽃 지름은 3cm이고 꽃잎은 네 장이다. 번식방법 가을에 씨를 뿌린다. 유사종 중국에서 부르는 이름은 제갈채이다. 출처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2023. 3. 31.
명자나무, 산당화(山棠花), 당명자나무 명자나무, 산당화(山棠花), 당명자나무 분류 : 장미과 원산지 : 중국 크기 : 높이 1∼2m 학명 : Chaenomeles lagenaria (LOISEL) KOIDZ. 개화기 : 4∼5월 요약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관목. 내용 학명은 Chaenomeles lagenaria (LOISEL) KOIDZ.이다. 높이가 1∼2m에 달하는데 가지 끝이 가시로 변한 것도 있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양끝이 뾰족하다. 길이 4∼8㎝, 너비 1.5∼5㎝로 거치가 있다. 꽃은 단성으로 짧은 가지 끝에 1개 또는 여러 개가 달리며 4∼5월에 분홍색·적색·담백색 등으로 다양하게 핀다. 과실은 타원형으로서 길이 10㎝ 정도이며 청황색이다. 원산지는 중국이고 오래전부터 관상용으로 식재하여왔다. 꽃이 아름다.. 2023. 3. 31.
명자꽃 Flowering quince / 일목과(日木瓜), 목과실(木瓜實), 아기씨꽃, 산당화(山棠花), 당명자나무 명자꽃 Flowering quince / 일목과(日木瓜), 목과실(木瓜實), 아기씨꽃, 산당화(山棠花), 당명자나무 학명 : Chaenomeles lagenaria 꽃말 : 신뢰, 수줍음 특징 봄에 피는 꽃 중 가장 붉은 꽃임에도 불구하고 그 모습이 화려하지 않고 청순해 보여 ‘아가씨나무’라는 이명을 가지고 있다. 꽃샘바람에 붉게 물든 얼굴색 같다. 요즘 봄꽃 구경하면서 걷다 보면 화단에서 한참 꽃망울을 만들고 있으며 빠른 것들은 본격적으로 빨간 꽃잎들을 정신없이 펴대고 있다. 이용 화단의 경계수로 많이 쓰이며 가시가 있어 울타리용으로도 좋을 듯 하다. 원예종으로 개량되고 있어 꽃색도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기르기 습기를 좋아하며 건조에 약하기 때문에 특히 봄철 한발이 지속될 때 물 관리를 잘해줘야 한다.. 2023. 3. 31.
[20230331] 안양천 둑방 벚꽃길 걷기(구일역 ~ 금천한내교 왕복)를 다녀오다 - 2부 3월 31일(금) 안양천 둑방 벚꽃길 걷기(구일역 ~ 금천한내교 왕복)를 다녀오다 '안양천 둑방 벚꽃길 걷기(구일역 ~ 금천한내교 왕복)' 코스 구일역→사성교→광명대교→철산대교→금천교→금천한내교 도강 →금천교→철산대교→광명대교→사성교→사성보도교 도강→구일역 오늘은 '안양천 둑방 벚꽃길 걷기(구일역 ~ 금천한내교 왕복)'를 위해 길을 나선다. ▼ 금천한내교에서... ☞ 이것으로 '안양천 둑방 벚꽃길 걷기(구일역 ~ 금천한내교 왕복)' 이야기를 마친다. ☞ '안양천 둑방 벚꽃길 걷기(구일역 ~ 금천한내교 왕복)'를 다녀오다. ▣ 1부[구일역→사성교→광명대교→철산교→금천교→금천한내교 도강] 는 http://blog.daum.net/macgyver/16162431 ☜클릭 ▣ 2부[금천한내교→금천교→철산교→광명대.. 2023. 3. 31.
[20230331] 안양천 둑방 벚꽃길 걷기(구일역 ~ 금천한내교 왕복)를 다녀오다 - 1부 3월 31일(금) 안양천 둑방 벚꽃길 걷기(구일역 ~ 금천한내교 왕복)를 다녀오다 '안양천 둑방 벚꽃길 걷기(구일역 ~ 금천한내교 왕복)' 코스 구일역→사성교→광명대교→철산대교→금천교→금천한내교 도강 →금천교→철산대교→광명대교→사성교→사성보도교 도강→구일역 오늘은 '안양천 둑방 벚꽃길 걷기(구일역 ~ 금천한내교 왕복)'를 위해 길을 나선다. ▼ 구일역에서... ☞ 여기서 '안양천 둑방 벚꽃길 걷기(구일역 ~ 금천한내교 왕복) - 1부'를 마치고... ☞ '안양천 둑방 벚꽃길 걷기(구일역 ~ 금천한내교 왕복)'를 다녀오다. ▣ 1부[구일역→사성교→광명대교→철산교→금천교→금천한내교 도강] 는 http://blog.daum.net/macgyver/16162431 ☜클릭 ▣ 2부[금천한내교→금천교→철산교→광명대.. 2023. 3. 31.
