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592

[꿩의바람꽃] Radde Anemone 다피은련화, 多被銀蓮花, 은련화, 銀蓮花, 양두첨, 兩頭尖 [꿩의바람꽃] Radde Anemone 다피은련화, 多被銀蓮花, 은련화, 銀蓮花, 양두첨, 兩頭尖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바람꽃속 꽃색 : 자주색, 백색 학명 : Anemone raddeana Regel 개화기 : 5월, 4월 분포지역 • 한국, 중국, 러시아 극동부에 분포한다. • 중부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크기 꽃대는 높이가 15-20cm 이다. 잎 근생엽은 꽃이 쓰러진 다음 자라며 길이 4-15cm의 엽병이 있고 이회삼출겹잎이며 털이 없거나 긴 털이 성글게 있고 총포조각은 3개이며 짧은 엽병이 있다. 소엽은 긴 타원형이며 길이 15-35mm, 폭 5-15mm로서 끝이 둔하고 윗부분에 불규칙하고 둔하 톱니가 있으며 3개로 깊게 갈라지고 털이 없거나 기부에 다소 긴 .. 2023. 3. 22.
[20230319] 마포 걷고 싶은 길 10선 中 4코스ㆍ6코스ㆍ7코스ㆍ9코스 이어 걷기 & 맛집탐방을 다녀오다 - 4부 3월 19일(일) 마포 걷고 싶은 길 10선 中 4코스ㆍ6코스ㆍ7코스ㆍ9코스 이어 걷기 & 맛집탐방을 다녀오다. '마포 걷고 싶은 길 10선 中 4코스ㆍ6코스ㆍ7코스ㆍ9코스 이어 걷기 & 맛집탐방' 코스 마포역 1번 출구→마포 걷고 싶은 길 4코스(마포 한강길)→용강맛깨비길→토정이지함동상→토정나들목→현석나들목(밤섬조망공원→서강나들목→양화진나루터→절두산성지→합정역 7번 출구→합정역 8번 출구→마포 걷고 싶은 길 6코스(망원 한강길)→홀트아동복지회→망원정터→망원정마당→망원초록길→서울함공원→망원동골목길→망원시장→망원역 2번 출구→망원역 1번 출구→마포 걷고 싶은 길 7코스(성미산 동네길)→최규하대통령가옥→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성미산약수터→성미산전망대→성산근린공원→외주목어린이공원→마포중앙도서관→마포구청역 3번 출.. 2023. 3. 19.
[20230319] 마포 걷고 싶은 길 10선 中 4코스ㆍ6코스ㆍ7코스ㆍ9코스 이어 걷기 & 맛집탐방을 다녀오다 - 3부 3월 19일(일) 마포 걷고 싶은 길 10선 中 4코스ㆍ6코스ㆍ7코스ㆍ9코스 이어 걷기 & 맛집탐방을 다녀오다. '마포 걷고 싶은 길 10선 中 4코스ㆍ6코스ㆍ7코스ㆍ9코스 이어 걷기 & 맛집탐방' 코스 마포역 1번 출구→마포 걷고 싶은 길 4코스(마포 한강길)→용강맛깨비길→토정이지함동상→토정나들목→현석나들목(밤섬조망공원→서강나들목→양화진나루터→절두산성지→합정역 7번 출구→합정역 8번 출구→마포 걷고 싶은 길 6코스(망원 한강길)→홀트아동복지회→망원정터→망원정마당→망원초록길→서울함공원→망원동골목길→망원시장→망원역 2번 출구→망원역 1번 출구→마포 걷고 싶은 길 7코스(성미산 동네길)→최규하대통령가옥→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성미산약수터→성미산전망대→성산근린공원→외주목어린이공원→마포중앙도서관→마포구청역 3번 출.. 2023. 3. 19.
