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605

[1만원 내면 거스름돈 주는 맛집] 이 파스타가 단돈 4900원… 통영식 백반 한 상은 8000원 이 파스타가 단돈 4900원… 통영식 백반 한 상은 8000원 1만원 내면 거스름돈 주는 맛집 최근 서울 유명 평양냉면집 냉면 값이 1만6000원을 돌파했다. 점심 값이 뛰면서 ‘런치플레이션(점심+인플레이션)’이란 신조어도 나왔다. 한국소비자원 참가격 정보 서비스에 따르면, 지난 2월 서울 지역 평균 자장면 가격은 6723원, 삼계탕은 1만6115원, 비빔밥은 1만115원이다. 가격이 저렴하지만 맛있는 식당은 불가능한 것일까. 음식 평론가 정동현과 식문화 콘텐츠 기업 다이어리알 이윤화 대표에게 형용모순 같은 이 방정식을 풀어달라고 주문했다. 무조건 가격만 저렴한 식당이 아니라, 이 맛이면 돈을 더 내겠다는 생각이 드는 집들로 추렸다. 아무리 저렴해도 음식 재사용이나 청결 등이 문제가 되는 곳은 과감히 제.. 2023. 4. 11.
으름, Five leaf akebia, 목통(木通), 통초(通草), 임하부인(林下婦人) 으름, Five leaf akebia, 목통(木通), 통초(通草), 임하부인(林下婦人) 학명 : Akebia quinata 꽃말 : 재능 특징 요즘 도시 아이들은 잘 모르겠지만 예전에는 머루, 다래와 함께 산에서 쉽게 따먹을 수 있는 열매였다. 바르셀로나 올림픽 때 한국을 대표하는 수종으로 그곳 공원에 심겨졌던 나무이기도 하다. 다섯 개의 작은 잎이 하나로 모여 나는 모습이 보기가 좋다. 이용 덩굴성으로 가정 정원의 퍼골라나 울타리용 등으로 잘 어울리는 식물이다. 열매나 씨앗은 약용으로 이용되며, 과육은 생식용으로, 줄기는 바구니를 만드는데 이용된다고 한다. 기르기 추위에 견디는 힘이 보통으로 중부이남지역에서는 월동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건조나 음지에도 강해 적응범위가 넓다. 공해에는 약해 도로변 같.. 2023. 4. 10.
으름, 목통(木通), 통초(通草), 임하부인(林下婦人) 으름, 목통(木通), 통초(通草), 임하부인(林下婦人) 분류 : 으름덩굴과 학명 : Akebia quinata DECNE 요약 으름덩굴과에 속하는 낙엽 덩굴성 만목(蔓木). 내용 한자명은 목통(木通)·통초(通草)·임하부인(林下婦人)이며, 그 열매를 연복자(燕覆子)라 한다. 학명은 Akebia quinata DECNE이다. 다섯 개의 소엽(小葉)이 긴 잎자루에 달려서 장상(掌狀)으로 퍼진다. 봄에 암자색의 꽃이 피고 긴 타원형의 장과(漿果)가 암자색으로 가을에 익는다. 우리나라 산지에 자생하며, 나무를 타고 잘 올라간다. 열매는 맛이 달고 식용이지만 씨가 많이 들어 있다. 생김새나 맛이 바나나와 비슷하여 ‘코리언 바나나’로 부르기도 한다. 어린 순은 나물로 이용하고 줄기는 바구니제조 원료로, 줄기와 뿌리는.. 2023. 4. 10.
[흰라일락 / 흰서양수수꽃다리] 라일락, 라라꽃, 자정향(紫丁香), 양정향나무, 서양수수꽃다리 [흰라일락 / 흰서양수수꽃다리] 라일락, 라라꽃, 자정향(紫丁香), 양정향나무, 서양수수꽃다리 분류 : 낙엽 활엽 관목 학명 : Syringa vulgaris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정원에 식재 번식 : 꺾꽂이·실생·접목 약효 부위 : 꽃 키 : 5m 정도 과 : 물푸레나뭇과 잎 마주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길이 5~9cm인 삼각 모양의 넓은 달걀꼴 또는 달걀꼴로서 끝이 급히 뾰족해지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양면에 털이 없고 광택이 나는 청록색이며 약간 두꺼운 막질이다. 가을에도 잎의 빛깔이 변하지 않는다. 꽃 4~5월에 매우 향기로운 꽃이 피는데 묵은 가지의 끝 부분에 2개의 꽃눈이 생겨 총상 모양의 원추 꽃차례를 이루고 많이 달린다. 꽃은 작은 대롱 모양인데 꽃부리는 위쪽이 4개로 갈라져 편.. 2023. 4. 10.