[20230329] 경복궁 수문장 교대식ㆍ경회루ㆍ향원정ㆍ건청궁 & 청와대 뒷길ㆍ앞길 & 인왕산ㆍ안산ㆍ금화산 개나리꽃 구경을 다녀오다 - 5부 3월 29일(수) 경복궁 수문장 교대식ㆍ경회루ㆍ향원정ㆍ건청궁 & 청와대 뒷길ㆍ앞길 & 인왕산ㆍ안산ㆍ금화산 개나리꽃 구경을 다녀오다 '경복궁 수문장 교대식ㆍ경회루ㆍ향원정ㆍ건청궁 & 청와대 뒷길ㆍ앞길 & 인왕산ㆍ안산ㆍ금화산 개나리꽃 구경' 코스 시청역→서울광장→광화문사거리→광화문광장→경복궁 광화문→협생문 밖 수문군 공개훈련→광화문 안 수문장 교대의식→근정전→경회루→향원정→건청궁→신무문→봉황분수대→궁정동 무궁화동산→맛집 탐방→청와대뒷길 칠궁 안내소→백악정→대통문→백악2교→백악1교→삼청쉼터/옥호정→법흥사터→청운대 전망대→만세동방약수터→대통문→청와대 전망대→백악정→헬기장→춘추관→춘추문→청와대 앞길→경복궁 서측담장길→라카페갤러리→세종대왕나신곳표지석→통인시장→서촌골목→수성동계곡→인왕천약수터→범바위→해골바위통문→얼굴바.. 2023. 3. 29.
[20230329] 경복궁 수문장 교대식ㆍ경회루ㆍ향원정ㆍ건청궁 & 청와대 뒷길ㆍ앞길 & 인왕산ㆍ안산ㆍ금화산 개나리꽃 구경을 다녀오다 - 4부 3월 29일(수) 경복궁 수문장 교대식ㆍ경회루ㆍ향원정ㆍ건청궁 & 청와대 뒷길ㆍ앞길 & 인왕산ㆍ안산ㆍ금화산 개나리꽃 구경을 다녀오다 '경복궁 수문장 교대식ㆍ경회루ㆍ향원정ㆍ건청궁 & 청와대 뒷길ㆍ앞길 & 인왕산ㆍ안산ㆍ금화산 개나리꽃 구경' 코스 시청역→서울광장→광화문사거리→광화문광장→경복궁 광화문→협생문 밖 수문군 공개훈련→광화문 안 수문장 교대의식→근정전→경회루→향원정→건청궁→신무문→봉황분수대→궁정동 무궁화동산→맛집 탐방→청와대뒷길 칠궁 안내소→백악정→대통문→백악2교→백악1교→삼청쉼터/옥호정→법흥사터→청운대 전망대→만세동방약수터→대통문→청와대 전망대→백악정→헬기장→춘추관→춘추문→청와대 앞길→경복궁 서측담장길→라카페갤러리→세종대왕나신곳표지석→통인시장→서촌골목→수성동계곡→인왕천약수터→범바위→해골바위통문→얼굴바.. 2023. 3. 29.
[20230329] 경복궁 수문장 교대식ㆍ경회루ㆍ향원정ㆍ건청궁 & 청와대 뒷길ㆍ앞길 & 인왕산ㆍ안산ㆍ금화산 개나리꽃 구경을 다녀오다 - 3부 3월 29일(수) 경복궁 수문장 교대식ㆍ경회루ㆍ향원정ㆍ건청궁 & 청와대 뒷길ㆍ앞길 & 인왕산ㆍ안산ㆍ금화산 개나리꽃 구경을 다녀오다 '경복궁 수문장 교대식ㆍ경회루ㆍ향원정ㆍ건청궁 & 청와대 뒷길ㆍ앞길 & 인왕산ㆍ안산ㆍ금화산 개나리꽃 구경' 코스 시청역→서울광장→광화문사거리→광화문광장→경복궁 광화문→협생문 밖 수문군 공개훈련→광화문 안 수문장 교대의식→근정전→경회루→향원정→건청궁→신무문→봉황분수대→궁정동 무궁화동산→맛집 탐방→청와대뒷길 칠궁 안내소→백악정→대통문→백악2교→백악1교→삼청쉼터/옥호정→법흥사터→청운대 전망대→만세동방약수터→대통문→청와대 전망대→백악정→헬기장→춘추관→춘추문→청와대 앞길→경복궁 서측담장길→라카페갤러리→세종대왕나신곳표지석→통인시장→서촌골목→수성동계곡→인왕천약수터→범바위→해골바위통문→얼굴바.. 2023. 3. 29.