[20230319] 마포 걷고 싶은 길 10선 中 4코스ㆍ6코스ㆍ7코스ㆍ9코스 이어 걷기 & 맛집탐방을 다녀오다 - 2부 3월 19일(일) 마포 걷고 싶은 길 10선 中 4코스ㆍ6코스ㆍ7코스ㆍ9코스 이어 걷기 & 맛집탐방을 다녀오다. '마포 걷고 싶은 길 10선 中 4코스ㆍ6코스ㆍ7코스ㆍ9코스 이어 걷기 & 맛집탐방' 코스 마포역 1번 출구→마포 걷고 싶은 길 4코스(마포 한강길)→용강맛깨비길→토정이지함동상→토정나들목→현석나들목(밤섬조망공원→서강나들목→양화진나루터→절두산성지→합정역 7번 출구→합정역 8번 출구→마포 걷고 싶은 길 6코스(망원 한강길)→홀트아동복지회→망원정터→망원정마당→망원초록길→서울함공원→망원동골목길→망원시장→망원역 2번 출구→망원역 1번 출구→마포 걷고 싶은 길 7코스(성미산 동네길)→최규하대통령가옥→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성미산약수터→성미산전망대→성산근린공원→외주목어린이공원→마포중앙도서관→마포구청역 3번 출.. 2023. 3. 19.
[20230319] 마포 걷고 싶은 길 10선 中 4코스ㆍ6코스ㆍ7코스ㆍ9코스 이어 걷기 & 맛집탐방을 다녀오다 - 1부 3월 19일(일) 마포 걷고 싶은 길 10선 中 4코스ㆍ6코스ㆍ7코스ㆍ9코스 이어 걷기 & 맛집탐방을 다녀오다. '마포 걷고 싶은 길 10선 中 4코스ㆍ6코스ㆍ7코스ㆍ9코스 이어 걷기 & 맛집탐방' 코스 마포역 1번 출구→마포 걷고 싶은 길 4코스(마포 한강길)→용강맛깨비길→토정이지함동상→토정나들목→현석나들목(밤섬조망공원→서강나들목→양화진나루터→절두산성지→합정역 7번 출구→합정역 8번 출구→마포 걷고 싶은 길 6코스(망원 한강길)→홀트아동복지회→망원정터→망원정마당→망원초록길→서울함공원→망원동골목길→망원시장→망원역 2번 출구→망원역 1번 출구→마포 걷고 싶은 길 7코스(성미산 동네길)→최규하대통령가옥→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성미산약수터→성미산전망대→성산근린공원→외주목어린이공원→마포중앙도서관→마포구청역 3번 출.. 2023. 3. 19.
[2023년 개나리, 진달래, 벚꽃] 봄꽃 개화시기 [2023년 개나리, 진달래, 벚꽃] 봄꽃 개화시기 ■ 올해 봄꽃 개화 평년보다 2~9일 정도 빠를 듯 개나리는 서귀포에서 3월 15일, 서울에서 3월 25일 개화 예상 진달래는 서귀포에서 3월 17일, 서울에서 3월 23일 개화 예상 □ 올해 개나리와 진달래의 개화시기는 전국이 평년보다 2~9일 정도 빠르겠다. ※ 개나리는 3월 15일 서귀포를 시작으로 남부지방은 3월 12∼20일, 중부지방은 3월 21∼28일, 경기 북부와 강원 북부 및 산간지방은 3월 30일 이후에 개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 진달래는 3월 17일 서귀포를 시작으로 남부지방은 3월 15∼27일, 중부지방은 3월 23일∼3월 29일, 경기 북부와 강원 북부 및 산간지방은 4월 1일 이후 개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 봄꽃의 절정 시기는.. 2023. 3. 17.
2023년 제 24회 이천 백사 산수유꽃축제 2023년 제 24회 이천 백사 산수유꽃축제 2023. 3. 16.
[20230316] 인덕원역 원점회귀 걷기(학의천ㆍ양지천ㆍ과천매봉ㆍ절고개ㆍ청계사ㆍ청계산맑은숲공원ㆍ청계천ㆍ학의천)를 다녀오다 - 2부 3월 16일(목) 인덕원역 원점회귀 걷기(학의천ㆍ양지천ㆍ과천매봉ㆍ절고개ㆍ청계사ㆍ청계산맑은숲공원ㆍ청계천ㆍ학의천)를 다녀오다. '인덕원역 원점회귀 걷기(학의천ㆍ양지천ㆍ과천매봉ㆍ절고개ㆍ청계사ㆍ청계산맑은숲공원ㆍ청계천ㆍ학의천)' 코스 인덕원역→송정명ㆍ이태응 영세불망비→인덕원교→학의천 따라 오름→학의천ㆍ양지천 합류부→양지천 따라 오름→양지천1교→양지천2교→양지천3교→의왕포일습지→산빛근린공원→양지천4교→이미마을 등산로 입구→제2경인고속도로 굴다리→옥박골 갈림길→중청계 갈림길→사기막골 갈림길→전망바위→문원유아숲 갈림길→과천/의왕 매봉(369.3m)→헬기장→산림욕장1→산림욕장2→절고개→청계사→청계임도→청계산 맑은숲공원→청계천 따라 내림→청계산 추억쌓기 수변쉼터들 경유→청계산입구 정류장→옥박골사거리→청계교→청계동주민센터→.. 2023. 3. 16.