[족도리풀] 꽃은 조선시대 여성 '족두리' 모양… 뿌리줄기에서 생강 맛 난대요 [족도리풀] 꽃은 조선시대 여성 '족두리' 모양… 뿌리줄기에서 생강 맛 난대요 족도리풀 ▲ 족도리풀의 짙은 자주색 꽃은 조선시대 때 여성용 모자인 ‘족두리’를 닮았어요. /국립생물자원관 봄이 되면 항아리 모양의 짙은 자주색 꽃이 잎에 가려진 채 땅 근처에서 숨어 피는 흥미로운 식물이 있어요. 꽃 모양이 조선시대 예복에 착용하는 여성용 모자 '족두리'를 닮은 '족도리풀'이에요. 족도리풀은 숲속이나 가장자리의 그늘진 곳에 자라는 쥐방울덩굴과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2장의 잎과 1개 꽃으로 이루어져 있죠. 땅속 뿌리줄기(뿌리처럼 보이는 줄기)는 마디가 많고 옆으로 비스듬히 뻗으며 생강과 같은 매운 냄새와 맛이 나요. 이 때문에 영어 이름도 '야생 생강'이라는 뜻인 '와일드 진저(wild ginger)'예요. 잎.. 2023. 4. 10.
[20230409] 서울대공원 호수둘레길 벚꽃 감상 & 서울대공원 알프스일주산행 & 렛츠런파크 벚꽃축제를 감상하다 - 3부 4월 09일(일)서울대공원 호수둘레길 벚꽃 감상 & 서울대공원 알프스일주산행 & 렛츠런파크 벚꽃축제를 감상하다'서울대공원 호수둘레길 벚꽃 감상 & 서울대공원 알프스일주산행 & 렛츠런파크 벚꽃축제 감상' 코스 서울대공원역 2번 출구→서울대공원(과천)호수 둘레 벚꽃길→호숫가 전망좋은 길→과천매봉 들머리/서울대공원 야구장→141봉→문원도서관 갈림길→소망교회 카페?→안동권씨묘→과천매봉(369,3m)→절고개→이수봉/헬기장 갈림길→전망대→석기봉(595m)→망경대(615m)→혈읍재→매봉(582m)→매바위(578m)→돌문바위→494고지/헬기장→원터골갈림길→깔딱고개→옥녀봉(375m)→과천갈림길→서울랜드 후문주차장→나들목다리→궁말교→막계교→경마공원역→렛츠런파크 벚꽃축제장→경마공원역→용마교→준마교→광창교→맛집탐방→선바위역오.. 2023. 4. 9.
[20230409] 서울대공원 호수둘레길 벚꽃 감상 & 서울대공원 알프스일주산행 & 렛츠런파크 벚꽃축제를 감상하다 - 2부 4월 09일(일)서울대공원 호수둘레길 벚꽃 감상 & 서울대공원 알프스일주산행 & 렛츠런파크 벚꽃축제를 감상하다'서울대공원 호수둘레길 벚꽃 감상 & 서울대공원 알프스일주산행 & 렛츠런파크 벚꽃축제 감상' 코스 서울대공원역 2번 출구→서울대공원(과천)호수 둘레 벚꽃길→호숫가 전망좋은 길→과천매봉 들머리/서울대공원 야구장→141봉→문원도서관 갈림길→소망교회 카페?→안동권씨묘→과천매봉(369,3m)→절고개→이수봉/헬기장 갈림길→전망대→석기봉(595m)→망경대(615m)→혈읍재→매봉(582m)→매바위(578m)→돌문바위→494고지/헬기장→원터골갈림길→깔딱고개→옥녀봉(375m)→과천갈림길→서울랜드 후문주차장→나들목다리→궁말교→막계교→경마공원역→렛츠런파크 벚꽃축제장→경마공원역→용마교→준마교→광창교→맛집탐방→선바위역오.. 2023. 4. 9.