[20230329] 경복궁 수문장 교대식ㆍ경회루ㆍ향원정ㆍ건청궁 & 청와대 뒷길ㆍ앞길 & 인왕산ㆍ안산ㆍ금화산 개나리꽃 구경을 다녀오다 - 2부 3월 29일(수) 경복궁 수문장 교대식ㆍ경회루ㆍ향원정ㆍ건청궁 & 청와대 뒷길ㆍ앞길 & 인왕산ㆍ안산ㆍ금화산 개나리꽃 구경을 다녀오다 '경복궁 수문장 교대식ㆍ경회루ㆍ향원정ㆍ건청궁 & 청와대 뒷길ㆍ앞길 & 인왕산ㆍ안산ㆍ금화산 개나리꽃 구경' 코스 시청역→서울광장→광화문사거리→광화문광장→경복궁 광화문→협생문 밖 수문군 공개훈련→광화문 안 수문장 교대의식→근정전→경회루→향원정→건청궁→신무문→봉황분수대→궁정동 무궁화동산→맛집 탐방→청와대뒷길 칠궁 안내소→백악정→대통문→백악2교→백악1교→삼청쉼터/옥호정→법흥사터→청운대 전망대→만세동방약수터→대통문→청와대 전망대→백악정→헬기장→춘추관→춘추문→청와대 앞길→경복궁 서측담장길→라카페갤러리→세종대왕나신곳표지석→통인시장→서촌골목→수성동계곡→인왕천약수터→범바위→해골바위통문→얼굴바.. 2023. 3. 29.
[20230329] 경복궁 수문장 교대식ㆍ경회루ㆍ향원정ㆍ건청궁 & 청와대 뒷길ㆍ앞길 & 인왕산ㆍ안산ㆍ금화산 개나리꽃 구경을 다녀오다 - 1부 3월 29일(수) 경복궁 수문장 교대식ㆍ경회루ㆍ향원정ㆍ건청궁 & 청와대 뒷길ㆍ앞길 & 인왕산ㆍ안산ㆍ금화산 개나리꽃 구경을 다녀오다 '경복궁 수문장 교대식ㆍ경회루ㆍ향원정ㆍ건청궁 & 청와대 뒷길ㆍ앞길 & 인왕산ㆍ안산ㆍ금화산 개나리꽃 구경' 코스 시청역→서울광장→광화문사거리→광화문광장→경복궁 광화문→협생문 밖 수문군 공개훈련→광화문 안 수문장 교대의식→근정전→경회루→향원정→건청궁→신무문→봉황분수대→궁정동 무궁화동산→맛집 탐방→청와대뒷길 칠궁 안내소→백악정→대통문→백악2교→백악1교→삼청쉼터/옥호정→법흥사터→청운대 전망대→만세동방약수터→대통문→청와대 전망대→백악정→헬기장→춘추관→춘추문→청와대 앞길→경복궁 서측담장길→라카페갤러리→세종대왕나신곳표지석→통인시장→서촌골목→수성동계곡→인왕천약수터→범바위→해골바위통문→얼굴바.. 2023. 3. 29.
[쓰레기 활용하는 방법] 굴 껍데기로 석회, 커피 찌꺼기로 플라스틱 만들어요 [재미있는 과학] 굴 껍데기로 석회, 커피 찌꺼기로 플라스틱 만들어요 쓰레기 활용하는 방법 ▲ /그래픽=유재일 지난 18일(현지 시각) 브라질에서 플라스틱이 섞인 새로운 암석이 발견됐습니다. 브라질 파라나연방대 연구팀이 화산섬 트린다지에서 발견한 건데요. 화산에서 나온 용암이 바다에 떠다니던 어망 같은 폐(廢)플라스틱을 녹인 뒤, 마치 화성암(마그마가 식어 만들어진 암석)처럼 식어서 굳어진 거죠. 연구팀은 이 암석을 '플라스티글로머레이트(plastiglomerates·플라스틱 암석)'라고 부르기로 했습니다. 인류가 버리는 쓰레기가 지구에 '흔적'을 남기고 있는 것입니다. 국내서 굴 껍데기만 매년 30만톤 나와 플라스틱뿐이 아닙니다. 최근 세계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인간이 버리는 쓰레기는 2018년 20억톤.. 2023. 3. 28.