[20230316] 인덕원역 원점회귀 걷기(학의천ㆍ양지천ㆍ과천매봉ㆍ절고개ㆍ청계사ㆍ청계산맑은숲공원ㆍ청계천ㆍ학의천)를 다녀오다 - 1부 3월 16일(목) 인덕원역 원점회귀 걷기(학의천ㆍ양지천ㆍ과천매봉ㆍ절고개ㆍ청계사ㆍ청계산맑은숲공원ㆍ청계천ㆍ학의천)를 다녀오다. '인덕원역 원점회귀 걷기(학의천ㆍ양지천ㆍ과천매봉ㆍ절고개ㆍ청계사ㆍ청계산맑은숲공원ㆍ청계천ㆍ학의천)' 코스 인덕원역→송정명ㆍ이태응 영세불망비→인덕원교→학의천 따라 오름→학의천ㆍ양지천 합류부→양지천 따라 오름→양지천1교→양지천2교→양지천3교→의왕포일습지→산빛근린공원→양지천4교→이미마을 등산로 입구→제2경인고속도로 굴다리→옥박골 갈림길→중청계 갈림길→사기막골 갈림길→전망바위→문원유아숲 갈림길→과천/의왕 매봉(369.3m)→헬기장→산림욕장1→산림욕장2→절고개→청계사→청계임도→청계산 맑은숲공원→청계천 따라 내림→청계산 추억쌓기 수변쉼터들 경유→청계산입구 정류장→옥박골사거리→청계교→청계동주민센터→.. 2023. 3. 16.
목련 木蓮, 신이(辛夷), 북향화, 목필 / 꽃말 : 이루지 못할 사랑, 첫사랑 목련 木蓮, 신이(辛夷), 북향화, 목필 / 꽃말 : 이루지 못할 사랑, 첫사랑 분류 : 목련목 > 목련과 > 목련속 꽃색 : 붉은색, 백색 꽃말 : 이루지 못할 사랑, 첫사랑 학명 ; Magnolia kobus DC. 개화기 : 3월, 4월 분포지역 : 제주도 숲속 자생, 전국 식재. 형태 : 낙엽활엽교목, 수형:원개형(가지의 신장은 정자형). 크기 : 높이 10m, 지름 1m. 잎 잎눈에는 털이 없으나 화아의 포에는 털이 밀생한다. 잎은 길이 5~15cm, 폭 3~6cm이고 넓은 달걀모양 또는 거꿀달걀모양이며 끝이 급히 뾰족해지고밑부분이 넓은 예저이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은 털이 없거나 잔털이 약간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 1~2cm이다. 꽃 양성꽃으로서 3~4월 중순부터 잎이 나오기 전에 피고 지름 .. 2023. 3. 15.
[20230314] 오이도역에서 늠내바람길 걷고, 배곧한울공원 거쳐 해넘이다리 건너서 새우타워ㆍ해오름광장 거쳐 소래포구역까지 걷기 - 4부 3월 14일(화) 오이도역에서 늠내바람길 걷고, 배곧한울공원 거쳐 해넘이다리 건너서 새우타워ㆍ해오름광장 거쳐 소래포구역까지 걷기를 다녀오다. '오이도역에서 늠내바람길 걷고, 배곧한울공원 거쳐 해넘이다리 건너서 새우타워ㆍ해오름광장 거쳐 소래포구역까지 걷기' 코스 오이도역→정왕호수공원→함줄도시농업공원→동원아파트사거리→함송교→서해교→옥구고가차도→옥구공원→옥구정 전망데크→덕섬(똥섬) 입구→오이도 황새바위길→생명의나무 전망대→오이도 빨간등대→오이도항선착장→노을의노래 전망대→오이도함상전망대→오이도살막길→시흥오이도박물관→오이도기념공원→오이도선사유적공원(메인주차장→당산나무→물발원지→선사마당→야영움집→억새길→패총전시관→CAFE 전망대→배다리선착장입구)→덕섬(똥섬)→배곧한울공원(해수체험장→천국의계단→불멍하우스→갯벌체험장→.. 2023. 3. 14.