[20230409] 서울대공원 호수둘레길 벚꽃 감상 & 서울대공원 알프스일주산행 & 렛츠런파크 벚꽃축제를 감상하다 - 1부 4월 09일(일)서울대공원 호수둘레길 벚꽃 감상 & 서울대공원 알프스일주산행 & 렛츠런파크 벚꽃축제를 감상하다'서울대공원 호수둘레길 벚꽃 감상 & 서울대공원 알프스일주산행 & 렛츠런파크 벚꽃축제 감상' 코스 서울대공원역 2번 출구→서울대공원(과천)호수 둘레 벚꽃길→호숫가 전망좋은 길→과천매봉 들머리/서울대공원 야구장→141봉→문원도서관 갈림길→소망교회 카페?→안동권씨묘→과천매봉(369,3m)→절고개→이수봉/헬기장 갈림길→전망대→석기봉(595m)→망경대(615m)→혈읍재→매봉(582m)→매바위(578m)→돌문바위→494고지/헬기장→원터골갈림길→깔딱고개→옥녀봉(375m)→과천갈림길→서울랜드 후문주차장→나들목다리→궁말교→막계교→경마공원역→렛츠런파크 벚꽃축제장→경마공원역→용마교→준마교→광창교→맛집탐방→선바위역오.. 2023. 4. 9.
[20230408] 서울시 관악구 관악산둘레길 1구간ㆍ2구간ㆍ3구간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 - 2부 4월 08일(토) 서울시 관악구 관악산둘레길 1구간ㆍ2구간ㆍ3구간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 '서울시 관악구 관악산둘레길 1구간ㆍ2구간ㆍ3구간 이어 걷기' 코스 사당역 6번 출구 → 수경공원 → 서울시립미술관(남서울분관) → 까치산 생태육교 → 관악산 가는길 쉼터 → 후봉약수터(군인아파트) → 무당골 치성터 → 전망대 → 강감찬장군 사당(안국사) → 낙성대공원 → 서울영어마을 → 창성부원군 성봉조 묘 → 관악산둘레길 1-1, 1-2 코스 분기점 → 새실쉼터 → 서울대 정문 → 서울대미술관(점심식사) → 서울대 정문 → 경로구역입구 4거리 → 전망바위 → 용화약수(배드민턴장) → 돌산 안부4거리 → 보덕사 갈림길 → 보덕사 입구 → 대제학 세자좌부빈객 남원윤씨 부부묘 → 약수암 위 헬기장(농구장) → 트리전망대.. 2023. 4. 8.
[20230408] 서울시 관악구 관악산둘레길 1구간ㆍ2구간ㆍ3구간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 - 1부 4월 08일(토) 서울시 관악구 관악산둘레길 1구간ㆍ2구간ㆍ3구간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 '서울시 관악구 관악산둘레길 1구간ㆍ2구간ㆍ3구간 이어 걷기' 코스 사당역 6번 출구 → 수경공원 → 서울시립미술관(남서울분관) → 까치산 생태육교 → 관악산 가는길 쉼터 → 후봉약수터(군인아파트) → 무당골 치성터 → 트리전망대 → 강감찬장군 사당(안국사) → 낙성대공원 → 서울영어마을 → 창성부원군 성봉조 묘 → 관악산둘레길 1-1, 1-2 코스 분기점 → 새실쉼터 → 서울대 정문 → 서울대미술관(점심식사) → 서울대 정문 → 경로구역입구 4거리 → 전망바위 → 용화약수(배드민턴장) → 돌산 안부4거리 → 보덕사 갈림길 → 보덕사 입구 → 대제학 세자좌부빈객 남원윤씨 부부묘 → 약수암 위 헬기장(농구장) → 트리전.. 2023. 4. 8.
[군산 고군산군도의 재발견] 장자도·선유도·무녀도… 대장봉에 오르니 63개의 섬이 말을 걸어왔다 [아무튼, 주말] 장자도·선유도·무녀도… 대장봉에 오르니 63개의 섬이 말을 걸어왔다 CNN ‘아시아 숨은 명소’ 군산 고군산군도의 재발견 지난 2일 고군산군도 대장봉 정상에 오른 외국인 관광객들은 "spectacular landscape(멋진 풍경)!"라며 감탄사를 연발했다. 대장봉 아래 펜션 주인은 "섬을 찾는 외국인 대부분이 대장봉에 오른다"고 전했다. / 이신영 영상미디어 기자 ‘한국 서해안에서 63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이곳은 잔잔한 물속에 흩어져 있는 초록빛 언덕들이 주는 전망이 그림 같다. (중략) 세계에서 가장 긴 방파제와 다리는 섬을 본토(육지)와 연결해 바퀴로 여행하는 이들에게 특히 매력적인 목적지다.’ 지난해 말, 국립공원이 있는 일본의 소도시 ‘닛코’, 베트남 중부 고원 지방인 ‘달랏.. 2023. 4. 8.
