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614

사람과 사람 사이 / 이호광 2022. 11. 15.
[재미있는 과학 - 동물의 놀이] 뒤영벌은 공 굴리고, 돌고래는 복어로 공놀이한대요 [재미있는 과학 - 동물의 놀이] 뒤영벌은 공 굴리고, 돌고래는 복어로 공놀이한대요 일부 포유류·조류는 물론 곤충도 생존과 관계없이 노는 행동 보여 침팬지는 비행기 태우기 놀이해요 ▲ /그래픽=유재일 동물도 생존과 관계없는 놀이 행동을 할까요? 그간 포유류나 조류처럼 비교적 뇌의 용량이 큰 동물 가운데 생존에 꼭 필요하지 않아도 그저 재미 삼아 노는 행동을 보이는 동물이 보고된 바 있는데요. 그런데 최근 곤충 중에서는 처음으로 뒤영벌이 노는 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어요. 이 연구 결과는 과학저널 동물행동에 지난달 28일 실렸는데요. 연구자들은 이를 두고 "곤충도 일종의 지각능력을 지니고 있다는 또 하나의 증거"라고 했어요. 동물의 놀이에 대해 알아볼게요. 수컷이 암컷보다 놀이 시간 길어 영국 런던 퀸.. 2022. 11. 15.
2022 카타르 월드컵 조별리그 H조 대한민국 경기일정 및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2022 카타르 월드컵 조별리그 H조 대한민국 경기일정 및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한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오는 11월 24일 목요일 오후 10시(이하 한국 시간) 우루과이와 카타르 에듀케이션시티 경기장에서 H조 첫 경기를 치르고, 이어 11월 28일 월요일 오후 10시 가나와 두 번째 경기를 한다. 포르투갈 대표팀과는 12월 2일 자정, 즉 3일 토요일 오전 0시에 조별 예선 최종전을 벌인다. 이번 월드컵 중계는 KBS, MBC, SBS, KBS SPORTS 등에서 진행한다. 2022. 11. 14.
[식물 이야기 - 배초향] 박하향 나는 토종 허브… 비린내 없애줘 매운탕에 넣기도 해요 [식물 이야기 - 배초향] 박하향 나는 토종 허브… 비린내 없애줘 매운탕에 넣기도 해요 배초향 ▲ 배초향(위)의 꽃은 꽃대를 빙 둘러 사방으로 꽃이 피지만, 꽃향유는 꽃이 한 방향을 향해 피어요. /국립생물자원관 우리는 흔히 '허브'라고 하면 라벤더·로즈메리·페퍼민트같이 외국에서 들여온 식물을 먼저 생각하게 되지요. 하지만 우리나라에도 외국에서 '코리안 민트(Korean Mint)'로 부르는 토종 허브가 있어요. 바로 방아잎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진 배초향(排草香)이지요. 이 식물은 여러해살이풀(겨울에 땅 위 부분이 죽어도 봄이 되면 다시 싹이 돋아나는 풀)로 한 번 심으면 겨울을 이겨내고 다시 자라 봄부터 잎을 얻을 수 있어요. 식물 전체에서 박하향 같은 독특한 향기가 나는데, 향이 강하고 비린내를 .. 2022. 11. 14.
[뉴스 속의 한국사 - 몽유도원도] 꿈에서 본 무릉도원 풍경을 화폭에 생생하게 펼쳤죠 [뉴스 속의 한국사 - 몽유도원도] 꿈에서 본 무릉도원 풍경을 화폭에 생생하게 펼쳤죠 몽유도원도 안평대군 꿈 듣고 안견이 그려 한국 미술사 최고 걸작 중 하나 임진왜란 이후 일본으로 넘어가 ▲ /일러스트=유현호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미디어 아티스트 이이남 작가의 작품 3점을 오는 14일까지 서울 중구 명동의 전광판에 송출한다고 해요. 그중 하나는 '몽유도원도'를 동시대 관점으로 재해석한 '신-몽유도원'이라고 합니다. 한편 서경대 산학협력단은 오는 27일 온라인으로 뮤지컬 '몽유도원도'의 메타버스(3차원 가상 세계) 시연회를 연다고 해요. 이렇듯 몽유도원도는 21세기에 와서도 끊임없이 창작의 원천이 되고 있는데요. 이 작품은 과연 어떻게 세상에 나오게 됐을까요? 안평대군의 꿈, 3일 만에 그려 "그것참, 기.. 2022. 11. 13.