[20230314] 오이도역에서 늠내바람길 걷고, 배곧한울공원 거쳐 해넘이다리 건너서 새우타워ㆍ해오름광장 거쳐 소래포구역까지 걷기 - 3부 3월 14일(화) 오이도역에서 늠내바람길 걷고, 배곧한울공원 거쳐 해넘이다리 건너서 새우타워ㆍ해오름광장 거쳐 소래포구역까지 걷기를 다녀오다. '오이도역에서 늠내바람길 걷고, 배곧한울공원 거쳐 해넘이다리 건너서 새우타워ㆍ해오름광장 거쳐 소래포구역까지 걷기' 코스 오이도역→정왕호수공원→함줄도시농업공원→동원아파트사거리→함송교→서해교→옥구고가차도→옥구공원→옥구정 전망데크→덕섬(똥섬) 입구→오이도 황새바위길→생명의나무 전망대→오이도 빨간등대→오이도항선착장→노을의노래 전망대→오이도함상전망대→오이도살막길→시흥오이도박물관→오이도기념공원→오이도선사유적공원(메인주차장→당산나무→물발원지→선사마당→야영움집→억새길→패총전시관→CAFE 전망대→배다리선착장입구)→덕섬(똥섬)→배곧한울공원(해수체험장→천국의계단→불멍하우스→갯벌체험장→.. 2023. 3. 14.
[20230314] 오이도역에서 늠내바람길 걷고, 배곧한울공원 거쳐 해넘이다리 건너서 새우타워ㆍ해오름광장 거쳐 소래포구역까지 걷기 - 2부 3월 14일(화) 오이도역에서 늠내바람길 걷고, 배곧한울공원 거쳐 해넘이다리 건너서 새우타워ㆍ해오름광장 거쳐 소래포구역까지 걷기를 다녀오다. '오이도역에서 늠내바람길 걷고, 배곧한울공원 거쳐 해넘이다리 건너서 새우타워ㆍ해오름광장 거쳐 소래포구역까지 걷기' 코스 오이도역→정왕호수공원→함줄도시농업공원→동원아파트사거리→함송교→서해교→옥구고가차도→옥구공원→옥구정 전망데크→덕섬(똥섬) 입구→오이도 황새바위길→생명의나무 전망대→오이도 빨간등대→오이도항선착장→노을의노래 전망대→오이도함상전망대→오이도살막길→시흥오이도박물관→오이도기념공원→오이도선사유적공원(메인주차장→당산나무→물발원지→선사마당→야영움집→억새길→패총전시관→CAFE 전망대→배다리선착장입구)→덕섬(똥섬)→배곧한울공원(해수체험장→천국의계단→불멍하우스→갯벌체험장→.. 2023. 3. 14.
[20230314] 오이도역에서 늠내바람길 걷고, 배곧한울공원 거쳐 해넘이다리 건너서 새우타워ㆍ해오름광장 거쳐 소래포구역까지 걷기 - 1부 3월 14일(화) 오이도역에서 늠내바람길 걷고, 배곧한울공원 거쳐 해넘이다리 건너서 새우타워ㆍ해오름광장 거쳐 소래포구역까지 걷기를 다녀오다. '오이도역에서 늠내바람길 걷고, 배곧한울공원 거쳐 해넘이다리 건너서 새우타워ㆍ해오름광장 거쳐 소래포구역까지 걷기' 코스 오이도역→정왕호수공원→함줄도시농업공원→동원아파트사거리→함송교→서해교→옥구고가차도→옥구공원→옥구정 전망데크→덕섬(똥섬) 입구→오이도 황새바위길→생명의나무 전망대→오이도 빨간등대→오이도항선착장→노을의노래 전망대→오이도함상전망대→오이도살막길→시흥오이도박물관→오이도기념공원→오이도선사유적공원(메인주차장→당산나무→물발원지→선사마당→야영움집→억새길→패총전시관→CAFE 전망대→배다리선착장입구)→덕섬(똥섬)→배곧한울공원(해수체험장→천국의계단→불멍하우스→갯벌체험장→.. 2023. 3. 14.