[20230407] 아차산 워커힐호텔 內 힐링숲/포레스트에 있는 조선 왕녀태실을 찾아가다 - 2부 4월 07일(금) 아차산 워커힐호텔 內 힐링숲/포레스트에 있는 조선 왕녀태실을 찾아가다 '아차산 워커힐호텔 內 힐링숲/포레스트에 있는 조선 왕녀태실을 찾아가다' 코스 아차산역(어린이대공원 후문)→아차산역 사거리→홍련봉공원→광진숲나루공원→전망대→아차산배수지체육공원→정립회관→아차산생태공원→아차산어울림광장→아차산동행숲길→아차산숲속도서관→아차산생태공원 유아숲체험원→워커힐벚꽃길→더글라스하우스→힐링숲/포레스트→왕녀태실→워커힐 벚꽃길→워커힐호텔 셔틀버스정류장→광나루역 오늘은 아차산 워커힐호텔 內 힐링숲/포레스트에 있는 조선 왕녀태실을 찾아가기 위해 길을 나선다. 4월 05일(수)에 벚꽃엔딩도보로 석촌호수에서 워커힐호텔까지 이어걷다가... 우연히 발견한 '왕녀태실'을 다시 찾아나서며... ▼ 아차산동행숲길 입구에서.... 2023. 4. 7.
[20230407] 아차산 워커힐호텔 內 힐링숲/포레스트에 있는 조선 왕녀태실을 찾아가다 - 1부 4월 07일(금) 아차산 워커힐호텔 內 힐링숲/포레스트에 있는 조선 왕녀태실을 찾아가다 '아차산 워커힐호텔 內 힐링숲/포레스트에 있는 조선 왕녀태실을 찾아가다' 코스 아차산역(어린이대공원 후문)→아차산역 사거리→홍련봉공원→광진숲나루공원→전망대→아차산배수지체육공원→정립회관→아차산생태공원→아차산어울림광장→아차산동행숲길→아차산숲속도서관→아차산생태공원 유아숲체험원→워커힐벚꽃길→더글라스하우스→힐링숲/포레스트→왕녀태실→워커힐 벚꽃길→워커힐호텔 셔틀버스정류장→광나루역 오늘은 아차산 워커힐호텔 內 힐링숲/포레스트에 있는 조선 왕녀태실을 찾아가기 위해 길을 나선다. 4월 05일(수)에 벚꽃엔딩도보로 석촌호수에서 워커힐호텔까지 이어걷다가... 우연히 발견한 '왕녀태실'을 다시 찾아나서며... ▼ 아차산역에서... ☞ 여기.. 2023. 4. 7.
태실 胎室, 태봉 胎封 태실 胎室, 태봉 胎封 요약 왕족의 태반(胎盤)을 묻은 석실. 태봉(胎封)이라고도 한다. 왕자가 출생하면 태실도감(胎室都監)을 설치하고 길일·길지를 택해 안태사(安胎使)를 보내어 태를 묻게 했다. 태실은 대개 대석·전석(磚石)·우상석(遇裳石)·개첨석(蓋檐石) 등으로 만들었다. 〈경국대전〉 예전에 의하면 지방은 관찰사가 왕·왕비·왕세자(王世子)의 태실과 종묘(宗廟) 각실, 왕후 부모의 묘소까지 모두 살피게 되어 있다. 태실의 간수군(看守軍)은 선왕과 선후의 경우 각 4명으로 하되, 4대손이 다하면 2명으로 하며, 왕과 왕비는 각 8명, 왕세자는 4명으로 했다. 〈속대전〉에는 대왕태실의 석물을 개조할 때 예조의 당상관 및 감역관(監役官)이 감독한다고 되어 있다. 그리고 대왕태실의 경계는 300보, 왕세자의 .. 2023. 4. 6.
왜가리, gray heron 왜가리, gray heron 분류 : 척추동물 > 조강 > 사다새목 > 왜가리과 > 왜가리속 원산지 : 아시아 서식지 : 초습지, 하천, 하구, 소택지, 논 먹이 : 새우, 개구리, 쥐, 뱀 크기 : 약 91cm ~ 1.02m 무게 : 약 1.6kg ~ 2kg 학명 : Ardea cinerea 식성 : 잡식 임신기간 : 약 20~24일 멸종위기등급 : 낮은위기 요약 사다새목 왜가리과에 속하는 흔한 여름물새. 아시아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한국에는 주로 여름철새였으나 거의 텃새화 되었다. 하천 생태계에서 최상위 포식자로 군림하며 잉어, 개구리, 쥐 같은 온갖 동물들을 먹이로 삼는다. 흔히 백로나 해오라기 무리와 함께 서식한다. 개요 사다새목 왜가리과 왜가리속에 속하는 조류. 학명은 ‘Ardea cinere.. 2023. 4. 6.