[중의무릇] 별 모양 노란 꽃이 특징… 땅속 비늘줄기는 자양강장제로 사용했대요 [중의무릇] 별 모양 노란 꽃이 특징… 땅속 비늘줄기는 자양강장제로 사용했대요 중의무릇 ▲ 중의무릇꽃이 활짝 피면 숲 바닥에 노란 별이 떨어진듯한 착시를 불러일으킵니다. /국립생물자원관 이른 봄 대지에 남은 눈[雪] 위로 모습을 드러내는 봄꽃이 있어요. 얼음 위에 핀 꽃, '정빙화(頂氷花)'라고 불리는 이 꽃의 이름은 '중의무릇'. 별 모양 꽃을 가진 멋진 식물이죠. 이 식물의 꽃잎 여섯 개가 활짝 열리면 마치 숲 바닥에 노란색 별이 떨어진 듯한 착시(錯視)를 불러일으킵니다. 중의무릇은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2년 이상 겨울을 이겨내고 생존하는 식물)로, 높이는 15~25㎝이며 전국 산지의 숲속에서 주로 자라요. 땅속에는 누런빛이 도는 흰색의 비늘줄기(많은 양분을 저장하고 있는 땅속줄기)가 있죠. 비늘줄기.. 2023. 3. 27.
[중의무릇] 중무릇, 조선중무릇, 참중의무릇, 반도중무릇, 애기물구지 [중의무릇] 중무릇, 조선중무릇, 참중의무릇, 반도중무릇, 애기물구지 중의무릇 분류 : 백합목 > 백합과 > 중의무릇속 꽃색 : 노란색 크기 : 높이 15~25cm 학명 : Gagea lutea (L.) KerGawl. 꽃말 : 일편단심 번식 : 실생, 분주 개화기 : 4월, 5월 분포지역 •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 중부지역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크기 높이 15-20cm정도 된다. 잎 기부에서 난 잎은 1개이고 길이 15-30cm, 폭 5-9mm로서 어느 정도 육질이며 약간 안쪽으로 말리고 밑부분이 꽃대를 감싼다. 꽃 꽃대는 높이 15-25cm이고 엽병은 긴 것과 짧은 것이 있으며 끝에 3-10개의 꽃이 산형으로 달린다. 꽃대 상단부에 두 장의 잎이 붙어 있는데 이것은 꽃봉오리를 보.. 2023. 3. 27.
[20230326] 이천 정개산ㆍ수리산ㆍ원적산 연계산행 후 도립리 산수유꽃축제 구경하고, 이천 걷고 싶은 둘레길 걷기를 다녀오다 - 4부 3월 26일(일) 이천 정개산ㆍ수리산ㆍ원적산 연계산행 후 도립리 산수유꽃축제 구경하고, 이천 걷고 싶은 둘레길 걷기를 다녀오다 '이천 정개산ㆍ수리산ㆍ원적산 연계산행 후 도립리 산수유꽃축제 구경하고, 이천 걷고 싶은 둘레길 걷기' 코스 신둔도예촌역→남정리마을회관→범바위약수터→주능1봉→봉현리 갈림길(1)→주능2봉→25번 송전탑→남정리 갈림길→활공장→정개산(鼎蓋山/소당산:407m)→봉현리 갈림길(2)→지석리 갈림길→알바위→남촌골프장 갈림길→도암4거리→주능3봉(수리산:547m)→장동리갈림길→천덕봉 1,260m지점(내선고개)→묵묘터→499m봉→고사목지대→헬기장→원적산 천덕봉(634.5m)→헬리포트→원적봉(563.5m)→낙수재폭포 갈림길→낙수재폭포→도립리 산수유군락지→육괴정→낙수재폭포 입구→천덕봉 동원훈련장→장동리.. 2023. 3. 26.