[ 개화(開花)의 법칙 ] 봄꽃, 한 해 전 여름부터 꽃눈 준비… 겨울잠 자야 피죠 [ 개화(開花)의 법칙 ] 봄꽃, 한 해 전 여름부터 꽃눈 준비… 겨울잠 자야 피죠 개화(開花)의 법칙 ▲ /그래픽=유재일 추운 겨울이 지나고 따뜻한 봄이 오면 형형색색 꽃들이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해요. 겨울과 봄의 경계엔 동백이 먼저 펴요. 이어 매화→산수유→목련→개나리→진달래 등 순으로 봄꽃이 피어나지요. 식물은 왜 이렇게 시간을 달리하여 꽃을 피울까요. 봄꽃 세상에도 질서가 있다는데, 그 질서는 무엇이 만들어낼까요. 시차를 두고 차례로 진화생물학자들에 따르면, 식물이 꽃을 피우는 시기를 조절하는 것은 더 많은 자손을 퍼뜨리려는 전략이라고 해요. 식물은 동물처럼 좋은 환경을 찾아 옮겨 다니지 못하니 꽃 피는 시간이라도 달리해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려는 것이래요. 식물은 항상 햇빛과 물, 땅속 .. 2023. 3. 14.
쇠백로 Little Egret / 백로류 중 가장 작은 백로 쇠백로 Little Egret / 백로류 중 가장 작은 백로 분류 : 황새목>백로과 서식지 : 하천, 강, 하구, 논, 습지, 갯벌, 해안 먹이 : 양서류, 어류(개구리류, 물고기 등) 크기 : 약 58~61cm 학명 : Egretta garzetta 수명 : 약 5~10년 특징 • 백로류 중 가장 작고, 몸은 순백색이다. • 부리는 검고 뾰족하여 물고기를 잡기에 알맞다. • 하천의 가장자리, 강가, 해안, 하구, 논 등지에서 빠르게 움직이며 물고기, 연체동물 등을 잡는다. • 도심 하천의 수중보에서 물고기가 올라올 때를 기다렸다가 잡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 최근에는 왜가리와 더불어 월동하는 개체군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번식정보 • 하천 및 강 등에서 멀지 않은 침엽수와 활엽수의 교목림에 다른.. 2023. 3. 12.
[20230312] 마포 걷고 싶은 길 10선 中 10코스ㆍ8코스ㆍ1코스ㆍ3코스 이어 걷기 & 맛집탐방을 다녀오다 - 3부 3월 12일(일) 마포 걷고 싶은 길 10선 中 10코스ㆍ8코스ㆍ1코스ㆍ3코스 이어 걷기 & 맛집탐방을 다녀오다. '마포 걷고 싶은 길 10선 中 10코스ㆍ8코스ㆍ1코스ㆍ3코스 이어 걷기 & 맛집탐방' 코스 월드컵경기장역 2번 출구→마포 걷고 싶은 길 10코스→담소정→풀무골→전망대→문화비축기지안내동→월드컵경기장 교차로→매봉산자락길 입구→박정희대통령 기념관→TBS→KBS미디어센터→상암초교 교차로→DMC문화공원→채널A→YTN→상암문화광장→MBC→SBS프리즘타워→물빛문화공원→상암삼거리→상암동먹자거리→디지털미디어시티역 9번 출구→디지털미디어시티역 3번 출구→마포 걷고 싶은 길 8코스→중동교→불광천→성미다리→상암교→불광천ㆍ홍제천 합류부→홍제천ㆍ한강 합류부/홍제천교→홍제천ㆍ불광천 합류부→연남교→가좌역 1번 출구→마.. 2023. 3. 12.
[20230312] 마포 걷고 싶은 길 10선 中 10코스ㆍ8코스ㆍ1코스ㆍ3코스 이어 걷기 & 맛집탐방을 다녀오다 - 2부 3월 12일(일) 마포 걷고 싶은 길 10선 中 10코스ㆍ8코스ㆍ1코스ㆍ3코스 이어 걷기 & 맛집탐방을 다녀오다. '마포 걷고 싶은 길 10선 中 10코스ㆍ8코스ㆍ1코스ㆍ3코스 이어 걷기 & 맛집탐방' 코스 월드컵경기장역 2번 출구→마포 걷고 싶은 길 10코스→담소정→풀무골→전망대→문화비축기지안내동→월드컵경기장 교차로→매봉산자락길 입구→박정희대통령 기념관→TBS→KBS미디어센터→상암초교 교차로→DMC문화공원→채널A→YTN→상암문화광장→MBC→SBS프리즘타워→물빛문화공원→상암삼거리→상암동먹자거리→디지털미디어시티역 9번 출구→디지털미디어시티역 3번 출구→마포 걷고 싶은 길 8코스→중동교→불광천→성미다리→상암교→불광천ㆍ홍제천 합류부→홍제천ㆍ한강 합류부/홍제천교→홍제천ㆍ불광천 합류부→연남교→가좌역 1번 출구→마.. 2023. 3. 12.