왜가리 왜가리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황새목(Ciconiiformes) > 백로과(Ardeidae) 학명 : Ardea cinerea (Linnaeus, 1758) 국내분포 :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며, 일부개체는 월동한다. 해외분포 : 유럽,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 등에 널리 분포한다. 특징 : 여름철새 형태 크기: 약 94~97cm로 중대백로보다 크고 대백로와 비슷하거나 작다. 채색과 무늬: 전체적으로 회색을 뛰며, 배 쪽은 우유빛을 띤다. 목 앞쪽에 검은 새로줄무늬가 있다. 부리와 다리는 어두운 회색을 띠며 번식기에는 머리의 양 측면의 검은 깃털이 댕기 모양으로 늘어진다. 암수가 같은 색이므로 야외에서 구별하기는 어렵다. 번식기에는 눈 앞부터 부리의 대부분이 선홍색을.. 2023. 4. 6.
[월간산 추천, 4월에 걷기 좋은 길 BEST 4] 금산 보곡산 산꽃술래길, 고령 대가야유적 산책로, 축령산 잣향기푸른숲, 영월 운탄고도 3길 [월간산 추천, 4월에 걷기 좋은 길 BEST 4] 금산 보곡산 산꽃술래길, 고령 대가야유적 산책로, 축령산 잣향기푸른숲, 영월 운탄고도 3길 금산 보곡산 산꽃술래길 충남 금산 보곡산골은 전국 최대 규모인 1,000만㎡에 달하는 면적에 산벚꽃이 군락을 이룬 골짜기다. 산벚꽃뿐만 아니라 생강나무, 산딸기나무, 조팝나무도 한가득 자라나 있다. 이 벚꽃 무리를 관통하는 길이 보곡산 산꽃술래길이다. 지금은 용도폐기된 임도를 활용한 길이라 부드럽고 고즈넉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굽이굽이 산을 돌며 정겨운 시골풍경을 끌어 안고 피어난 벚꽃을 바라볼 수 있다. 전체 코스는 총 10km인데, 부담된다면 짧은 코스로 대체해 걸을 수도 있다. 나비꽃길 4km, 보이네요길 7km가 대안이다. 산골짜기 가득 메운 꽃향기를.. 2023. 4. 6.
[월간산 추천 4월에 갈 만한 산 BEST 4] 팔봉산八峰山(328m), 남산제일봉南山第一峯(1054m), 운장산雲長山(1,126m), 문수산文殊山(376m) [월간산 추천 4월에 갈 만한 산 BEST 4] 팔봉산八峰山(328m), 남산제일봉南山第一峯(1054m), 운장산雲長山(1,126m), 문수산文殊山(376m) 팔봉산八峰山(328m) 날카로운 바위 봉우리들이 줄지어 능선을 이룬 전형적인 암릉 산행지다. 나지막한 산이지만 주능선의 바위로만 이뤄진 급경사와 절벽을 오르내리다 보면 만만치 않은 산세에 놀라게 된다. 또한 바위 전망대에서 굽이쳐 흐르는 홍천강을 조망하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강원도 홍천의 해발 327m 작은 산이지만 줄곧 암봉을 넘어야 하기에 제법 힘들고 시간도 적지 않게 걸린다. 2봉과 3봉, 5봉과 6봉, 7봉과 8봉 사이에 하산로가 있어 체력이나 시간에 따라 산행거리를 선택할 수 있다. 하산길은 정비가 잘돼 있어 어렵지 않다. 주능선은 .. 2023. 4. 6.
귀룽나무, european bird cherry, 귀중목, 구름나무, 귀롱나무, 구룡나무, 귀롱목 귀룽나무, european bird cherry, 귀중목, 구름나무, 귀롱나무, 구룡나무, 귀롱목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장미과 > 벚나무속 서식지 : 숲, 삼림의 가장자리, 경사지, 계곡이나 물가 주변 지대 학명 : Prunus padus L. 국내분포 : 전국 해외분포 : 몽골, 중국, 일본, 러시아 동북부, 프랑스와 지중해 지역을 제외한 유럽 개요 전국의 산 계곡 주변에 흔하게 자라는 낙엽 큰키나무다. 세계적으로는 몽골, 중국, 일본, 러시아 동북부, 프랑스와 지중해 지역을 제외한 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줄기는 높이 10-20m다. 잎은 어긋나며, 도란형 또는 타원형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잎자루의 위쪽에 샘점이 있다. 꽃은 4-6월에 새 가지 끝의 총상꽃차례에 모여.. 2023. 4. 6.