[20230326] 이천 정개산ㆍ수리산ㆍ원적산 연계산행 후 도립리 산수유꽃축제 구경하고, 이천 걷고 싶은 둘레길 걷기를 다녀오다 - 3부 3월 26일(일) 이천 정개산ㆍ수리산ㆍ원적산 연계산행 후 도립리 산수유꽃축제 구경하고, 이천 걷고 싶은 둘레길 걷기를 다녀오다 '이천 정개산ㆍ수리산ㆍ원적산 연계산행 후 도립리 산수유꽃축제 구경하고, 이천 걷고 싶은 둘레길 걷기' 코스 신둔도예촌역→남정리마을회관→범바위약수터→주능1봉→봉현리 갈림길(1)→주능2봉→25번 송전탑→남정리 갈림길→활공장→정개산(鼎蓋山/소당산:407m)→봉현리 갈림길(2)→지석리 갈림길→알바위→남촌골프장 갈림길→도암4거리→주능3봉(수리산:547m)→장동리갈림길→천덕봉 1,260m지점(내선고개)→묵묘터→499m봉→고사목지대→헬기장→원적산 천덕봉(634.5m)→헬리포트→원적봉(563.5m)→낙수재폭포 갈림길→낙수재폭포→도립리 산수유군락지→육괴정→낙수재폭포 입구→천덕봉 동원훈련장→장동리.. 2023. 3. 26.
[20230326] 이천 정개산ㆍ수리산ㆍ원적산 연계산행 후 도립리 산수유꽃축제 구경하고, 이천 걷고 싶은 둘레길 걷기를 다녀오다 - 2부 3월 26일(일) 이천 정개산ㆍ수리산ㆍ원적산 연계산행 후 도립리 산수유꽃축제 구경하고, 이천 걷고 싶은 둘레길 걷기를 다녀오다 '이천 정개산ㆍ수리산ㆍ원적산 연계산행 후 도립리 산수유꽃축제 구경하고, 이천 걷고 싶은 둘레길 걷기' 코스 신둔도예촌역→남정리마을회관→범바위약수터→주능1봉→봉현리 갈림길(1)→주능2봉→25번 송전탑→남정리 갈림길→활공장→정개산(鼎蓋山/소당산:407m)→봉현리 갈림길(2)→지석리 갈림길→알바위→남촌골프장 갈림길→도암4거리→주능3봉(수리산:547m)→장동리갈림길→천덕봉 1,260m지점(내선고개)→묵묘터→499m봉→고사목지대→헬기장→원적산 천덕봉(634.5m)→헬리포트→원적봉(563.5m)→낙수재폭포 갈림길→낙수재폭포→도립리 산수유군락지→육괴정→낙수재폭포 입구→천덕봉 동원훈련장→장동리.. 2023. 3. 26.
[20230326] 이천 정개산ㆍ수리산ㆍ원적산 연계산행 후 도립리 산수유꽃축제 구경하고, 이천 걷고 싶은 둘레길 걷기를 다녀오다 - 1부 3월 26일(일) 이천 정개산ㆍ수리산ㆍ원적산 연계산행 후 도립리 산수유꽃축제 구경하고, 이천 걷고 싶은 둘레길 걷기를 다녀오다 '이천 정개산ㆍ수리산ㆍ원적산 연계산행 후 도립리 산수유꽃축제 구경하고, 이천 걷고 싶은 둘레길 걷기' 코스 신둔도예촌역→남정리마을회관→범바위약수터→주능1봉→봉현리 갈림길(1)→주능2봉→25번 송전탑→남정리 갈림길→활공장→정개산(鼎蓋山/소당산:407m)→봉현리 갈림길(2)→지석리 갈림길→알바위→남촌골프장 갈림길→도암4거리→주능3봉(수리산:547m)→장동리갈림길→천덕봉 1,260m지점(내선고개)→묵묘터→499m봉→고사목지대→헬기장→원적산 천덕봉(634.5m)→헬리포트→원적봉(563.5m)→낙수재폭포 갈림길→낙수재폭포→도립리 산수유군락지→육괴정→낙수재폭포 입구→천덕봉 동원훈련장→장동리.. 2023. 3. 26.
밤하늘의 별만 바라보는 사람은 발아래 아름다운 꽃을 못보고, 발아래 꽃만 바라보는 사람은 밤하늘의 아름다운 별을 못본다. 2023. 3. 25.