[20230312] 마포 걷고 싶은 길 10선 中 10코스ㆍ8코스ㆍ1코스ㆍ3코스 이어 걷기 & 맛집탐방을 다녀오다 - 1부 3월 12일(일) 마포 걷고 싶은 길 10선 中 10코스ㆍ8코스ㆍ1코스ㆍ3코스 이어 걷기 & 맛집탐방을 다녀오다. '마포 걷고 싶은 길 10선 中 10코스ㆍ8코스ㆍ1코스ㆍ3코스 이어 걷기 & 맛집탐방' 코스 월드컵경기장역 2번 출구→마포 걷고 싶은 길 10코스→담소정→풀무골→전망대→문화비축기지안내동→월드컵경기장 교차로→매봉산자락길 입구→박정희대통령 기념관→TBS→KBS미디어센터→상암초교 교차로→DMC문화공원→채널A→YTN→상암문화광장→MBC→SBS프리즘타워→물빛문화공원→상암삼거리→상암동먹자거리→디지털미디어시티역 9번 출구→디지털미디어시티역 3번 출구→마포 걷고 싶은 길 8코스→중동교→불광천→성미다리→상암교→불광천ㆍ홍제천 합류부→홍제천ㆍ한강 합류부/홍제천교→홍제천ㆍ불광천 합류부→연남교→가좌역 1번 출구→마.. 2023. 3. 12.
영주 당일치기 여행 - 외나무다리 건너 무섬마을, ‘오백빵’ 입에 물고 시장 한바퀴... “관광 택시 한번 탈란껴?” 외나무다리 건너 무섬마을, ‘오백빵’ 입에 물고 시장 한바퀴... “관광 택시 한번 탈란껴?” [아무튼, 주말] 반값 택시 타고 둘러본 영주 당일치기 여행 영주를 여행하는 젊은 층 사이에서 부석사를 능가하는 인기 여행지로 등극한 '무섬마을 외나무다리'. 지난 3일 "'당일치기 여행을 왔다'는 김찬우씨 일행이 외나무다리를 건너며 즐거워하고 있다. / 양수열 영상미디어 기자 코로나가 창궐하던 2년 전, 서울 청량리역과 경북 안동역을 잇는 KTX이음이 개통하면서 ‘뜻밖의 핫플’로 떠오른 도시는 소도시 영주다. 단체 관광이 부담스럽던 시기에 부석사·영주근대역사문화거리 등 주요 명소를 편히 오가는 관광 택시까지 더해지며 당일치기 여행지로 급부상했다. 올봄엔 관광 택시 50% 요금 할인, 6시간 코스 신설 소식까지.. 2023. 3. 11.
살곶이다리, 전곶교(箭串橋), 제반교(濟盤橋) 살곶이 다리, 전곶교(箭串橋), 제반교(濟盤橋) 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동에 위치한 조선시대 다리 시대 : 조선전기 문화재 지정 : 보물 제1738호 건립시기 : 조선, 1483년 성격 : 교량 유형 : 유적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동 58 분야 : 예술·체육/건축 개설 보물 제1738호. 조선시대의 수도인 한양과 동남 지방을 연결하는 주요 통로로 사용되던 다리로, 원래의 이름은 제반교(濟盤橋)였다. 내용 살곶이는 청계천이 한강으로 흘러드는 지금의 성동구 왕십리, 한양대학교에서 내려다 보이는 개울 부근이다. 즉 사근동 남쪽에서 성수동으로 건너가는 곳을 말한다. 이는 지금도 사용되고 있는 서울 최고(最古)의 다리일 뿐 아니라 세종 대에 유명한 건축가인 박자청(朴子靑)과 유연현(柳延顯)의 감독에 의해.. 2023. 3. 10.