[20221113] 감악산 만추산행(신암저수지ㆍ감악산 하늘길 데크ㆍ임꺽정봉ㆍ감악산 정상ㆍ청산계곡길ㆍ법륜사ㆍ운계폭포ㆍ감악산 출렁다리) - 3부 11월 13일(일) 감악산 만추산행(신암저수지ㆍ감악산 하늘길 데크ㆍ임꺽정봉ㆍ감악산 정상ㆍ청산계곡길ㆍ법륜사ㆍ운계폭포ㆍ감악산 출렁다리)을 다녀오다 감악산 만추산행(신암저수지ㆍ감악산 하늘길 데크ㆍ임꺽정봉ㆍ감악산 정상ㆍ청산계곡길ㆍ법륜사ㆍ운계폭포ㆍ감악산 출렁다리) 코스 덕정역→택시이동→신암저수지→감악산숲길아치(신암리)→선일재→공룡바위→4전망대→3전망대→감악산 하늘길데크 시작→2전망대→1전망대(하늘전망대)→임꺽정봉→칼바위→감악정→감악산 정상→감악정→장군봉→얼굴바위능선→예비군훈련장→감악산둘레길(청산계곡길)→파주 신상암장→법륜사→운계폭포→감악산 출렁다리→감악산 전망대→감악산 출렁다리 주차장→감악산 출렁다리입구 정류장→버스이동→덕정역 오늘은 '감악산 만추산행(신암저수지ㆍ감악산 하늘길 데크ㆍ임꺽정봉ㆍ감악산 정상ㆍ청산계곡길.. 2022. 11. 13.
[20221113] 감악산 만추산행(신암저수지ㆍ감악산 하늘길 데크ㆍ임꺽정봉ㆍ감악산 정상ㆍ청산계곡길ㆍ법륜사ㆍ운계폭포ㆍ감악산 출렁다리) - 2부 11월 13일(일) 감악산 만추산행(신암저수지ㆍ감악산 하늘길 데크ㆍ임꺽정봉ㆍ감악산 정상ㆍ청산계곡길ㆍ법륜사ㆍ운계폭포ㆍ감악산 출렁다리)을 다녀오다 감악산 만추산행(신암저수지ㆍ감악산 하늘길 데크ㆍ임꺽정봉ㆍ감악산 정상ㆍ청산계곡길ㆍ법륜사ㆍ운계폭포ㆍ감악산 출렁다리) 코스 덕정역→택시이동→신암저수지→감악산숲길아치(신암리)→선일재→공룡바위→4전망대→3전망대→감악산 하늘길데크 시작→2전망대→1전망대(하늘전망대)→임꺽정봉→칼바위→감악정→감악산 정상→감악정→장군봉→얼굴바위능선→예비군훈련장→감악산둘레길(청산계곡길)→파주 신상암장→법륜사→운계폭포→감악산 출렁다리→감악산 전망대→감악산 출렁다리 주차장→감악산 출렁다리입구 정류장→버스이동→덕정역 오늘은 '감악산 만추산행(신암저수지ㆍ감악산 하늘길 데크ㆍ임꺽정봉ㆍ감악산 정상ㆍ청산계곡길.. 2022. 11. 13.
[20221113] 감악산 만추산행(신암저수지ㆍ감악산 하늘길 데크ㆍ임꺽정봉ㆍ감악산 정상ㆍ청산계곡길ㆍ법륜사ㆍ운계폭포ㆍ감악산 출렁다리) - 1부 11월 13일(일) 감악산 만추산행(신암저수지ㆍ감악산 하늘길 데크ㆍ임꺽정봉ㆍ감악산 정상ㆍ청산계곡길ㆍ법륜사ㆍ운계폭포ㆍ감악산 출렁다리)을 다녀오다 감악산 만추산행(신암저수지ㆍ감악산 하늘길 데크ㆍ임꺽정봉ㆍ감악산 정상ㆍ청산계곡길ㆍ법륜사ㆍ운계폭포ㆍ감악산 출렁다리) 코스 덕정역→택시이동→신암저수지→감악산숲길아치(신암리)→선일재→공룡바위→4전망대→3전망대→감악산 하늘길데크 시작→2전망대→1전망대(하늘전망대)→임꺽정봉→칼바위→감악정→감악산 정상→감악정→장군봉→얼굴바위능선→예비군훈련장→감악산둘레길(청산계곡길)→파주 신상암장→법륜사→운계폭포→감악산 출렁다리→감악산 전망대→감악산 출렁다리 주차장→감악산 출렁다리입구 정류장→버스이동→덕정역 오늘은 '감악산 만추산행(신암저수지ㆍ감악산 하늘길 데크ㆍ임꺽정봉ㆍ감악산 정상ㆍ청산계곡길.. 2022. 11. 13.