[20230325] 응봉산 개나리꽃이 만개했다하여 옥수역에서 달맞이근린공원-금호스포츠센터/무쇠막-응봉산개나리축제장-응봉역까지 다녀오다. 3월 25일(토) 응봉산 개나리꽃이 만개했다하여 옥수역에서 달맞이근린공원-금호스포츠센터/무쇠막-응봉산개나리축제장-응봉역까지 다녀오다. '응봉산 개나리꽃이 만개했다하여 옥수역에서 달맞이근린공원-금호스포츠센터/무쇠막-응봉산개나리축제장-응봉역까지' 코스 옥수역→달맞이근린공원 서측 데크계단→달맞이공원 포토아일랜드→전망대/포토존→서울의 달맞이명소→달맞이근린공원 동측 데크계단→서울숲푸르지오아파트→금호스포츠센터→무쇠막→응봉산 서측 계단→응봉산 개나리전망데크→응봉산 팔각정→조망명소→응봉개나리어린이공원→응봉역 오늘은 '응봉산 개나리꽃이 만개했다하여 옥수역에서 달맞이근린공원-금호스포츠센터/무쇠막-응봉산개나리축제장-응봉역까지 다녀오기' 위해 길을 나선다. ▼ 옥수역 3번 출구에서... ☞ 이것으로 '응봉산 개나리꽃이 만개했.. 2023. 3. 25.
[‘시티투어’ 타고 떠난 서부산 근현대 시간 여행] 버스 타고 구불구불 산복도로 달리고, 피란수도 흔적 따라 뚜벅뚜벅 걸었다 버스 타고 구불구불 산복도로 달리고, 피란수도 흔적 따라 뚜벅뚜벅 걸었다 [아무튼, 주말] ‘시티투어’ 타고 떠난 서부산 근현대 시간 여행 채도가 높은 집들이 빼곡하게 자리한 '감천문화마을'은 구한말 부산항을 기반으로 살던 일본인 이주민들이 산을 개간해 지은 집에 6·25 때 피란민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생긴 산복마을이다. 처절하고 억척스러운 삶의 흔적은 시간이 흘러 부산 여행의 명소가 됐다. 감천문화마을이 액자 속 그림처럼 보이는 '카페 아방가르드'. / 양수열 영상미디어 기자 부산이라는 도시를 꽤 안다고 생각했다. 이국의 해변을 연상케 하는 해운대와 광안리, 근사한 호텔과 대형 카페들이 수놓은 기장과 영도…. ‘부산’ 하면 푸른 바다 위 요트, 해변을 따라서 오가는 앙증맞은 모노레일부터 떠올렸다. 매일.. 2023. 3. 25.
[20230324] 용인 이동저수지 둘레길 및 벚꽃길 답사(송전터미널-이진봉-거북산-수역교-송담고택-어비1리)를 다녀오다 - 2부 3월 24일(금) 용인 이동저수지 둘레길 및 벚꽃길 답사(송전터미널-이진봉-거북산-수역교-송담고택-어비1리)를 다녀오다. '용인 이동저수지 둘레길 및 벚꽃길 답사(송전터미널-질골-이진봉-거북산-수역교-송담고택-어비1리)' 코스 송담대/운동장역→용인터미널 임시정류장→송전터미널→송전1교→사계절낚시터→운동쉼터→전망데크→레이크힐스CC→질골쉼터정자→136계단→186계단→돌탑→정상(은아봉/187.8m)→경주이씨묘→수변데크→383계단→이진봉(127m) 쉼터정자→百壽靈泉 藿埸谷藥水→거북산(80m)→수역교→벚꽃쉼터→어비3리 사거리→어비리진주냉면→어비움카페→화수공간카페→용인수상스키장→송담고택→어비1리삼거리/방목마을 표석/방목정→용인터미널→송담대/운동장역 오늘은 '용인 이동저수지 둘레길 및 벚꽃길 답사(송전터미널-질골-이진.. 2023. 3. 24.
[20230324] 용인 이동저수지 둘레길 및 벚꽃길 답사(송전터미널-이진봉-거북산-수역교-송담고택-어비1리)를 다녀오다 - 1부 3월 24일(금) 용인 이동저수지 둘레길 및 벚꽃길 답사(송전터미널-이진봉-거북산-수역교-송담고택-어비1리)를 다녀오다. '용인 이동저수지 둘레길 및 벚꽃길 답사(송전터미널-질골-이진봉-거북산-수역교-송담고택-어비1리)' 코스 송담대/운동장역→용인터미널 임시정류장→송전터미널→송전1교→사계절낚시터→운동쉼터→전망데크→레이크힐스CC→질골쉼터정자→136계단→186계단→돌탑→정상(은아봉/187.8m)→경주이씨묘→수변데크→383계단→이진봉(127m) 쉼터정자→百壽靈泉 藿埸谷藥水→거북산(80m)→수역교→벚꽃쉼터→어비3리 사거리→어비리진주냉면→어비움카페→화수공간카페→용인수상스키장→송담고택→어비1리삼거리/방목마을 표석/방목정→용인터미널→송담대/운동장역 오늘은 '용인 이동저수지 둘레길 및 벚꽃길 답사(송전터미널-질골-이진.. 2023. 3. 24.