비오리 Mergus merganser 비오리 Mergus merganser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기러기목(Anseriformes) > 오리과(Anatidae) 학명 : Mergus merganser (Linnaeus, 1785) 국내분포 : 우리나라 전역의 해안, 해만, 하구, 호서 등지에서 쉽게 관찰되며, 최근 동강을 비롯한 강원도 일부 산간계곡에서 번식이 확인되고 있다. 해외분포 : 라시아대륙, 북아메리카대륙에서 번식하고, 유럽, 인도 동부, 미얀마, 중국 동부, 일본, 북미 남부에서 월동한다. 특징 : 겨울철새 형태 크기 : 65cm 정도의 크기이다. 채색과 무늬 : 수컷의 머리와 윗목 부분은 녹색의 금속광택이 있는 검은색이며, 목의 아랫부분은 흰색이다. 어깨깃 바깥쪽은 흰색이고 안쪽은 검은색이.. 2023. 3. 9.
비오리 common merganser 비오리 common merganser 분류 : 오리과(Anatidae) 서식지 : 유라시아대륙, 북아메리카대륙의 아한대와 온대에서 번식하고, 유럽, 인도 동부, 미얀마, 중국 동부, 한국, 일본, 북미 남부에서 월동한다. 크기 : L65cm 학명 : Mergus merganser Goosander / Common Merganser 서식 유라시아대륙, 북아메리카대륙의 아한대와 온대에서 번식하고, 유럽, 인도 동부, 미얀마, 중국 동부, 한국, 일본, 북미 남부에서 월동한다. 지리적으로 3아종으로 나눈다. 국내에서는 흔한 겨울철새이며 최근 동강을 비롯한 강원 일부 산간계곡에서 번식이 확인되고 있다. 10월 중순에 도래하며, 4월 중순까지 관찰된다. 행동 내륙의 호수, 댐 등지에서 무리를 이루어 생활한다. 일.. 2023. 3. 9.
영춘화 迎春花 영춘화 迎春花 분류 : 물푸레나무목 > 물푸레나무과 > 영춘화속 꽃색 : 노란색 학명 : Jasminum nudiflorum Lindl. 분포지역 : 중국 ; 남부지방 식재. 크기 : 높이 3m 잎 잎은 마주나기하며 1회 홀수 깃꼴형겹잎이고, 소엽은 3 ~ 5개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꽃은 잎보다 먼저 피고 노란색에 판통이며 각 마디에 마주 달린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6개이며 향기가 없고 수술은 2개이다. 줄기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옆으로 퍼지고 땅에 닿은 곳에서 뿌리가 내리며 능선이 있고 녹색이다. 출처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2023. 3. 9.
어떤 아들이, 아버지에게 보낸 메시지. 2023. 3. 9.
[20230309] 봄마중 꽃마중 도보 - 서울숲ㆍ청계천 하동매실거리ㆍ종로 등산장비점 & 맛집탐방을 다녀오다 - 2부 3월 09일(목) 봄마중 꽃마중 도보 - 서울숲ㆍ청계천 하동매실거리ㆍ종로 등산장비점 & 맛집탐방을 다녀오다. '봄마중 꽃마중 도보 - 서울숲ㆍ청계천 하동매실거리ㆍ종로 등산장비점 & 맛집탐방' 코스 서울숲역→서울숲공원 군마상→바닥분수→거울연못→숲속놀이터→거인상→은행나무숲→가족마당→조각공원→점식식사→서울숲 여름캠핑장→갤러리정원→나비정원→곤충식물원→꽃사슴방목장→보행가교 왕복→바람의언덕→성수대교북단교차로→서울숲9번 출입구→수변휴게실 커뮤니티센터→베드민턴장→서울숲 카페거리→성동구민종합체육센터→뚝섬역교차로→성동교교차로→뚝방길→살곶이다리→중랑천ㆍ청계천 합수부→하동매실거리→담양대나무거리→상주곶감거리→정릉천합수부→성북천합수부→오간수교→종로5가 등산장비점ㆍ맛집탐방→동대문역 오늘은 '봄마중 꽃마중 도보 - 서울숲ㆍ청계천 하.. 2023. 3. 9.