[레트로 여행지로 부상한 늦가을 강화 교동도 여행] ‘시간여행자들’의 성지 된 실향민 터전… 望鄕의 언덕은 그리움 심은 ‘꽃밭’ 되었네 ‘시간여행자들’의 성지 된 실향민 터전… 望鄕의 언덕은 그리움 심은 ‘꽃밭’ 되었네 [아무튼, 주말] 레트로 여행지로 부상한 늦가을 강화 교동도 여행 실향민들이 고향인 황해도 '연백 시장'을 떠올리며 시작됐다는 강화 교동도 '대룡시장'은 이 시장의 터줏대감이었던 1세대들이 은퇴하며 세대교체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룡철물점은 대룡철물카페로, 교동이발관은 국숫집으로 변신했다. 최근 젊은 층 사이에서 '민통선 레트로 여행지'로 알려지면서 시간여행을 하는 젊은 층 방문객들도 늘었다. / 이경호 영상미디어 기자 인천 강화군 교동도 앞엔 흔히 ‘평화의 섬’이란 수식이 붙는다. 휴전 협정 이후 한강 하구에 그어진 경계 ‘한강 하구 중립 수역’을 사이에 두고 70년간 평화가 유지되어온 섬이다. 교동도 최북단의 망향대에서.. 2022. 11. 12.
길 위에서 / 이정하 詩 2022. 11. 11.
살면서 가장 외로운 날 / 용혜원 2022. 11. 11.
가질 수 없는 건 다 상처랬죠 / 신경림 2022. 11. 11.
광주시 퇴촌면 팔당호반 둘레길 24km 조성 완료 광주시 퇴촌면 팔당호반 둘레길 24km 조성 완료 광주시는 9일 퇴촌면 오리부터 남종면 귀여리를 거쳐 검천리까지 이어지는 팔당호반 둘레길 24㎞ 구간이 최종 완료돼 준공식을 개최했다. 팔당호반 둘레길은 산림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존 등산로를 활용, 총 4개 코스 중 1코스와 3코스는 평지 구간의 산책로, 2코스와 4코스는 등산로로 각각 구성했다고... 팔당호반 둘레길 1코스(일반산책로) 7.16㎞, 2시간 30분 팔당물안개공원 시점 ~ 검천2리(종여울) 팔당호반 둘레길 2코스(등산로) 5.82㎞, 3시간 검천2리(종여울) ~ 정암산 정상 ~ 팔당물안개공원 시점 팔당호반 둘레길 3코스(일반산책로) 5.34㎞, 1시간 50분 팔당물안개공원 시점 ~ 망조교 ~ 퇴촌/남종보건소 시점 팔당호반 둘레길 4코스(등.. 2022. 11. 9.
[20221109] 서울단풍나들이 – 남산ㆍ매봉산ㆍ대현산ㆍ응봉산ㆍ서울숲ㆍ송정제방길ㆍ어린이대공원 이어 걷기 - 3부 11월 09일(수) 서울단풍나들이 – 남산ㆍ매봉산ㆍ대현산ㆍ응봉산ㆍ서울숲ㆍ송정제방길ㆍ어린이대공원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 '서울단풍나들이 - 남산ㆍ매봉산ㆍ대현산ㆍ응봉산ㆍ서울숲ㆍ송정제방길ㆍ어린이대공원 이어 걷기' 코스 서울역→백범광장→남산북측순환로→목멱산호랭이→석호정→남산순환로 갈림길→국립극장→반얀트리호텔→다산팔각정(성곽마루)→버티고개 생태통로→매봉산 팔각정(응봉산정)→응봉근린공원→대현산 배수지공원→논골사거리→큰매봉(대현산)→대현산 장미원→작은매봉(응봉산)→용비교→성수대교북단 교차로→서울숲 9번출입구→은행나무숲→서울숲 카페거리→성동교 교차로→송정제방길→새말정→세종초교→세종대 정문→어린이대공원 정문→어린이대공원 후문→아차산역 오늘은 '서울단풍나들이 – 남산ㆍ매봉산ㆍ대현산ㆍ응봉산ㆍ서울숲ㆍ송정제방길ㆍ어린이대공원 이어.. 2022. 11. 9.