귀룽나무, european bird cherry, 귀중목 귀룽나무, european bird cherry, 귀중목 분류 : 장미목 > 장미과 > 벚나무속 꽃색 : 백색 학명 : Prunus padus L. 개화기 : 5월 분포지역 • 일본의 북해도,중국, 몽고, 시베리아, 유럽등지에도 분포한다. • 전국의 표고 1,800m 이하의 산골짜기에서 자란다.(속리산, 오대산등에서도 자란다.) 형태 낙엽활엽교목 크기 수고 15m정도 잎 잎은 어긋나기하며 도란상 타원형, 거꿀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이고 첨두 또는 점첨두이며 원저이고 길이 6-12cm, 폭 3-6㎝로서 표면은 녹색으로 털이 없으며 뒷면은 회갈색이며 맥액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0-1.5㎝로서 털이 없고 꿀샘이 있다. 꽃 꽃은 5월에 피며 지름 1-1.5cm로서 백색이고 총상꽃차.. 2023. 4. 6.
[20230405] 벚꽃엔딩도보 - 석촌호수ㆍ올림픽공원ㆍ성내천ㆍ풍납토성ㆍ워커힐ㆍ아차산 긴고랑 벚꽃길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 - 3부 4월 05일(수) 벚꽃엔딩도보 - 석촌호수ㆍ올림픽공원ㆍ성내천ㆍ풍납토성ㆍ워커힐ㆍ아차산 긴고랑 벚꽃길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 '벚꽃엔딩도보 - 석촌호수ㆍ올림픽공원ㆍ성내천ㆍ풍납토성ㆍ워커힐ㆍ아차산 긴고랑 벚꽃길 이어 걷기' 코스 잠실역→롯데타워→석촌호수 동호/서호 벚꽃길→몽촌토성역→세계평화의문→몽촌호→곰말다리→팔각정→성내교→성내천 벚꽃길→올림픽대교 남단교차로→풍납토성 남성벽전망대→풍납토성길→풍납근린공원→천호대교→광진교→광장중학교→아차산 자투리텃밭→아차산생태공원→워커힐벚꽃길→더글라스하우스→힐링숲/왕녀태실→아차산성→낙타고개→고구려정→아차산둘레길→긴고랑계곡→긴고랑공원→중곡4동주민센터→중곡4거리→군자역 먹자골목→군자역 오늘은 '벚꽃엔딩도보 - 석촌호수ㆍ올림픽공원ㆍ성내천ㆍ풍납토성ㆍ워커힐ㆍ아차산 긴고랑 벚꽃길 이어 걷기'를.. 2023. 4. 5.
[20230405] 벚꽃엔딩도보 - 석촌호수ㆍ올림픽공원ㆍ성내천ㆍ풍납토성ㆍ워커힐ㆍ아차산 긴고랑 벚꽃길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 - 2부 4월 05일(수) 벚꽃엔딩도보 - 석촌호수ㆍ올림픽공원ㆍ성내천ㆍ풍납토성ㆍ워커힐ㆍ아차산 긴고랑 벚꽃길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 '벚꽃엔딩도보 - 석촌호수ㆍ올림픽공원ㆍ성내천ㆍ풍납토성ㆍ워커힐ㆍ아차산 긴고랑 벚꽃길 이어 걷기' 코스 잠실역→롯데타워→석촌호수 동호/서호 벚꽃길→몽촌토성역→세계평화의문→몽촌호→곰말다리→팔각정→성내교→성내천 벚꽃길→올림픽대교 남단교차로→풍납토성 남성벽전망대→풍납토성길→풍납근린공원→천호대교→광진교→광장중학교→아차산 자투리텃밭→아차산생태공원→워커힐벚꽃길→더글라스하우스→힐링숲/왕녀태실→아차산성→낙타고개→고구려정→아차산둘레길→긴고랑계곡→긴고랑공원→중곡4동주민센터→중곡4거리→군자역 먹자골목→군자역 오늘은 '벚꽃엔딩도보 - 석촌호수ㆍ올림픽공원ㆍ성내천ㆍ풍납토성ㆍ워커힐ㆍ아차산 긴고랑 벚꽃길 이어 걷기'를.. 2023. 4. 5.