[20230309] 봄마중 꽃마중 도보 - 서울숲ㆍ청계천 하동매실거리ㆍ종로 등산장비점 & 맛집탐방을 다녀오다 - 1부 3월 09일(목) 봄마중 꽃마중 도보 - 서울숲ㆍ청계천 하동매실거리ㆍ종로 등산장비점 & 맛집탐방을 다녀오다. '봄마중 꽃마중 도보 - 서울숲ㆍ청계천 하동매실거리ㆍ종로 등산장비점 & 맛집탐방' 코스 서울숲역→서울숲공원 군마상→바닥분수→거울연못→숲속놀이터→거인상→은행나무숲→가족마당→조각공원→점식식사→서울숲 여름캠핑장→갤러리정원→나비정원→곤충식물원→꽃사슴방목장→보행가교 왕복→바람의언덕→성수대교북단교차로→서울숲9번 출입구→수변휴게실 커뮤니티센터→베드민턴장→서울숲 카페거리→성동구민종합체육센터→뚝섬역교차로→성동교교차로→뚝방길→살곶이다리→중랑천ㆍ청계천 합수부→하동매실거리→담양대나무거리→상주곶감거리→정릉천합수부→성북천합수부→오간수교→종로5가 등산장비점ㆍ맛집탐방→동대문역 오늘은 '봄마중 꽃마중 도보 - 서울숲ㆍ청계천 하.. 2023. 3. 9.
[ 꽃샘추위 / 화투연(花妬娟) ] 봄꽃 필 무렵 갑자기 강한 바람 불며 기온 떨어져… 실제보다 춥게 느껴져요 [ 꽃샘추위 / 화투연(花妬娟) ] 봄꽃 필 무렵 갑자기 강한 바람 불며 기온 떨어져… 실제보다 춥게 느껴져요 꽃샘추위 ▲ 봄꽃이 필 무렵 매서운 바람이 몰아치며 기온이 뚝 떨어지는 걸 ‘꽃샘추위’라고 하죠. 꽃샘추위 기간에는 옷을 든든하게 입고 비타민 A·C가 함유된 식품을 섭취해 주세요. 지난해 4월 1일 프랑스 포도주 농가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프랑스 곳곳에 많은 눈과 함께 한파가 몰려왔기 때문이지요. 그러자 포도주로 유명한 프랑스의 부르고뉴 지방에서는 농부들이 모두 나와 포도나무 이랑 사이마다 설치된 거대한 파라핀 양초에 불을 붙였습니다. 불에서 나오는 열로 포도나무를 추위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인데요. 프랑스는 2021년에도 봄에 갑자기 닥친 한파로 인해 포도 수확량이 줄어들면서 큰 손해를 보았거.. 2023. 3. 9.
[뉴스 속의 한국사] 창덕궁 - 조선왕조 500년 중 260년 동안 정궁으로 썼어요 [뉴스 속의 한국사] 창덕궁 - 조선왕조 500년 중 260년 동안 정궁으로 썼어요 창덕궁 ▲ 창덕궁 인정전. 이곳은 창덕궁의 중심 건물인 정전(正殿)으로, 임금 즉위식, 세자 책봉식 등 국가 공식 행사가 열렸던 곳이에요. /위키피디아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다음 달 30일까지 매주 금·토·일요일 오전 10시 30분에 서울 창덕궁(昌德宮) 인정전의 내부를 관람할 수 있는 해설 프로그램을 마련한다고 해요. 인정전은 창덕궁의 중심 건물인 정전(正殿)으로, 임금의 즉위식과 결혼식, 세자 책봉식, 문무백관 하례식 같은 국가 공식 행사가 열렸던 곳이에요. 경복궁의 근정전, 덕수궁의 중화전에 해당하는 건물입니다. '조선 5대 궁'의 하나로 꼽히는 창덕궁은 어떤 궁궐이었을까요? 조선 11명 임금의 기본 거처 두 가지.. 2023. 3. 9.
극락조화 極樂鳥花 bird-of-paradise flower / 꽃말 : 영구불멸, 영구불변, 신비 극락조화 極樂鳥花 bird-of-paradise flower / 꽃말 : 영구불멸, 영구불변, 신비분류 : 속씨식물 > 외떡잎식물강 > 생강목 > 극락조화과 > 극락조화속원산지 : 아프리카크기 : 약 1m학명 : Strelitzia reginae꽃말 : 신비(영생불락)요약 극락조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스트렐리트지아속에는 5종이 있는데 모두 아프리카 남부지방이 원산지이다. 1m 내외로 자라며 뿌리가 크고 굵으며 줄기는 없다. 잎은 길쭉한 타원형으로 길이 40cm, 폭 15cm 정도이다. 꽃대는 잎과 비슷한 높이로 자라고 녹색 포 안에 6~8송이의 꽃이 주황색, 청색으로 6~7월에 핀다.개요극락조화과에 속하는 관상용 식물. 학명은 ‘Strelitzia reginae’이다. ‘crane flower’라고.. 2023. 3.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