벚꽃 / 용혜원 詩 2023. 3. 23.
금괭이눈 Global-fruit golden saxifrage 금괭이눈 Global-fruit golden saxifrage 분류 : 장미목 > 범의귀과 > 괭이눈속 꽃색 : 노란색 학명 : Chrysosplenium pilosum var. valdepiosum Ohwi 개화기 : 5월, 4월, 6월 잎 잎은 마주나기하며 엽병이 길고 난상 원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길이 2.8cm, 폭 2.6~2.8cm정도로서 밑부분이 다소 절저이며 갑자기 엽병으로 흘러 좁아지고 표면에 털이 있으나 뒷면은 털이 없으며 새순의 잎은 엽병의 길이가 1cm 정도로서 털이 있다. 원줄기는 모여나기하며 털이 거의 없고 기는줄기에 털이 있다. 꽃 꽃은 4~6월에 피고 꽃받침조각은 4개이며 길이 2~3mm로서 황록색이고 수술은 8개로서 보다 짧으며 꽃밥은 황색이다. 암술대는 길이 1mm이.. 2023. 3. 23.
원앙 Mandarin Duck, 두 가지 얼굴을 가진, 나무에 앉는 오리 원앙 Mandarin Duck, 두 가지 얼굴을 가진, 나무에 앉는 오리 분류 : 기러기목>오리과 서식지 : 내륙의 숲과 주변 계곡, 강, 하천 먹이 : 수서곤충, 연체동물, 작은 어류, 도토리 등 크기 : 약 45cm 학명 : Aix galericulata 특징 • 수컷은 다른 종과 혼동되지 않는 매우 화려한 깃을 가지고 있다. • 활엽수림이 발달한 산간 계곡의 나무 구멍에서 번식한다. • 인공새집에서도 번식을 하며 나무에도 잘 앉는다. • 여름에는 산간계곡에서 번식하며, 겨울에는 북쪽에서 번식한 무리가 월동을 위해 남쪽으로 내려와 저수지, 호수, 바닷가 등에서 작은 무리를 이룬다. • 중국 동북부, 한국, 연해주, 사할린, 일본 등지에서 번식한다. 번식정보 • 숲속의 계곡부 등 물가근처의 활엽수 나무.. 2023. 3. 22.
원앙 鴛鴦 mandarin duck , 천연기념물 제327호 원앙 鴛鴦 mandarin duck , 천연기념물 제327호 분류 : 척추동물 > 조강 > 기러기목 > 오리과 > 원앙속 원산지 : 유럽, 아시아 서식지 : 숲, 연못, 강, 저수지, 호수 먹이 : 상수리나무, 달팽이 크기 : 약 43cm ~ 51cm 무게 : 약 440g ~ 550g 학명 : Aix galericulata 식성 : 잡식 임신기간 : 약 28~30일 멸종위기등급 : 낮은위기 요약 기러기목 오리과에 속하는 조류. 유럽과 아시아가 원산지이고, 중국 동북부지역과 일본, 한국에 분포하며 숲과 연못, 강 등에 서식한다. 4월 하순부터 7월에 주로 나무구멍을 이용해 번식한다. 경기도 광릉 숲속 물가에서 볼 수 있다. 크기는 43~51cm 정도이고, 무게는 440~550g 정도이다. 천연기념물 제32.. 2023. 3. 22.
[20230322] 큰사랑산길 걷기 & 세정사계곡 야생화 탐방 & 물의정원ㆍ마음정원 일주 & 맛집탐방을 다녀오다 - 3부 3월 22일(수) 큰사랑산길 걷기 & 세정사계곡 야생화 탐방 & 물의정원ㆍ마음정원 일주 & 맛집탐방을 다녀오다. '큰사랑산길 걷기 & 세정사계곡 야생화 탐방 & 물의정원ㆍ마음정원 일주 & 맛집탐방' 코스 도심역→도심교→고대 덕소농장 입구→덕소육교→고대 덕소농장→어룡지→갑산/예봉산 등상로 입구→새재→옹달샘(약수터)→중앙광장→세정사계곡→진중리 수렛길→진중리임도→늘봄내공원→동국대 학술림→마진교→운길산역→물의정원→마음정원→용진나루터→죽동국→북한강자전거길→운길산역 오늘은 '큰사랑산길 걷기 & 세정사계곡 야생화 탐방 & 물의정원ㆍ마음정원 일주 & 맛집탐방'을 위해 길을 나선다. ▼ 운길산역에서... ☞ 이것으로 '큰사랑산길 걷기 & 세정사계곡 야생화 탐방 & 물의정원ㆍ마음정원 일주 & 맛집탐방' 이야기를 마친다. .. 2023. 3. 22.