[20221109] 서울단풍나들이 – 남산ㆍ매봉산ㆍ대현산ㆍ응봉산ㆍ서울숲ㆍ송정제방길ㆍ어린이대공원 이어 걷기 - 2부 11월 09일(수) 서울단풍나들이 – 남산ㆍ매봉산ㆍ대현산ㆍ응봉산ㆍ서울숲ㆍ송정제방길ㆍ어린이대공원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 '서울단풍나들이 - 남산ㆍ매봉산ㆍ대현산ㆍ응봉산ㆍ서울숲ㆍ송정제방길ㆍ어린이대공원 이어 걷기' 코스 서울역→백범광장→남산북측순환로→목멱산호랭이→석호정→남산순환로 갈림길→국립극장→반얀트리호텔→다산팔각정(성곽마루)→버티고개 생태통로→매봉산 팔각정(응봉산정)→응봉근린공원→대현산 배수지공원→논골사거리→큰매봉(대현산)→대현산 장미원→작은매봉(응봉산)→용비교→성수대교북단 교차로→서울숲 9번출입구→은행나무숲→서울숲 카페거리→성동교 교차로→송정제방길→새말정→세종초교→세종대 정문→어린이대공원 정문→어린이대공원 후문→아차산역 오늘은 '서울단풍나들이 – 남산ㆍ매봉산ㆍ대현산ㆍ응봉산ㆍ서울숲ㆍ송정제방길ㆍ어린이대공원 이어.. 2022. 11. 9.
[20221109] 서울단풍나들이 – 남산ㆍ매봉산ㆍ대현산ㆍ응봉산ㆍ서울숲ㆍ송정제방길ㆍ어린이대공원 이어 걷기 - 1부 11월 09일(수) 서울단풍나들이 – 남산ㆍ매봉산ㆍ대현산ㆍ응봉산ㆍ서울숲ㆍ송정제방길ㆍ어린이대공원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 '서울단풍나들이 - 남산ㆍ매봉산ㆍ대현산ㆍ응봉산ㆍ서울숲ㆍ송정제방길ㆍ어린이대공원 이어 걷기' 코스 서울역→백범광장→남산북측순환로→목멱산호랭이→석호정→남산순환로 갈림길→국립극장→반얀트리호텔→다산팔각정(성곽마루)→버티고개 생태통로→매봉산 팔각정(응봉산정)→응봉근린공원→대현산 배수지공원→논골사거리→큰매봉(대현산)→대현산 장미원→작은매봉(응봉산)→용비교→성수대교북단 교차로→서울숲 9번출입구→은행나무숲→서울숲 카페거리→성동교 교차로→송정제방길→새말정→세종초교→세종대 정문→어린이대공원 정문→어린이대공원 후문→아차산역 오늘은 '서울단풍나들이 – 남산ㆍ매봉산ㆍ대현산ㆍ응봉산ㆍ서울숲ㆍ송정제방길ㆍ어린이대공원 이어.. 2022. 11. 9.
화살나무 ㆍ 八樹ㆍ귀전우(鬼箭羽)ㆍ참빗나무ㆍ홋잎나무 화살나무, Burning bush spindletree, 八樹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노박덩굴목 > 노박덩굴과 > 사철나무속 원산지 : 유럽 (러시아), 아시아 (중국,대한민국,일본) 서식지 : 산 크기 : 약 3m 학명 : Euonymus alatus (Thunb.) Siebold 꽃말 : 위험한 장난 용도 : 무침용, 볶음용, 약용 등 요약 무환자나무목 노박덩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 전국 각지의 낮은 산에서 주로 자생한다. 키는 3m 정도 자란다. 줄기에 화살의 깃처럼 생긴 코르크의 날개가 길게 발달하여 화살나무라고 한다. 타원형 또는 피침형의 잎은 마주 나는데 가장자리에는 잔 톱니들이 있다. 관목으로는 드물게, 가을에 잎이 붉게 물들어 붉은색의 열매와 잘 어울린다. 열매를 새가 먹.. 2022. 11. 8.