[20230405] 벚꽃엔딩도보 - 석촌호수ㆍ올림픽공원ㆍ성내천ㆍ풍납토성ㆍ워커힐ㆍ아차산 긴고랑 벚꽃길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 - 1부 4월 05일(수) 벚꽃엔딩도보 - 석촌호수ㆍ올림픽공원ㆍ성내천ㆍ풍납토성ㆍ워커힐ㆍ아차산 긴고랑 벚꽃길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 '벚꽃엔딩도보 - 석촌호수ㆍ올림픽공원ㆍ성내천ㆍ풍납토성ㆍ워커힐ㆍ아차산 긴고랑 벚꽃길 이어 걷기' 코스 잠실역→롯데타워→석촌호수 동호/서호 벚꽃길→몽촌토성역→세계평화의문→몽촌호→곰말다리→팔각정→성내교→성내천 벚꽃길→올림픽대교 남단교차로→풍납토성 남성벽전망대→풍납토성길→풍납근린공원→천호대교→광진교→광장중학교→아차산 자투리텃밭→아차산생태공원→워커힐벚꽃길→더글라스하우스→힐링숲/왕녀태실→아차산성→낙타고개→고구려정→아차산둘레길→긴고랑계곡→긴고랑공원→중곡4동주민센터→중곡4거리→군자역 먹자골목→군자역 오늘은 '벚꽃엔딩도보 - 석촌호수ㆍ올림픽공원ㆍ성내천ㆍ풍납토성ㆍ워커힐ㆍ아차산 긴고랑 벚꽃길 이어 걷기'를.. 2023. 4. 5.
야광나무, Siberian crabapple, 당리자, 평과목, 아그배 / 꽃말 : 유일한 사랑, 온화 야광나무, Siberian crabapple, 당리자, 평과목, 아그배 / 꽃말 : 유일한 사랑, 온화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장미과 > 사과나무속 서식지 : 산 또는 강가 학명 : Malus baccata (L.) Borkh. 꽃말 : 유일한 사랑, 온화 국내분포 :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해외분포 : 몽골, 중국 동북부, 러시아 동북부 키 : 12m 개요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산 또는 강가에 자라는 낙엽 작은키나무다. 세계적으로는 몽골, 중국 동북부, 러시아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줄기는 높이 4-10m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타원형,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잎자루에 어릴 때 털이 있지만 없어진다. 꽃은 5-6월에 짧은 가지 끝의 산형꽃차례로 달리며, 흰색이다. 꽃받.. 2023. 4. 4.
수수꽃다리(꽃), 조선정향, 해이라크 / 꽃말 : 회상, 기쁨, 우애 수수꽃다리(꽃), 조선정향, 해이라크 /  꽃말 : 회상, 기쁨, 우애 분류 : 물푸레나무목 > 물푸레나무과 > 수수꽃다리속꽃색 : 자주색꽃말 : 회상, 기쁨, 우애 학명 : Syringa oblata var. dilatata (Nakai) Rehder개화기 : 4월, 5월 분포지역황해도, 평안남도 및 함경남도의 석회암 지대. 형태낙엽 활엽 관목. 크기높이 2 ~ 3m. 잎잎은 마주나기하며 넓은 달걀형이고 예두 또는 점첨두이며 아심장저 또는 절저이고 길이 5 ~ 12cm로, 톱니와 양면에 털이 없으며 잎자루는 길이 20 ~ 25mm이다. 꽃꽃은 4월에 피고 지름 2cm로 연한 자주색이며, 원뿔모양꽃차례로 전년지 끝에서 마주나며 길이 7 ~ 12cm로, 꽃대축에 선상의 돌기가 있으며, 작은 꽃대는 길이 2.. 2023. 4. 4.
박태기나무, Chiness redbud, 밥태기꽃나무, 칼집나무, 구슬꽃나무, 유다 나무, Judas tree, 자형, 紫荊 박태기나무, Chiness redbud, 밥태기꽃나무, 칼집나무, 구슬꽃나무, 유다 나무, Judas tree, 자형, 紫荊 분류 : 장미목 > 콩과 > 박태기나무속 꽃색 : 붉은색 학명 : Cercis chinensis Bunge 개화기 : 4월 분포지역 중국; 관상용으로 널리 식재. 형태 낙엽 활엽 관목. 크기 높이 3 ~ 5m. 잎 잎은 어긋나기하며 심장형이고 두껍우며 지름이 6 ~ 11cm로 표면은 윤채가 있으며, 아래에는 5개로 갈라지는 맥이 발달하였고 뒷면 맥 아랫부분에 잔털이 있다. 꽃 꽃은 4월 하순에 잎보다 먼저 피며 길이 1.2 ~ 1.8cm로 홍자색이며, 7 ~ 8개(20 ~ 30개)씩 우상모양꽃차례를 이루고, 꽃대가 없으며 작은꽃대의 길이는 6 ~ 15mm로, 2/3 정도에 마디가 .. 2023. 4. 4.