[20230322] 큰사랑산길 걷기 & 세정사계곡 야생화 탐방 & 물의정원ㆍ마음정원 일주 & 맛집탐방을 다녀오다 - 2부 3월 22일(수) 큰사랑산길 걷기 & 세정사계곡 야생화 탐방 & 물의정원ㆍ마음정원 일주 & 맛집탐방을 다녀오다. '큰사랑산길 걷기 & 세정사계곡 야생화 탐방 & 물의정원ㆍ마음정원 일주 & 맛집탐방' 코스 도심역→도심교→고대 덕소농장 입구→덕소육교→고대 덕소농장→어룡지→갑산/예봉산 등상로 입구→새재→옹달샘(약수터)→중앙광장→세정사계곡→진중리 수렛길→진중리임도→늘봄내공원→동국대 학술림→마진교→운길산역→물의정원→마음정원→용진나루터→죽동국→북한강자전거길→운길산역 오늘은 '큰사랑산길 걷기 & 세정사계곡 야생화 탐방 & 물의정원ㆍ마음정원 일주 & 맛집탐방'을 위해 길을 나선다. ▼ 세정사계곡에서... ☞ 여기서 '큰사랑산길 걷기 & 세정사계곡 야생화 탐방 & 물의정원ㆍ마음정원 일주 & 맛집탐방 - 2부'를 마치고... 2023. 3. 22.
[20230322] 큰사랑산길 걷기 & 세정사계곡 야생화 탐방 & 물의정원ㆍ마음정원 일주 & 맛집탐방을 다녀오다 - 1부 3월 22일(수) 큰사랑산길 걷기 & 세정사계곡 야생화 탐방 & 물의정원ㆍ마음정원 일주 & 맛집탐방을 다녀오다. '큰사랑산길 걷기 & 세정사계곡 야생화 탐방 & 물의정원ㆍ마음정원 일주 & 맛집탐방' 코스 도심역→도심교→고대 덕소농장 입구→덕소육교→고대 덕소농장→어룡지→갑산/예봉산 등상로 입구→새재→옹달샘(약수터)→중앙광장→세정사계곡→진중리 수렛길→진중리임도→늘봄내공원→동국대 학술림→마진교→운길산역→물의정원→마음정원→용진나루터→죽동국→북한강자전거길→운길산역 오늘은 '큰사랑산길 걷기 & 세정사계곡 야생화 탐방 & 물의정원ㆍ마음정원 일주 & 맛집탐방'을 위해 길을 나선다. ▼ 도심역 1번 출구에서... ☞ 여기서 '큰사랑산길 걷기 & 세정사계곡 야생화 탐방 & 물의정원ㆍ마음정원 일주 & 맛집탐방 - 1부'를 .. 2023. 3. 22.
[꿩의바람꽃] 다피은련화, 多被銀蓮花, 은련화, 銀蓮花, 양두첨, 兩頭尖, Radde Anemone [꿩의바람꽃] 다피은련화, 多被銀蓮花, 은련화, 銀蓮花, 양두첨, 兩頭尖, Radde Anemone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바람꽃속 서식지 : 산지의 숲 아래 습한 곳 학명 : Anemone raddeana Regel 국내분포 : 전국 해외분포 : 중국, 일본, 러시아 동북부 개요 전국의 높은 산 습기가 많은 숲 속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중국, 일본, 러시아 동북부에도 분포한다. 줄기는 가지가 갈라지지 않고, 높이 15-20cm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고, 1-2번 3갈래로 갈라지며, 보통 연한 녹색이지만 포잎과 함께 붉은빛을 띠는 경우도 많다. 꽃은 4-5월 줄기 끝에 1개씩 피며, 흰색이다. 꽃을 받치고 있는 포잎은 3장이며, 각각 3갈래로 끝까지 갈라.. 2023. 3.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