화살나무 화살나무 분류 : 노박덩굴목 > 노박덩굴과 > 화살나무속 꽃색 : 녹색 학명 : Euonymus alatus (Thunb.) Siebold 개화기 : 5월, 6월 분포지역 : 일본, 중국, 사할린; 우리나라 전국 각지.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크기 : 높이 3m. 잎 잎은 마주나기하며 잎자루가 짧고, 타원형 또는 거꿀달걀형이고 첨두 예형이며 길이가 3 ~ 5cm로, 가장자리에 예리한 잔톱니가 있다. 꽃 취산꽃차례로 잎겨드랑이에 달리고, 보통 3개씩 꽃이 달리며 꽃은 황록색으로 5월에 피며, 꽃받침조각과 꽃잎 및 수술이 각각 4개씩 있다. 열매 열매는 붉은색이며 종자는 흰색이고 10월에 성숙하여 12월까지 달려있다. 줄기 줄기와 가지에는 2~4줄의 뚜렷한 콜크질의 날개가 있다. 뿌리 많은 뿌리가 있다... 2022. 11. 8.
[김민철의 꽃이야기] ‘비밀의 숲’ 서울대 관악수목원에 가보니 [김민철의 꽃이야기] ‘비밀의 숲’ 서울대 관악수목원에 가보니 경기도 안양에 있는 서울대 관악수목원이 지난달 28일부터 6일까지 10일간 시민들에게 문을 열었다. 서울대 농대 부속기관인 관악수목원은 그동안 시민들에게 거의 개방하지 않아 ‘비밀의 숲’이라 불렸다. 안양예술공원(옛 안양유원지)을 지나자 수목원 정문이 있고 계곡을 따라 1.6㎞ 중앙로를 걸으면 관악산으로 이어지는 후문이 나오는 구조였다. 시크릿가든답게 수령(樹齡)이 많아 보이는 귀한 나무들이 많았다. 단풍 막바지인 지난 주말 수목원에 가보니 곳곳에서 시민들 탄성이 들렸다. 다른 곳보다 유난히 단풍 색이 진한 것 같았다. 산에서 볼 수 있는 단풍나무 중 잎 모양이 손을 펼친 모양으로 갈라지는 것은 신나무, 고로쇠나무, 단풍나무, 당단풍나무, 섬.. 2022. 11. 8.
오늘 밤(8일 밤)에 ‘블러드 문’ 개기월식…놓치면 3년 기다려야 8일 밤 ‘블러드 문’ 개기월식…놓치면 3년 기다려야 2018년 1월31일 개기월식 장면/한국천문연구원 박영식 책임연구원 8일 밤하늘을 올려다보면 보름달이 지구 그림자 안으로 쏙 들어가는 개기월식(皆旣月蝕)을 볼 수 있다. 월식은 태양·지구·달이 일직선으로 늘어서 달이 지구 그림자에 가려지는 현상이다. 다음 개기월식은 2025년 9월 8일로 예보돼 이번을 놓치면 3년 가까이 기다려야 한다. 7일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달이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개기월식이 8일 오후 7시 16분 12초에 시작된다. 이어 오후 7시 59분 6초에 달이 지구 그림자에 가장 깊게 들어간다. 동쪽으로 시야가 트인 장소에서 이 현상을 맨눈으로 관측할 수 있다. 이날 개기월식은 오후 8시 41분 54초에 끝나며, 달이 지.. 2022. 11. 8.
[재미있는 과학 - 내 몸속의 액체들] 신체의 70%는 물… 콧물도 하루 1L 흐르며 병균 막아줘요 [재미있는 과학] 신체의 70%는 물… 콧물도 하루 1L 흐르며 병균 막아줘요 내 몸속의 액체들 ▲ /그래픽=진봉기 최근 코로나와 함께 독감 등 호흡기 질환이 확산하고 있대요. 호흡기 질환의 대표 증상 중 하나는 콧물인데요. 사람의 몸은 70% 가까이 물로 이뤄져 있고, 이 물들은 한시도 고여 있지 않고 끊임없이 변신을 거듭해요. 때로는 콧물이 되기도 하고, 어떨 때는 소화샘에서 퐁퐁 솟아나오는 소화액이 되기도 하죠. 이처럼 몸에서 나오는 모든 액체를 체액이라고 하는데요. 감기에 걸리면 왜 콧물이 나는 거고, 체액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눈물·콧물·땀, 줄줄 흘러나오는 액체 코 안쪽 점막에서는 감기에 걸렸을 때뿐 아니라 온종일 콧물이 1리터(L) 정도 분비돼요. 콧속의 습기를 조절하기 위해서지요. 콧.. 2022. 11. 8.