서부해당화, 수사해당화(垂丝海棠花) 서부해당화, 수사해당화(垂丝海棠花) 분류 : 속씨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장미과 > 사과나무속 원산지 : 중국 꽃색 : 연한 자주색, 분홍색 학명 : Malus halliana 꽃말 : 미인의 잠결, 온화 개화기 : 4월 ~ 5월 요약 사과나무속의 키작은나무. 중국 원산으로 4~5월경 연한 자주색 꽃이 핀다. 개요 사과나무속의 낙엽 소교목이다. 중국 원산으로 한국에서는 같은 사과나무속의 꽃사과나무(M. prunifolia), 꽃아그배나무(M. froribunda)와 함께 ‘꽃사과’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늦은 봄부터 연한 자주색 꽃이 풍성하게 피어난다. 예부터 부드럽고 우아한 인상을 주는 아름다운 꽃을 감상하기 위해 정원식물로 재배했다. 다양한 원예품종과 교잡종이 있다. 형태 높이 약 5m 정도까.. 2023. 4. 4.
죽단화, 겹황매화 죽단화, 겹황매화 분류 : 장미목 > 장미과 > 황매화속 꽃색 : 노란색 학명 : Kerria japonica f. pleniflora (Witte) Rehder 개화기 : 5월, 4월 분포지역 전국에 식재. 형태 낙엽 활엽 관목. 크기 높이 2m. 잎 잎은 어긋나기하며 긴 타원형이며 예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3 ~ 7cm, 폭 2 ~ 3.5cm이고, 가장자리에는 결각상의 이중거치가 있으며, 표면은 털이 없고 잎맥이 오목하게 들어가며 뒷면은 맥이 돌출하고 맥위에 털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5 ~ 15mm이다. 꽃 꽃은 4월 말 ~ 6월 초에 가지 끝에 1개씩 피며 지름 3 ~ 4cm이고 황색이며, 꽃받침조각은 달걀꼴 첨두로 털이 없으며 잔톱니가 있고 꽃잎은 겹꽃이다. 열매 열매는 거의 맺지 않는다... 2023. 4. 4.
황매화, 수중화 / 꽃말 : 높은 기풍, 숭고 황매화, 수중화 / 꽃말 : 높은 기풍, 숭고 분류 : 장미목 > 장미과 > 황매화속 꽃색 : 노란색 꽃말 : 높은 기풍, 숭고 학명 : Kerria japonica (L.) DC. 개화기 : 4월, 5월 분포지역 •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낙엽활엽관목. 크기 높이 1.5-2m 정도 자란다. 잎 잎은 어긋나기하며 긴 타원형, 타원형 또는 긴 달걀모양이고 점첨두이며 예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3-7cm, 폭 2-3.5cm로서 가장자리에는 결각상의 겹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털이 없고 잎맥이 오목하게 들어가며 뒷면은 맥이 돌출하고 맥위에 털이 있다. 측맥은 6-7쌍으로 평행하고 엽병은 길이 5-15mm이며 탁엽은 선형으로 좁고 길며 일찍 떨어진다. 꽃 꽃은 완전화로서 가지 .. 2023. 4. 4.
[20230404] 국립서울현충원 수양(능수)벚꽃이 아름답다하여 현충원벚꽃길을 찾아갔더니 벚꽃 반에 낙화가 반이네... 4월 04일(화) 국립서울현충원 수양(능수)벚꽃이 아름답다하여 현충원벚꽃길을 찾아갔더니 벚꽃 반에 낙화가 반이네... '국립서울현충원 수양(능수)벚꽃이 아름답다하여 현충원벚꽃길을 찾아갔더니 벚꽃 반에 낙화가 반이네...' 코스 동작역→국립서울현충원 정문→종합민원실→충성분수대→경찰충혼탑→대한독립군 무명용사탑→호국지장사 입구→충혼당→수충교→정난교→수양벚꽃군락→정국교→현충원 정문→동작역 오늘은 '국립서울현충원 수양(능수)벚꽃이 아름답다하여 현충원벚꽃길을 찾아갔더니 벚꽃 반에 낙화가 반이네... ▼ 동작역에서... ☞ 이것으로 '국립서울현충원 수양(능수)벚꽃이 아름답다하여 현충원벚꽃길을 찾아갔더니 벚꽃 반에 낙화가 반이네...' 이야기를 마친다. 2023. 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