인생에서 제일 중요한 두 날은 태어난 날과 태어난 이유를 깨닫는 날이다. 2022. 11. 7.
[숲과 사찰 - 마이산 금당사 고금당] 말 귀가 내뿜는 힘찬 기운! 감당할 그릇,그 누구인가 [숲과 사찰] 말 귀가 내뿜는 힘찬 기운! 감당할 그릇,그 누구인가 마이산 금당사 고금당 고금당(왼쪽 아래) 뒤쪽 상공에 드론을 띄어 촬영한 진안고원 마이산 일대의 모습. 수마이봉은 암마이봉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다. 전라북도 진안군은 전체 면적의 80%가 덕태산(1,113m), 선각산(1,141m), 구봉산(1,002m) 등 산림으로 이루어진 고원지대다. 이른바 진안고원이다. 평균 해발고도가 약 500m로 높은 편은 아니지만, 면적이 약 2,000km2가 넘어 국내에서 드문 규모로 호남의 지붕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진안고원을 이루는 주요 행정군인 무주·진안·장수군의 앞글자를 따서 ‘무진장’으로 불리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독특한 산 모양새 진안 마이산馬耳山(686m)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기괴한.. 2022. 11. 7.
[11월에 걷기 좋은 길 BEST 4] 부여 사비길ㆍ울주 영남알프스 하늘억새길 3코스 사자평 억새길ㆍ인천 인천둘레길 6코스 소래길ㆍ경주 석굴암~불국사길 월간산 추천, 11월에 걷기 좋은 길 BEST 4 부여 사비길ㆍ울주 영남알프스 하늘억새길 3코스 사자평 억새길ㆍ인천 인천둘레길 6코스 소래길ㆍ경주 석굴암~불국사길 부여 사비길 부여 사비길은 궁남지, 금성산, 부소산성과 같은 유명 단풍 명소들을 한 번에 둘러보며 걸을 수 있는 길이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백제역사문화지구’와 능산리 고분군, 정림사지, 부여 나성 등 사비시대 백제의 유적지들을 볼 수 있는 것도 큰 장점. 특히 부소산성은 잘 보존돼 있는 숲이 자랑거리다. 부소산은 도심에서 그리 멀지 않고, 정상의 해발고도가 100m도 채 되지 않은 야트막한 산이라 누구나 쉽게 다녀올 수 있다. 단풍놀이에 역사기행을 덤으로 즐길 수 있다. 코스 부여시외버스터미널~신동엽생가~부여궁남지~능산리고분군~금성.. 2022. 11. 7.
[11월에 갈 만한 산 BEST 4] 두륜산ㆍ대둔산ㆍ청량산ㆍ황석산 월간산이 추천하는 11월에 갈 만한 산 BEST 4(두륜산ㆍ대둔산ㆍ청량산ㆍ황석산) 두륜산 頭輪山(700m) 산 곳곳에 기암절벽이 숨어 있어 보기보다 험하다. 해남 두륜산은 주봉인 가련봉(703m)을 비롯해, 노승봉(685m), 두륜봉(630m), 고계봉(638m), 도솔봉(672m), 혈망봉(379m), 향로봉(469m), 연화봉(613m) 총 8개의 봉우리가 U자형으로 서 있다. 이 능선 가운데 명찰 대흥사가 자리잡고 있다. 대흥사는 자체만으로도 볼거리가 많고 주변 풍광 또한 아름답다. 국보 1점, 보물 3점 등 문화재도 많아 문화유적답사만을 위해서도 많은 이들이 찾는다. 가을이면 가련봉과 두륜봉 사이 헬기장 부근이 억새천국이다. 지천으로 널려 있는 사람 키보다 높은 억새가 서해안과 남해안의 다도해 풍.. 2022. 11. 7.
2022년 가을철 국립공원 통제탐방로(11월 15일~12월 15일) - 오색~대청봉, 노고단~ 장터목 등 국립공원 115곳 내달 15일까지 폐쇄 이번 주말 놓치면 단풍 산행 물건너 갑니다 오색~대청봉, 노고단~ 장터목 등 국립공원 115곳 내달 15일까지 폐쇄 지리산 천왕봉의 가을. 사진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공단은 전국 국립공원 탐방로 615개 구간(2,009㎞) 중 가을철 산불발생 위험도가 높은 115개 탐방로를 11월 15일부터 12월 15일까지 전면 통제한다. 즉 이번 주말이 국립공원 가을 산행을 제한 없이 즐길 수 있는 마지막 기회다. 전면 통제되는 115개 탐방로는 산불 취약지역인 설악산 오색~대청봉 구간 등이며 구간 총 길이는 449km이다. 지난해에 비해 6개구간(8km)이 추가 통제된다. 일부 탐방로 구간(28개, 253km)은 탐방여건 및 산불 위험성 등을 고려하여 부분 통제한다. 253km 중 83km만 개방되고 나머지 170.. 2022. 11. 7.
후회 後悔 -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2022. 11. 7.
[남천 南天] 남천촉, 남천죽, 성죽(聖竹) [남천 南天] 남천촉, 남천죽, 성죽(聖竹)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미나리아재비목 > 매자나무과 > 남천속 원산지 : 아시아 (중국,일본,인도) 서식지 : 석회암 지역 및 큰 나무그늘밑 크기 : 약 1m ~ 3m 학명 : Nandina domestica 꽃말 : 전화위복 요약 매자나무과에 속하는 상록활엽관목. 일본과 중국이 원산지이며, 한국에서는 남쪽지방 또는 중부의 온실이나 집 안의 화분에 심고 있다. 키는 3m 정도로 곧게 자라며 줄기에서 가지가 많이 나오지는 않는다. 3장의 잔잎으로 이루어지는 겹잎은 3~10cm에 이르는 타원 모양으로, 두꺼우며 광택이 나고 줄기 끝에 모여 난다. 처음에는 진한 녹색을 띠지만 가을이 되면 단풍이 들며, 잎자루는 진한 붉은색으로 줄기를 감싼다. 한방에서.. 2022. 11. 6.
남천, 南天, Heavenly bamboo 남천, 南天, Heavenly bamboo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매자나무과 > 남천속 서식지 : 숲 속, 길가, 정원 학명 : Nandina domestica Thunb. 국내분포 : 남부지방 해외분포 : 인도, 일본, 중국 개요 중국 원산으로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 심어 기르는 상록성 떨기나무이다. 줄기는 높이 2-3m,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3회 3출겹잎이고 길이 30-50cm이다. 작은잎은 가죽질이며, 타원상 피침형, 길이 3-10cm, 폭 1-4cm, 겨울에 붉게 변하지만 낙엽이 지지는 않는다. 꽃은 6-7월에 피고 가지 끝의 원추꽃차례에 달리며, 지름 6-7mm, 노란빛이 도는 흰색이다. 열매는 장과이며, 둥글고, 지름 6-8mm, 10-11월에 붉게 익.. 2022. 11. 6.
[20221106] 화성나들이 - 보통저수지ㆍ무우사ㆍ태봉산 정상ㆍ노리고개ㆍ남봉담IC 생태통로ㆍ상기리입구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 11월 06일(일) 화성나들이 - 보통저수지ㆍ무우사ㆍ태봉산 정상ㆍ노리고개ㆍ남봉담IC 생태통로ㆍ상기리입구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 '화성나들이 - 보통저수지ㆍ무우사ㆍ태봉산 정상ㆍ노리고개ㆍ남봉담IC 생태통로ㆍ상기리입구 이어 걷기' 코스 수원과학대학교→보통저수지 산책로→정남2육교→무우사→태봉산 정상→노리고개→남봉담IC 생태통로→상기리입구 오늘은 '화성나들이 - 보통저수지ㆍ무우사ㆍ태봉산 정상ㆍ노리고개ㆍ남봉담IC 생태통로ㆍ상기리입구 이어 걷기'를 위해 길을 나선다. ▼ 수원과학대학교에서... ☞ 이것으로 '화성나들이 - 보통저수지ㆍ무우사ㆍ태봉산 정상ㆍ노리고개ㆍ남봉담IC 생태통로ㆍ상기리입구 이어 걷기' 이야기를 마친다. 2022. 11. 6.